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안전안내문자 정보 속성 분석 : 필수 정보 요인과 프라이버시 침해 정보 요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Information in the COVID-19 Emergency Alert : Focusing on Essential Information Factors and Privacy Invasion Information Factors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2 no.2, 2021년, pp.227 - 246  

김민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김미예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  김범수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정부가 감염병 확산을 제어하기 위해 발송하는 안전안내문자는 기존 재난문자와는 달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확진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안내문자의 필수 정보 요인과 프라이버시 침해 정보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실험 방식의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해 정보 속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안내문자의 필수 정보 요인은 확진자 국적, 주소, 감염 경로, 확진자 전체 동선 및 접촉 발생 주요 동선, 홈페이지 공개여부, 주요 동선 방역 여부, 확진자 격리시설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침해 요인은 확진자 국적, 성별, 연령, 주소, 확진판정일, 확진자 전체 동선, 주요 동선, 동선정보 홈페이지 공개여부, 방역여부, 확진자 격리시설임을 확인했다. 또한, 가장 필수적이라고 인식하는 정보 조합과 확진자의 프라이버시를 가장 크게 침해한다고 인식하는 정보 조합은 확진자 개인정보와 동선정보, 방역여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궁극적으로 필수 정보를 제공하는 안전안내문자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확진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한 본 연구는, 연구자뿐 아니라 정책입안자에게 유용한 지식경영학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ntext of the global pandemic caused by COVID-19, emergency alert text messages can violate the privacy of confirmed corona positive cases. This study used conjoint analysis to identify the essential information factors and the privacy invasion information factors of local government initiat...

주제어

참고문헌 (40)

  1. 고대영, 강민성 (2018).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이용한 배달앱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선호 분석. 산업연구, 2(2), 1-35. 

  2. 권혁빈 (2017). 미국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극복 사례가 우리나라 메르스 사태에 주는 교훈: 조직간 협업과 정보공유를 중심으로. 시큐리티연구, 52, 143-162. 

  3. 김은성 (2015).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Crisisonomy, 11(10), 91-109. 

  4. 김태하, 차훈상, 박찬희, 위정현 (2020). 온라인 쇼핑몰 챗봇 사용자의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지식경영연구, 21(4), 211-225. 

  5. 박미정 (2016).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언론과법, 15(3), 289-316. 

  6. 박미정, 이종구 (2015). 메르스 대응조치에 나타난 법률의 문제점 고찰과 개선방안. 한국의료법학회지, 23(2), 191-209. 

  7. 박민정, 채상미 (2017). 빅데이터 환경 형성에 따른 데이터 감시 위협과 온라인 프라이버시 보호 활동의 관계에 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8(3), 65-82. 

  8. 배성호 (2020). 감염병 대응에 따른 개인정보의 공개와 보호. 영남법학, 51, 215-236. 

  9. 손봉진, 최재원 (2017). 위치기반 앱 서비스를 통한 인지된 가치와 평판 형성을 위한 소비자 지식 구조. 지식경영연구, 18(1), 159-176. 

  10. 송동근, 민귀홍, 진범섭 (2016).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20(2), 61-90. 

  11. 신윤정, 김부용, 현용진 (2007). 컨조인트 분석 방법론에 의한 담배 포장의 금연 인식 유발 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27(1), 27-51. 

  12. 이근옥 (2020). '정보공개법'상 개인정보 보호와 공익의 조화: 코로나 19 팬데믹 하에서의 프라이버시 침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103, 145-176. 

  13. 이화진, 박용균, 김대훈, 조훈 (2020). 수요자 중심 재난정보분석 연구: 코로나19 대응 위험소통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4. 정지혜, 나정호, 장지혜, 오효정 (2020). 기록관리 관점에서 본 코로나 19 관련 개인정보 이슈와 대응방안. 정보관리학회지, 37(4), 81-107. 

  15. 조성은 (2020). 감염병 대응에서 개인정보 처리 이슈와 과제. KISDI Premium Report, 20-06, 1-32. 

  16. 한승혜 (2020). 재난유형별 재난문자 발송의 적절성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6(8), 1-14. 

  17. Adam, B., Beck, U., & Van Loon, J. (Eds.) (2000). The risk society and beyond: Critical issues for social theory. SAGE Publications Ltd. doi:10.4135/9781446219539 

  18. Barth, S., & De Jong, M. D. T. (2017). The privacy paradox-Investigating discrepancies between expressed privacy concerns and actual online behavior-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elematics and Informatics, 34(7), 1038-1058. doi:10.1016/j.tele.2017.04.013 

  19. Berger, C. R., & Calabrese, R. J. (1974). Some explorations in initial interaction and beyond: Toward a developmental theory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2), 99-112. 

  20. Coombs, W. T. (2014).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Sage Publications. 

  21. Covello, V. T. (1988). Informing the public about health and environmental risks: Problems and Opportunities for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In N. Lind (Ed.), Risk communication: A symposium. Waterloo: University of Waterloo. 

  22. Covello, V. T. (1992). Risk communication: An emerging area of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Ann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15(1), 359-373. 

  23. Covello, V., Von Winterfeldt, D., & Slovic, P. (1986). Risk communi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Risk Abstracts, 2, 171-182. 

  24. Culnan, M. J., & Armstrong, P. K. (1999).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procedural fairness, and impersonal trust: An empirical investigation. Organization Science, 10(1), 104-115. doi:10.1287/orsc.10.1.104 

  25. Fischhoff, B. (1995). Ris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unplugged: Twenty years of process 1. Risk analysis, 15(2), 137-145. 

  26. Griffin, R. J., Dunwoody, S., & Neuwirth, K. (1999). Proposed model of the relationship of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to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behaviors. Environmental Research, 80(2), S230-S245. 

  27.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Vol. 5).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28. Irwin, F. W. (1953). Stated expectations as functions of probability and desirability of outcomes. Journal of Personality, 21(3), 329-335. doi:10.1111/j.1467-6494.1953.tb01775.x 

  29. Kasperson, R., & Stallen, P. J. (Eds.) (1991). Communicating risks to the public. Boston: Kluwer. 

  30. McComas, K. A. (2006). Defining moments in risk communication research: 1996-2005.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1(1), 75-91. 

  31. McFadden, D. (1977). Quantitative methods for analyzing travel behavior of individuals: Some recent developments.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2. Mileti, D. S., & Sorensen, J. H. (1990). Communication of emergency public warnings: A social science perspective and state-of-the-art assessment. United States. doi:10.2172/6137387 

  33. Nelkin, D. (1989). Communicating technological risk: The social construction of risk perception. American Review of Public Health, 10, 95-113. 

  34. Palenchar, M. J. (2008). Risk communication and community right to know: A public relations obligation to inform. Public Relations Journal. 

  35. Prosser, W. L. (1960). Privacy. California Law Rev., 48(3), 383-423. 

  36. Sheppard, B., Janoske, M., & Liu, B. (2012). Understanding risk communication theory: A guide for emergency managers and communicators. Science and Technology Directorate. 

  37. Weil, D., Fung, A., Graham, M., & Fagotto, E. (2006). The effectiveness of regulatory disclosure policies.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5(1), 155-181. doi:10.1002/pam.20160 

  38. Wooldridge, J. M. (2010).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Cambridge, Mass: MIT Press. 

  3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Guidance for managing ethical issues in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40. 공공데이터포털 오픈 API (2020). https://www.data.go.kr/data/15043378/openapi.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