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활동이 소비자 행위에 미치는 영향
Privacy Assurance and Consumer Behaviors in e-Business Environments 원문보기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23 no.4, 2018년, pp.1 - 17  

박재영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  정우진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BarunICT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이상근 (Department of Energy IoT, College of Energy Convergence, Dongshin University) ,  김범수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BarunICT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다수 온라인 기업들이 고객의 개인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들은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로 개인정보 제공을 꺼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을 통해 고객들에게 개인정보보호를 보장함으로써 신뢰를 높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활동이 소비자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실험 연구 결과,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혹은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이 프라이버시 신뢰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의 경우, 프라이버시 신뢰를 매개로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신뢰 성향이 높은(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를 통해 보다 높은 신뢰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와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의 필요성을 입증함으로써 기업 경영진의 정보보호 투자 관련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ost online firms are trying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based on customer's data. However, customers are reluctant to give their information to online firm because of concerns about data breach. Online firms are seeking to increase their trust by ensuring the protection of personal 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험)이 프라이버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보증과 개인정보 제공의도 간에 프라이버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보호 보증과 신뢰 성향 간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 때,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및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을 기업들이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개인정보보호 보증(Privacy Assurance)이라고 정의한다. 둘째, 이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자신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의향이 높아지는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보호 보증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사람들의 성향(신뢰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개인정보보호 보증(Privacy Assurance)의 효과를 살펴보고, 이 때, 프라이버시 신뢰(Privacy Trust)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개인정보보호 보증과 프라이버시 신뢰 간에 신뢰성향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모형은 아래 [Figure 1]과 같다.
  •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보증과 개인정보 제공의도 간에 프라이버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보호 보증과 신뢰 성향 간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실험을 위해 실험 대상자에게 가상의 개인정보 제공 상황을 제공하였으며([Appendix 2] 참고), 무작위로 실험 처치물을 다르게 노출시켰다.
  • 둘째, 이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자신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의향이 높아지는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보호 보증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사람들의 성향(신뢰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한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을 가상으로 설정하고 실험대상자에게 무작위로 실험 처치물을 다르게 노출시켰다.
  • 연구는 개인정보보호 보증(없음 VS. 인증마크, 없음 VS. 보험)이 프라이버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보증과 개인정보 제공의도 간에 프라이버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개인정보보호 보증(Privacy Assurance)의 효과를 살펴보고, 이 때, 프라이버시 신뢰(Privacy Trust)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개인정보보호 보증과 프라이버시 신뢰 간에 신뢰성향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활동(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이 소비자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것이 본 연구의 핵심 질문으로 첫째,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및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이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이끌어낼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때,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획득 및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을 기업들이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개인정보보호 보증(Privacy Assurance)이라고 정의한다.
  • 이처럼 기업들은 온라인 환경에서 고객들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온라인 인증마크를 획득하고자 한다. 온라인 인증마크란 인터넷 보안과 프라이버시에 관한 소비자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제반 표식, 로고 또는 상징물로 정의되며, 제3자에 의해 제공된다[1].

가설 설정

  • 가설 1: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개인 정보보호 인증마크를 제시한 경우에더 높은 프라이버시 신뢰를 보일 것이다(VS. 통제집단).
  • 가설 2: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에서 개인 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가입을 보여준 경우에 더 높은 프라이버시 신뢰를 보일 것이다(VS. 통제집단).
  • 가설 3: 개인정보보호 보증(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과개인정보 제공의도 간에 프라이버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 가설 4: 개인정보보호 보증(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이 프라이버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신뢰 성향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기업이 개인정보보호 보증을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소비자에게 인지할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대다수 웹 사이트가 메인 화면 하단에 개인정보보호 보증을 표시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소비자가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활동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노력이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기업은 개인정보보호 보증을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소비자에게 인지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신뢰 성향이란 무엇인가? 신뢰 성향(Disposition to Trust)은 특정한 상황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인간에 대한 신뢰로서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 태도를 뜻한다. 이것은 신뢰와 관련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8, 27].
부트스트랩 핑 방식을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개인정보보호 보증과 개인정보 제공의도 간에 지각된 프라이버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3을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핑(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였다. 부트스트랩핑은 기존의 매개효과 검정이 가질 수 있는 간접효과의 표준오차를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으로 간접효과에 대한 신뢰구간을 설정하여 그 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으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보는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iken, K. D., Liu, B. S., Mackoy, R. D., and Osland, G. E., “Building Internet Trust: Signaling through Trustmark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Marketing and Advertising, Vol. 1, No. 3, pp. 251-267, 2004. 

