$\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매장의 체험특성과 환경특성이 지각된 가치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erience and Environment Factors in Offline Stores on the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167 - 178  

진의토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  박현정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애플(Apple), 화웨이(Huawei), 샤오미(MI), 오포(Oppo), 삼성(Samsung), 비보(Vivo) 등의 오프라인 매장을 체험한 258명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체험요소와 환경요소가 제품과 관련된 지각된 가치를 창출해내는지, 이러한 가치가 매장의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체험특성과 지각된 가치의 관계에서는 교육적 체험 및 미적 체험이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오락적 체험이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특성과 지각된 가치의 관계에서는 조명, 직원 서비스 및 매장 배치가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조명 및 직원 서비스가 감정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모두 오프라인 체험매장의 재방문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프라인 체험매장을 관리하는 기업들이 소비자들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체험매장 특성이 무엇인지 이해함으로써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experience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experience store impact the perceived value of the brand and whether the perceived value enhance revisit intention. We collected 258 survey responses and 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edu...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휴대폰 관련 브랜드의 오프라인 체험매장을 이용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매장 내 체험 및 환경 특성과 지각된 제품 가치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이론적 토대를 정립 하고자 한다. 둘째, 매장 이용의 체험특성과 환경특성이 지각된 가치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치가 재방문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해보고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오프라인 체험매장의 어떠한 체험요소 및 환경적 요소를 통해 가치를 지각하는지 파악하고 이 가치 인식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휴대폰 오프라인 체험매장에서 체험특성과 환경특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휴대폰 오프라인 체험매장을 방문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8년 7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웹사이트 Sojump(https://www.
  •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 척도의 내적일관성과 개별 잠재요인별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측정항목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방문한 휴대폰 오프라인 체험매장에서 어떤 가치를 지각하고 이 지각된 가치가 향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각된 가치는 물리적인 가치를 포함하는 기능적 가치와 정서적인 기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감정적 가치로 구분하여 매장에서의 체험특성과 매장 내 환경특성이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을 살펴보고 한다.
  • Sheth, Newman & Gross[20]는 기능적, 감정적, 사회적,인지적, 조건적 가치로 분류하였고, Sweeney & Soutar[21]은 기능적, 감정적, 사회적 가치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가치의 하위요인으로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기능적 가치란 매장의 제품품질, 시설의 기능, 브랜드의 가성비와 관련된 요소이고, 감정적 가치란 고객이 오프라인매장을 체험 과정에서 제품을 선택 가능한 것으로 발생된 감정적 상태이다[22].
  •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오프라인 체험매장의 체험특성과 환경특성이 지각된 감정적 가치나 기능적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재방문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써 효과적인 체험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체험요소(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 미적 체험)와 4가지 오프라인 매장의 환경특성(음악, 조명, 직원 서비스, 매장배치)을 고려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방문한 휴대폰 오프라인 체험매장에서 어떤 가치를 지각하고 이 지각된 가치가 향후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각된 가치는 물리적인 가치를 포함하는 기능적 가치와 정서적인 기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는 감정적 가치로 구분하여 매장에서의 체험특성과 매장 내 환경특성이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을 살펴보고 한다. 그림 1과 같은 개념적 틀을 토대로 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 구체적인 세부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폰 관련 브랜드의 오프라인 체험매장을 이용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매장 내 체험 및 환경 특성과 지각된 제품 가치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이론적 토대를 정립 하고자 한다. 둘째, 매장 이용의 체험특성과 환경특성이 지각된 가치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치가 재방문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해보고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소비자가 비용과 편익을 고려하여 재화나 서비스의 유용성에 대해 내리는 총체적 체험에 대한 평가인 체험적 가치는 고객이 네 가지 체험 요소를 모두 골고루 체험하여 전체 영역의 최적 지점을 경험할 때에 가장 풍부하게 지각될 수 있다[3]. 체험경제이론은 축제, 대안관광, 테마파크,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이론을 오프라인 체험매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1: 오락적 체험은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교육적 체험은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일탈적 체험은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미적 체험은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5: 오락적 체험은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6: 교육적 체험은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7: 일탈적 체험은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8: 미적 체험은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매장 음악은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매장 조명은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매장 직원서비스는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4: 매장 배치는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5: 매장 음악은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6: 매장 조명은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7: 매장 직원서비스는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8: 매장 배치는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1: 지각된 기능적 가치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2: 지각된 감정적 가치는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Song[30]은 엑스포 방문객의 체험과 지각된 가치에 관한 연구에서 오락적 체험과 미적 체험이 감정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미적 체험이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따라서 매장 내 체험 특성들은 소비자의 기능적 및 감정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적(educational) 및 오락적(entertainment) 체험의 차이는 무엇인가? 교육적(educational) 및 오락적(entertainment) 체험은 소비자가 체험에 몰입할 수 있도록 환경을 잘 조성할 때 보다 잘 경험할 수 있다. 특히 교육적 체험은 소비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필요로 한다는 특성이 있다. 반면 심미적(esthetic) 체험이나 오락적 체험은 소비자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체험영역에서 나타난다[3]. 따라서 교육과 오락적 체험 몰입을 돕는 환경적 설비를 갖추고 소비자 교육에서는 적극적 참여를 유발할수록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체험마케팅은 무엇인가? 체험은 어떠한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개인적인 사건으로서 개인의 대상과의 직접적이고 전체적인 접촉을 의미하며 이런 반응은 사람의 감각, 감정, 신체, 마음의 작용이 융합하여 창조되는 것이다[5]. 체험마케팅은 소비자들의 직접 체험을 통해 고객의 감각을 자극하고 제품을 홍보하는 마케팅으로, 체험 제공의 총체적 조화를 통해 소비자와 브랜드 간에 호의적이고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6]. 소비자들은 체험매장에서 제품을 직접적으로 체험해보고 제품의 기능이나 품질에 대한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통하여 즐거움이나 호기심 혹은 미적 욕구 등 심리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도 있다.
훌륭하게 설계된 체험 공간의 장점은 무엇인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소비자들이 체험할 수 있는 특성 요인들과 매장 내의 환경적 특성 요인은 체험한 제품과 매장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훌륭하게 설계된 체험 공간은 방문자에게 기능적 및 감성적으로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누리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가치를 인식하도록 하며 매장과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매장 내 체험과 환경요소들의 이러한 영향력을 검증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K. Y. Lee, J. H. Baek & K. D. Park. (2010). Effects of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on Brand Equit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8(2), 83-103. 

