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과 프로세스 개선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M Competency and Process Improvement on Operational Performance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원문보기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의 SCM(공급사슬관리)역량과 프로세스 개선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중소벤처제조기업 179개사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이 프로세스 개선과 운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또한,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프로세스개선의 매개효과 또한 유의적인 영향을 미쳐 가설4도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으로서의 전략적 제휴, 기술개발, 역량집중화 요인과 프로세스 개선 요인으로서의 착수 준비, 상세 계획, 실행 관리 요인이 운영성과 요인으로서의 품질성과, 원가절감, 수익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실증해 주었다. 이는 중소벤처기업에서의 SCM을 도입하여 역량을 극대화시켜 프로세스를 보다 개선시키고 성과를 높이기 위해 중소벤처기업에 적합한 전략적 제휴와 기술 개발과 동시 역량집중화를 위한 선별적 투입전략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의 조기 적용과 정착을 위해 중소벤처기업 자체 내 업무 프로세스의 착수준비, 상세계획을 기획하여 뚜렷한 전사적 목표 관리하에 공동 실행에 옮김으로서 이들 속성에 비례한 엄격한 관리와 실행이 이어질 때 기대성과 또한 극대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의 SCM(공급사슬관리)역량과 프로세스 개선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중소벤처제조기업 179개사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이 프로세스 개선과 운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또한,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프로세스개선의 매개효과 또한 유의적인 영향을 미쳐 가설4도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으로서의 전략적 제휴, 기술개발, 역량집중화 요인과 프로세스 개선 요인으로서의 착수 준비, 상세 계획, 실행 관리 요인이 운영성과 요인으로서의 품질성과, 원가절감, 수익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실증해 주었다. 이는 중소벤처기업에서의 SCM을 도입하여 역량을 극대화시켜 프로세스를 보다 개선시키고 성과를 높이기 위해 중소벤처기업에 적합한 전략적 제휴와 기술 개발과 동시 역량집중화를 위한 선별적 투입전략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의 조기 적용과 정착을 위해 중소벤처기업 자체 내 업무 프로세스의 착수준비, 상세계획을 기획하여 뚜렷한 전사적 목표 관리하에 공동 실행에 옮김으로서 이들 속성에 비례한 엄격한 관리와 실행이 이어질 때 기대성과 또한 극대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CM(supply chain management) competency and process improvement on operational performance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179 small and venture manufacturing companies. The findings showed th...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CM(supply chain management) competency and process improvement on operational performance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179 small and venture manufacturing compani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CM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cess improvement and operational performance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adopting all hypotheses. And the process improvemen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M competenc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adopting hypothesis 4. As for the findings, strategic alliance, technology development, competency concentration as SCM competencies and starting preparation, detailed planning, implementation management as process improvements were factors that have positive effects on quality performance, cost reduction and profit increase as operational performances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In other words, the better process and performance by the maximized SCM competencies require selective input strategies for strategic alliance,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petency concentration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And for its early application and settlement, the starting preparation and detailed planning of business process with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need to be jointly put in action under clear company-wide goal management. Consequently, the expected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when strict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lead to these attributes.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CM(supply chain management) competency and process improvement on operational performance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179 small and venture manufacturing compani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CM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cess improvement and operational performance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adopting all hypotheses. And the process improvemen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M competenc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adopting hypothesis 4. As for the findings, strategic alliance, technology development, competency concentration as SCM competencies and starting preparation, detailed planning, implementation management as process improvements were factors that have positive effects on quality performance, cost reduction and profit increase as operational performances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In other words, the better process and performance by the maximized SCM competencies require selective input strategies for strategic alliance,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petency concentration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And for its early application and settlement, the starting preparation and detailed planning of business process with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need to be jointly put in action under clear company-wide goal management. Consequently, the expected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when strict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lead to these attribut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과 프로세스개선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SCM 측면에서 중소벤처기업의 역량을 전략적으로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학제적·산업적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공급사슬 역량에 있어 활용과 탐색 전략이 역량과 기업의 성과를 높이는 관계임을 고려하여 본 연구의 SCM역량 요인으로 전략적 제휴, 기술개발, 역량집중화 요인을 반영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의 경영 관점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SCM역량을 구성하는 선행요인에 따라 프로세스 개선과 운영 성과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프로세스 개선요인의 간접 매개적 효과를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과 프로세스 개선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가설 2.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은 운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가설 1: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은 프로세스개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가설 3: 중소벤처기업의 프로세스 개선은 운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가설 2: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은 운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안 방법
이상의 선행변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프로세스 개선 요인은 위에서 검토된 미국 PMI의 PMBOK 자료를 국내 적용 한 이설빈·박주경(2018)의 SCM프로젝트 관리프로세스 요인을 반영한 착수 및 준비, 상세계획기획, 실행관리 요인을 반영하여 측정한다.