  2. Aju Economy, "Redcap tour, Information Security Best Practice," http://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01230000351, 2010. 12. 30. 

  3. Bansal, G. and Gefen, D., “The Impact of Personal Dispositions on Information Sensitivity, Privacy Concern and Trust in Disclosing Health Information Online,” Decision Support Systems, Vol. 49, No. 2, pp. 138-150, 2010. 

  4. Boo, E. F., Low, K. Y., Soh, X., and Lim, M., “Assurance versus Insurance: A Study of Consumer Receptiveness in an e-Commerce Setting,” Accounting Horizons, Vol. 21, No. 4, pp. 331-350, 2007. 

  5. Chang, R. D., Fang, C. J., and Tseng, Y. C., "The Effects of WebTrust Assurance on Consumers' Web Purchase Decisions: An Experiment," Online Information Review, Vol. 36, No. 2, pp. 218-240, 2012. 

  6. Datanet, "Social Dating 'cocoabook', Data Breach Insurance,"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341, 2014. 8. 22. 

  7. Dinev, T. and Hart, P.,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7, No. 1, pp. 61-80, 2006. 

  8. Gefen, D., “E-commerce: The Role of Familiarity and Trust,” Omega, Vol. 28, No. 6, pp. 725-737, 2000. 

  9. Gefen, D., Karahanna, E., and Straub, D. W.,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grated Model,” MIS Quarterly, Vol. 27, No. 1, pp. 51-90, 2003. 

  10. Grazioli, S. and Jarvenpaa, S. L., “Perils of Internet Fraud: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Deception and Trust with Experienced Internet Consumers,” IEEE Tran. Systems, Man, Cybernetics, Part A: Systems Humans, Vol. 30, No. 4, pp. 395-410, 2000. 

  11. Hoffman, D. L., Novak, T. P., and Peralta, M., “Building Consumer Trust Online,”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2, No. 4, pp. 80-85, 1999. 

  12. Kim, D. J., Ferrin, D. L., and Rao, H. R., “A Trust-based Consumer Decision-Making Model in Electronic Commerce: The Role of Trust, Perceived Risk, and Their Antecedent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 44, No. 2, pp. 544-564, 2008. 

  13. Kim, E. K., “Study on Information Leakage Liability Insurance,” Korea Financial Law Association, Vol. 11, No. 3, pp. 149-176, 2014. 

  14. Kim, J. K. and Kim, J. S.,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Information Privacy Protective Responses: Focusing on the Principal-Agent Theory,”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8, No. 8, pp. 1959-1984, 2015. 

  15. Kim, J. K. and Oh, D. W., "The Effect of Privacy Policy Awareness on the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in Electronic Commerce,"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18, No. 3, pp. 185-207, 2016. 

  16. Kim, S. U., Park, C. Y., and Lee, S. H., “A Study on Classifying and Comparing Effects of Online Trustmarks: Focusing on Signaling Theory,” Journal of Product Research, Vol. 31, No. 1, pp. 1-15, 2013. 

  17. Kim, S. U., Shin, S. H., and Aiken, K. D., “The Effects of Internet Trustmarks on Firm and Product Trust: The Moderating Roles of Generalized Internet Commerce Trust and Shopping Experience,” Journal of Product Research, Vol. 30, No. 7, pp. 149-159, 2012a. 

  18. Kim, S. U., Shin, S. H., Jeon, K. H., and Kim, J. Y.,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rustmarks Types on Trust Building in CM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Vol. 19, No. 4, pp. 51-63, 2012b. 