  2. K. N. Kim. (2014).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of Culture Contents Exhibition Hall (Based on case stud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5), 435-442. 

  3. B. J. Pine & J. H. Gilmore. (1998).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76, 97-105. 

  4. B. Schmitt. (1999).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5(1-3), 53-67. 

  5. S. Y. Park & S. Y. Yoon. (2012).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Multi Functional Corporate Culture Space of experiential marketing.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1. 

  6. S. M. Yoon & T. H. Lee. (2012). Effect Relationship of The Experience on Emotion and Satisfaction in Theme Park :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4(2), 289-308. 

  7. J. H. Kim, H. J. Kim & J. S. Han.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 among Experience Element, Pleasur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Hotel Package Product.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3, 39-60. 

  8. M. J. Bitner. (1992).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The Journal of Marketing, 57-71. 

  9. A. Mehrabian & J. A. Russell.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the MIT Press. 

  10. D. Robert & R. John. (1982). Store atmosphere: an environmental psychology approach. Journal of Retailing, 58(1), 34-57. 

  11. C. H. Kim. (2002).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Quality Percep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7(2), 59-85. 

  12. W. R. Darden & J. K. Schwinghammer. (1985). Effects of Price. Brand and Store. 

  13. J. Baker, D. Grewal & A. Parasuraman. (1994).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quality inferences and store imag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4), 328-339. 

  14. Y. J. Yi & W. C. Kim. (1998).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on Service Quality Perception: Acomparative Study. Korean Marketing Review, 13(1), 61-86. 

  15. L. L. Berry, E. A. Wall & L. P. Carbone (2006). Service clues and customer assessment of the service experience: Lessons from marketing.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20(2), 43-57. 

  16. H. J. Sung & J. H. Kim. (2014). The Influence of Guesthouses' Physical Environmen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Moderating Effects of NPS.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6(6), 209-226. 

  17. B. S. Kim. (2018). An Empirical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O2O: A Unified View of Offline Channel and Mobile Chann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115-123. 

  18. M. B. Holbrook. (1999). Consumer value: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research. Psychology Press. 

  19. J. Swait & J. C. Sweeney. (2000). Perceived value and its impact on choice behavior in a retail setting.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7(2), 77-88. 

  20. J. N. Sheth, B. I. Newman & B. L. Gross.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21. J. C. Sweeney & G. N. Soutar. (2001).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77(2), 203-220. 

  22. J. N. Sheth, B. I. Newman & B. L. Gross.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23. R. T. Rust, A. J. Zahorik & T. L. Keiningham. (1995). Return on quality (ROQ): Making service quality financially accountable. The Journal of Marketing, 58-70. 

  24. C. K. Lee, H. M. Kim & D. H. An. (2008).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for Japanese Tourists on Thei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o Korean Tourism.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0(4), 69-85. 

  25. J. F. Engel & R. D. Blackwell & P. W. Miniard. (1995). Consumer behavior(8th). New York: Dryder. 

  26. H. S. Bae & S. L. Kim. (2016).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stomer Experience,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Delight and Revisit Intention of Airport Users.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7(3), 709-730. 