또한, 제품개발 프로젝트관리 모델 개발에 있어 프로세스 디자인 방법의 선택, 프로젝트관리 실무 데이터수집, 투입 노력과 결과물 범위설정, 표준 프로세스의 정의 4단계의 개발 방법을 적용했다(소순후, 2004). 이 모델의 프로세스들은 IDEF0 모델을 이용하였다(이설빈·박주경, 2018).
먼저 SCM역량이 프로세스 개선과 운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Morgan & Hunt, 1994; 김종열, 2008)를 근거로 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모형을 아래와 같이 도출하고 프로세스개선요인이 SCM역량과 운영성과에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이 모형을 도식화하였다.
이와 같이 SCM역량은 고객 서비스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운영 성과 요인을 본 연구에서도 품질, 원가, 수익요인을 반영하여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과 베리맥스 회전법을 사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설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살펴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아래의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구모형의 경우 X2=(280.
가설적 모형에서 도출된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으며, 외생변수와 내생변수 간의 관계, 내생변수들 간의 경로에 의해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프로세스개선 매개효과 구조모형 Bootstrap분석 결과를 살펴보았다. 매개효과 가설검증 과정에서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비정상성 자료로 추정 가능한 Bootstrapping을 1,000회 반복추출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 .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프로세스개선 매개효과 구조모형 Bootstrap분석 결과를 살펴보았다. 매개효과 가설검증 과정에서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비정상성 자료로 추정 가능한 Bootstrapping을 1,000회 반복추출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 .05수준에 맞추어 측정하였다. 표준화계수 (=.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중소벤처기업 중 SCM을 도입 및 운영하고 있는 SCM운영책임자와 실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8년 7월부터 9월까지 총 242부에 대해 설문 응답을 받아, 불성실한 응답 및 결측값을 제외한 후, 최 종 179명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중소벤처기업 중 SCM을 도입 및 운영하고 있는 SCM운영책임자와 실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8년 7월부터 9월까지 총 242부에 대해 설문 응답을 받아, 불성실한 응답 및 결측값을 제외한 후, 최 종 179명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처리
SPSS 23.0을 활용한 빈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한 가설 검증과 변수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AMOS 23.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수들의 적합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KMO 측도를 사용하였고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유의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요인 분석에 대한 KMO 값이 .
탐색적 요인분석 (EFA)과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선택된 측정항목에 대한 각 연구단위별 단일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성요인별로 확인적 요인분석 (CFA)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이 모델의 프로세스들은 IDEF0 모델을 이용하였다(이설빈·박주경, 2018).
성능/효과
이러한 낮은 효율에 따라 최근 중소기업에서의 SCM역량을 높이기 위해 SCM역량과 관련된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역량결집으로 조기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ambert & Cooper, 2000; 이준희, 2014; 김병조, 2015). 즉 열악한 중소기업 내부의 불량률을 낮추고 SCM과 협력사의 SCM역량을 하나의 유기체처럼 결집시켜 경쟁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통합함으로써 성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208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략적 제휴와 프로세스 개선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r=.268**, p=.000으로 아주 약한 양적 선형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기술개발과 프로세스 개선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r=-0.024*, p=0.748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역량 집중화와 프로세스 개선의 상관관계 역시 r=-.