  19. Kwak, Y. A., “A Study on Activation Plan of e-Commerce Insurance,” Journal of KECRA, Vol. 8, No. 2, pp. 29-51, 2007. 

  20. Lee, D. I., “The Study on the Role of the Third Party Certificate Mark on the Internet Store Trust Building Process,” Journal of Product Research, Vol. 23, No. 3, pp. 49-70, 2005. 

  21. Lee, H. J. and Kim, I. S., “A Study on Improving Cyber Liability Insurance for Electronic Financial Incident in Easy Payment System,”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6, No. 2, pp. 1-8, 2016. 

  22. Lee, H. K., “Consumer Damages Compensation Insurance in Consumer Protection Law on Electronic Commerce,” Korea Economic Law Association, Vol. 4, No. 1, pp. 199-217, 2005. 

  23. Lee, M. K. and Turban, E., “A Trust Model for Consumer Internet Shopp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 6, No. 1, pp. 75-91, 2001. 

  24. Lee, Z., Choi, H., and Choi, S. A., “Study on How Service Usefulness and Privacy Concern Influence on Service Acceptance,” The Jou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12, No. 4, pp. 37-51, 2007. 

  25. Malhotra, N. K., Kim, S. S., and Agarwal, J.,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UIPC): The Construct, the Scale, and a Causal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5, No. 4, pp. 336-355, 2004. 

  26. Mauldin, E. and Arunachalam, V., "An Experimental Examination of Alternative Forms of Web Assurance for Business-to-Consumer e-Commerc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16, No. 1, pp. 33-54, 2002. 

  27. McKnight, D. H., Choudhury, V., and Kacmar, C., “Developing and Validating Trust Measures for e-Commerce: An Integrative Typ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3, No. 3, pp. 334-359, 2002. 

  28. Odom, M. D., Kulmar, A., and Saunders L., "Web Assurance Seals: How and Why They Influence Consumers' Decisions,"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16, No. 2, pp. 231-250, 2002. 

  29. Park, S. J. and Shin, G. H., “The Problems and Solutions for Electronic Commerce Insurance,” Korea Trade Review, Vol. 26, No. 4, pp. 151-169, 2001. 

  30. Park, Y. J., “A Study on Mandatory Cyber Liability Insurance,” Korea Insurance Law Journal, Vol. 9, No. 1, pp. 63-91, 2015. 

  31. Pavlou, P. A., “Consumer Acceptance of Electronic Commerce: Integrating Trust and Risk wit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 7, No. 3, pp. 101-134, 2003. 

  32. Preacher, K. J. and Hayes, A. F.,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40, No. 3, pp. 879-891, 2008. 

  33. Rifon, N. J., Larose, R., and Choi, S. M., “Your Privacy Is Sealed: Effects of Web Privacy Seals on Trust and Personal Disclosures,” Journal of Consumer Affairs, Vol. 39, No. 2, pp. 339-362, 2005. 

  34. Shim, J. Y., "The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e-Commerce Trust-enhancing Schemes and Guaranty Systems on Online Transactions," M.S. in Industrial Information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2004. 8. 

  35. Shin, G. H., “A Study on the Market Status and Issues of e-Commerce Insuranc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Vol. 7, No. 3, pp. 27-51, 2005. 

  36. Shrout, P. E. and Bolger, N.,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 7, No. 4, pp. 422-445, 2002. 

  37. Singh, J. and Sirdeshmukh, D., “Agency and Trust Mechanisms in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Judgment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28, No. 1, pp. 150-167, 2000. 

  38. Taylor, D. G., Davis, D. F., and Jillapalli, R., “Privacy Concern and Online Personaliza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Control and Compensation,”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9, No. 3, pp. 203-223, 2009. 

  39. Wu, K. W., Huang, S. Y., Yen, D. C., and Popova, I., “The Effect of Online Privacy Policy on Consumer Privacy Concern and Trus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8, No. 3, pp. 889-897, 2012. 

  40. Yoon, S. J., “A Study on the Antecedents of Trust toward Shopping Mall Web Sites and Its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29, No. 3, pp. 353-376, 2000. 

  41. Zarrai, R. and Gharbi, J. E., "Perceptual and Personal Determinants of Trust on a Commercial Web Site," Proceeding in ECIG,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