  27. J. Y. Lee, S. A. Moon & K. I. Byun. (2017).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coffee shop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at high and low price levels: Focusing on coffee customer in Daegu.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Tourism, 26(7), 1-19. 

  28. J. F. Qing, W. K. Kim & W. Shan. (2015). The Effects of Consumer Experiences on Enterprise Brand Equit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Experience Store: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17(2), 69-93. 

  29. J. J. Brakus, B. H. Schmitt & L. Zarantonello. (2009). Brand experience: what is it? How is it measured? Does it affect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73(3), 52-68. 

  30. H. J. Song. (2013). The Effect of 2012 Yeosu Expo Visitors' Experience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22(6), 159-174. 

  31. J. S. Lee, H. J. Song & C. K. Lee. (2011). A Study on The Experience, Experiential Value, and Satisfaction of 3D Film Based on The Pine and Gilmore's Experience Economy Theory: The Case of The Film 'Avatar'.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3(5), 281-298. 

  32. W. J. Lee, H. A. Pham & M. J. Seo. (2016). The Effects of the Vietnamese Tourist Travel Experience Elements on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Korean Foodservice Association, 12(1), 107-116. 

  33. H. S. Lee. (2015). The Effect of Pine & Gilmore's Experience Factor(4Es) Theory on Rural Tourist Satisfaction: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9(3), 109-121. 

  34. C. Y. Park & C. K. Lee. (2018).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factor of DMZ tour 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using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0(7), 57-74. 

  35. Y. K. Lee, J. J. Lee & D. H. Park. (2000). The Impact of Hotel Chinese Restaurants' Environment on Service Evaluation and Purchase Behavior.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 9(2), 211-228. 

  36. R. J. Donovan, J. R. Rossiter, G. Marcoolyn & A. Nesdale. (1994). Store atmosphere and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70(3), 283-294. 

  37. J. L. Tam. (2004). Customer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value: an integrative model.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20(7-8), 897-917. 

  38. Y. F. Kuo, C. M. Wu & W. J. Deng. (2009). The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post-purchase intention in mobile value-added servic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5(4), 887-896. 

  39. S. K. Kang, C. K. Lee, Y. K. Lee & D. X. Li. (2016). A quality-value-attitude model: The case of Expo 2010 Shanghai.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40(6), 764-771. 

  40. A. Morales, B. E. Kahn, L. McAlister & S. M. Broniarczyk. (2005). Perceptions of assortment variety: The effects of congruency between consumers' internal and retailers' external organization. Journal of Retailing, 81(2), 159-169. 

  41. Y. S. Yoon, J. S. Lee & C. K. Lee. (2010). Measuring festival quality and value affecting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using a structural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9(2), 335-342. 

  42. G. Mohan, B. Sivakumaran & P. Sharma. (2012). Store environment's impact on variety seeking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9(4), 419-428. 

  43. H. J. Park, Y. K. Lee & J. W. Lee. (2015). The Impact of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Value and Visit Intention in Franchise Coffee Shops. Korea Society of Franchise Management, 6(2), 105-122. 

  44. M. J. Bitner. (1992). Service 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The Journal of Marketing, 57-71. 

  45. S. I. Cho & C. Lee. (2012). A study on the visual merchandising based on Bernd H Schmitt's experiential marketing theory: Focusing on flagship stores in Ootesando.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Art, 13(4), 317-325. 

  46. M. G. Gallarza & I. G. Saura. (2006). Value dimensions,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an investig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ravel behaviour. Tourism management, 27(3), 437-452. 

  47. C. M. Chiu, E. T. Wang, Y. H. Fang & H. Y. Huang. (2014). Understanding customers' repeat purchase intentions in B2C e-commerce: the roles of utilitarian value, hedonic value and perceived risk. Information Systems Journal, 24(1), 85-114. 

  48. I. S. Choi & J. H. Cho. (2016).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that Selection Attributes of Korean Restaurants have on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Centered on Exclusive Commercial Area in the Korean Restaurant. The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9(2), 7-31. 

  49. A. Manthiou, S. Lee L, Tang & L. Chiang. (2014). The experience economy approach to festival marketing: Vivid memory and attendee loyalty.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28(1), 22-35. 

  50. G. Mohan, B. Sivakumaran & P. Sharma. (2013). Impact of store environment on impulse buying behavior.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7(10), 1711-1732. 

  51. Y. H. Jung. (2011). Effects of the Perceived Value of Convention & Exhibition Visitors on their Satisfacti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1), 145-155. 

  52. N. S. Terblanche. (2018). Revisiting the supermarket in-store customer shopping experience.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40, 48-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