SCM역량과 기업운영성과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r= .721**, p=.000으로 높은 양의 선형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전략적제휴와 기업운영성과간의 상관관계는 r=.623**, p=.000으로 양의 선형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기술개발과 기업운영성과간의 상관관계 r=.707** p=.000으로 양의 선형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역량집중화와 기업운영성과간의 상관관계는 r=.492**, p=.000으로 양의 선형관계가 각 변수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062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착수 및 준비와 기업운영성과간의 상관관계는 r=.121 p=.107 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상세기획과 기업운영 성과간의 상관관계 r=-.304**, p=.000으로 약한 음의 선형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실행관리와 기업운영성과간의 상관관계는 r=.916 p=.916으로 양의 선형관계가 뚜렷해 보이지만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공분산 구조모형이 연구가설에 적합한 정도를 알아본 결과, χ²=236.14, p=.000, Q=2.75, RMSEA=.065, NFI=.934, CFI=.932, GFI=.945, AGFI=.902, TLI=.923, Delta2=.943으로 분석되어 구조방정식의 모형은 검증되었으며, 경로계수의 적합도는 검증되었음을 알 수 있다.
90 이상이면 적합하다(홍세희, 2000).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에 대한 이론적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는 양호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최종모형의 경로계수 및 유의도 값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소벤처기업의 SCM역량으로서의 전략적 제휴, 기술개발, 역량집중화 요인과 프로세스 개선 요인으로서의 착수 준비, 상세 계획, 실행관리 요인이 운영성과요인으로서의 품질성과, 원가절감, 수익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실증해주었다. 이는 중소벤처기업의 SCM을 도입하여 역량을 극대화시켜 프로세스를 보다 개선시키고성과를 높이기 위해 중소벤처기업에 적합한 전략적 제휴와 기술개발과 동시 역량집중화를 위한 선별적 투입전략이 요구되고 이의 조기 적용과 정착을 위해 중소벤처기업 자체 내 업무 프로세스의 착수준비, 상세계획을 기획하여 뚜렷한 전사적 목표 관리하에 공동 실행에 옮김으로서 이들 속성에 비례한 엄격한 관리와 실행이 이어질 때 기대성과 또한 극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열악한 중소기업 내부의 불량률을 낮추고 공급망과 협력사의 SCM역량을 하나의 유기체처럼 결집시켜 경쟁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통합함으로써 성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SCM역량으로 조달, 생산, 납품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 인해 당해 열악한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함과 동시 학제적, 실무적 유용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일부 업체만을 대상으로 한 점에서 연구 결과를 전국에 일반화 하는데 제한을 갖는다.
SCM역량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공급사슬역량의 Cronbach‘s Alpha값을 저해하는 문항을 삭제하여 .722 로 허용기준치인 .6이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만족할 만한 신뢰도가 충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스개선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프로세스개선의 Cronbach‘s Alpha값을 저해하는 문항을 삭제하여 .762 로 허용기준치인 .6이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만족할 만한 신뢰도가 충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업운영성과 척도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기업운영성과의 Cronbach‘s Alpha값을 저해하는 문항을 삭제하여 .633 으로 허용기준치인 .6이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만족할 만한 신뢰도가 충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측정변수들의 적합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KMO 측도를 사용하였고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유의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Bartlett의 구형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요인 분석에 대한 KMO 값이 .772로 측정변수들이 요인분석에 적합하다고 증명되었으며, 유의확률 또한 .000으로 요인들의 상관관계가 유의하다고 측정되었다. 설명력은 80%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또한 SCM역량으로 원료 수송과 조달, 생산, 납품에서 고객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 인해 당해 열악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구 동향에 미루어 볼 때 기존 연구가 대기업 중심의 성과에 관한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중소벤처기업의 고객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역량결집과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특히 기술역량 결집이 요구되는 중소벤처기업의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Robinson & Malhotra, 2005; 장형욱·이상식, 2006; 윤현덕 외, 2012; 강성배·문태수, 2014; 박상선 외, 2015). 따라서 중소벤처기업 관점에서 재무 및 운영 성과측면이 아닌 SCM역량결집을 위한 공급사슬측면에 대한 고유 속성을 도출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가 요구된다.
이러한 낮은 효율에 따라 SCM역량을 높이기위해서는 SCM역량과 관련된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역량결집으로 SCM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을 중소벤처기업에 적합한 속성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Lambert & Cooper, 2000; 이준희, 2014; 김병조, 2015).
이러한 낮은 효율에 따라 SCM역량을 높이기위해서는 SCM역량과 관련된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역량결집으로 SCM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을 중소벤처기업에 적합한 속성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Lambert & Cooper, 2000; 이준희, 2014; 김병조, 2015). 또한, 열악한 중소기업 내부의 불량률을 낮추고 공급망과 협력사의 SCM역량을 하나의 유기체처럼 결집시켜 경쟁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통합함으로써 성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SCM역량으로 조달, 생산, 납품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 인해 당해 열악한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함과 동시 학제적, 실무적 유용성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SCM역량으로 조달, 생산, 납품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 인해 당해 열악한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함과 동시 학제적, 실무적 유용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일부 업체만을 대상으로 한 점에서 연구 결과를 전국에 일반화 하는데 제한을 갖는다. 따라서 향후 전국적 균등화한 표본 조사를 통한 후속적 연구를 통해 미비점이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일부 업체만을 대상으로 한 점에서 연구 결과를 전국에 일반화 하는데 제한을 갖는다. 따라서 향후 전국적 균등화한 표본 조사를 통한 후속적 연구를 통해 미비점이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CM역량의 활용이란?
이를 위해서는 기업이 직면한 SCM역량의 활용과 탐색이 정착되어야 한다(문상미·허문구, 2013). 여기서 SCM역량의 활용은 기업이 단기간에 가시적 성과를 내기 위한 전략으로 기존시장에서 지식과 역량을 개선하는 활동이며, 탐색은 장기적인 차원에서 미래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과 새로운 기술 그리고 새로운 역량을 개발하여 기회를 추구하려고 하는 노력을 의미한다.
기존의 SCM역량에 대한 연구가 중소기업에 적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투자비용 대비효과에 중점을 둔 대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중소기업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규모와 조직관리 자원과 역량에 있어 차이가 있으며, SCM의 도입에 따른 운영 또한 상이하기 때문이다(Kim et al., 2006).
공급사슬관리의 목표는?
공급사슬관리 (SCM: Supply Chain Management)는 기업의 다양한 기능과 영역을 내부적으로 통합시키고 공급자와 유통업체, 고객의 활동영역까지 효과적인 연계를 통하여 역량을 극대화시켜 종국적으로 성과를 극대화 시키는 데 있다. 최근, 기업의 효율성 측면에서 SCM역량이 조달, 생산, 유통,판매에 이르는 프로세스 개선과 운영성과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는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어왔다(Mello &Stank, 2005; 하병천·이창훈, 2012; 김진민·박광태, 2014).
참고문헌 (46)
Aldrich, H., & Auster, E. R.(1986). Even Dwarfs Started Small: Liabilities of age and size and their strategic implic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8, 165-198.
Aragon-Correa, J. A., Hurtado-Torres, N., Sharma, S., & Garcia-Morales, V. J.(2008). Environmental strategy and performance in small firms: A resource-based perspectiv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86(1), 88-103.
Coulthard, M.(2007). The rol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firm performance and the potential influence of relational dynamism, Journal of Global Business & Technology, 3(1), 29-39.
Covin, J. G., & Slevin, D. P.(1989). Strategic management of small firms in hostile and benign environment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0(1), 75-87.
Cua, K. O., McKone, K. E., & Schroeder, R. G.(2001). Relationships between implementation of TQM, JIT, and TPM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19(6), 675-694.
Dath, T. S., Rajendran, C., & Narashiman, K.(2009). An empirical study on supply chain management in India: the perspective of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s and suppliers, European Journal of Industrial Engineering, 4(1), 2-39.
Flynn, B. B., Schroeder, R. G., & Sakakibara, S.(1994). A framework for quality management research and an associated measurement instrument,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11(4), 339-366.
Ha, B. C., & Lee, C. H.(2012). An Empirical Study of Supply Chain Orientation: The Impact on Building and Operating Integrated Supply Chain Process and Operational Efficiency, The Korean Association of Shipping and Logistics, 28(4), 581-609.
Hong, S. H.(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Hur, D. S., & Kim, H. J.(2015). The Effects of Korean Large Firms' Knowledge-Based Supplier Development on Their Suppliers' Operational Performance, Yonsei Business Review, 52(2), 279-308.
Jang, H. W., & Lee, S. S.(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Critical Success Factors(CSF) of SCM on Management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19(6), 2561-2584.
Jenkins, H.(2009). A 'business opportunity' model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small-and medium-sized enterprises, Business ethics: A European Review, 18(1), 21-36.
Jung, U. B., Jo, B. Y., & Kim, D. S.(2015). An Empirical Study of the Fit between Levels of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Types of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ociety, 26(4), 511-530.
Kang, S. B., & Moon, T. S.(2014).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IT Competence on Supply Chain Performance through Supply Chain Dynamic Capabilities, Korean Management Review, 43(1), 245-272.
Kaynak, H.(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quality management practices and their effects on firm performance,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1(4), 405-435.
Kim, B. J.(2015).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Alliance Cap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8(6), 1603-1625.
Kim, C. B.(2002). A Case Study on Success Factors of Partnerships in SCM Companies,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arch, 2(2), 99-118.
Kim, D., Cavusgil, S. T., & Calantone, R. J.(2006). Information system innovation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channel relationships and firm performanc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4(1), 40-54.
Kim, J. M., & Park, K. T.(2014). Success Factors for Partnership between Large Firm and SME(Small and Medium Enterprises, Korea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19(4), 27-49.
Kim, J. Y.(2008). The Effects of SCM Antecedents and Activities on Balanced Performance, A Doctoral Thesis at Ho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Kim, Y. J., Kim, S. W., & Kim, Y. G.(2016). A Study on the Effects of a Supplier's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Collaboration Process on Supply Chain Quality Performance: An Empirical Approach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ociety, 27(2), 225-248.
Kristal, M. M., Huang, X., & Roth, A. V.(2010). The effect of an ambidextrous supply chain strategy on combinative competitive capabil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8(5), 415-429.
Lee, S. M., Lee, Y. G., & Lee, G. Y.(2007). The Impacts of SCM Partnership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ociety, 18(3), 105-133.
Lee, S. B., & Kim, C. S.(2017). The Effects of Supply Chain Exploration and Application Strategies on Corporate Oper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apabiliti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2), 423-433.
Lee, S. B., & Park, J. K.(2018). A Study on the SCM Competency Modeling and Process Improvement in Small and Venture Compani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3(2), 115-123.
Lee, J. H.(2014). A Study on the Linkage between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of Social Capital,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31(2), 127-166.
Lumpkin, G. T., & Dess, G. G.(1996).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1), 135-172.
Lumpkin, G. T., & Dess, G. G.(2001). Linking two 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o firm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 and industry life cycl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6(5), 429-451.
Mello, J. E., & Stank, T. P.(2005). Linking firm culture and orientation to supply chain suc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Management, 35(8), 542-554.
Mentzer, J. T., DeWitt, W., Keebler, J. S., Min, S., Nix, N. W., Smith, C. D., & Zacharia, Z. G.(2001). Defining supply chain management, Journal of Business Logistics, 22(2), 1-25.
Park, S. S., Lee, M. H., & Lee, J. G.(2015). Co-operatives and Supply Chain Collab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ociety, 26(3), 351-374.
Peng, M. W., Wang, D. Y., & Jiang, Y.(2008). An institution-based view of international business strategy: A focus on emerging economie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39(5), 920-936.
Robinson, C. J., & Malhotra, M. K.(2005). Defining the concept of supply chain quality management and its relevance to academic and industrial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96(3), 315-337.
Shin, H., Collier, D. A., & Wilson, D. D.(2000). Supply management orientation and supplier/buyer performance, Journal of Operation Management, 18(3), 317-333.
So, S. H.(2004). An Empirical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Supply Chain Partnership, A Doctoral Thesi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Thompson, A. A., Strickland, A. J., & Gamble, J. E.(2003). Strategic management: concepts and Cases McGraw-Hill, New Delhi.
Wiklund, J., & Shepherd, D.(2003). Knowledge-based resourc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13), 1307-1314.
Yoon, H. D., Sung, J. S., & Seo, R. B.(2012). The Effect of Coope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in Supply Chain Management(SCM) on the Willingness to Initiate CSR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7(2), 25-34.
Zahra, S. A., & Covin, J. G.(1995). Contextual influences o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performance relationship: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0(1), 43-58.
Zhou, L.(2007).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proclivity and foreign market knowledge on early internationalization. Journal of World Business, 42(3), 281-29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