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PLC를 이용한 남해 진주만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특성 연구
A Study of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by UPLC Located in the Jinju Bay,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6 no.1, 2018년, pp.62 - 72  

이유진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손문호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김정배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전가은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상헌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주만 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시공간적 군집 분포와이를 조절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물리, 화학적인 환경조사와 더불어 UPLC-CHEMTAX program을 이용한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의 Chlorophyll ${\alpha}$ 농도는 평균 $1.84{\mu}gL^{-1}$ ($0.13{\sim}9.03{\mu}gL^{-1}$)로 얕은 수심과 조석의 혼합이 활발한 본 연구해역에서 겨울철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해역에서 나타난 주요 식물플랑크톤 군집 중 규조류가 연구기간 동안 평균 77.1%로 대부분 우점하였으나, 하계 (6월, 7월, 8월) 은편모류 (7.7~18.8%), 담녹조류 (7.8~17.3%), 와편모류 (4.9~13.9%)의 분포비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은편모류와 담녹조류는 현미경으로 검경하기 어려운 군집이며, 동기간 보고된 현미경 관찰결과에도 나타나지 않아 향후 이들 군집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UPLC 활용하여 진주만 어장 생태계의 기초 생산자이자 먹이원으로 작용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및 시공간적 변동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현미경 검경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은편모류와 담녹조류 군집이 하계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UPLC로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향후 1차 생산에 관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계절 변화의 기초정보로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identified farm ecosystem in Jinju Ba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using a UPLC pigment analysis and a CHEMTAX program from the timeframe of February 2013 to Janu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진주만 어장생태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HPLC를 이용한 식물플랑크톤 색소 분석 방법(Wright et al. 1991)을 UPLC와 컬럼의 조건에 맞추어 전환하여 진주만의 식물플랑크톤 생물량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식물플랑크톤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특성을 파악하여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플랑크톤은 무엇인가? 해양생태계의 먹이망에서 식물플랑크톤은 일차 생산자로서 동물플랑크톤과 양식생물 등 고차소비자에게 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및 군집 조성은 물리, 화학적인 환경요인의 영향에 의해 뚜렷한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James 1979),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특징을 파악하여 해역의 특성을 평가하고 (Raymont 1980; Lee et al.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및 군집 조성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해양생태계의 먹이망에서 식물플랑크톤은 일차 생산자로서 동물플랑크톤과 양식생물 등 고차소비자에게 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및 군집 조성은 물리, 화학적인 환경요인의 영향에 의해 뚜렷한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James 1979),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특징을 파악하여 해역의 특성을 평가하고 (Raymont 1980; Lee et al. 2014), 해양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이 된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측정하기 위해 식물플랑크톤의 주 광합성 색소인 Chlorophylla의 농도를 측정하거나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하는 것에 어떤 문제점이 존재하는가? 1985), 현미경을 통한 직접적인 관찰을 이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방법은 Chlorophyll a의 분해산물들이 함께 측정이 되어 과대평가가 되거나(Welschmeyer 1994), 현미경 관찰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초미세 플랑크톤에 의해 과소평가가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존재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혼합색소를 단일색소로 분리 후 정량·정성 분석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Wrigh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 SH, K You and MS Han. 2017.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seasonal variation of bacteria and heterotrophic nanoflagellate in Kyeonggi bay,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5:198-206. 

  2. Bowles ND, HW Paerl and J Tucker. 1985. Effective solvents and extraction periods employed in phytoplankton carotenoid and chlorophyll determination. Can. J. Fish. Aquat. Sci. 42:1127-1131. 

  3. Choi YK, JY Yang, YS Lee, J Yu, DK Kim, IS Han and WJ Go. 2007.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in the dry and wet seasons in the South Sea of Korea. J. Environ. Sci. Int. 16:459-466. 

  4. Cloern JE and R Dufford. 2005. Phytoplankton community ecology: principles applied in San Francisco Bay. Mar. Ecol. Prog. Ser. 285:11-28. 

  5. De Villiers A, F Lestremau, R Szucs, S Gelebart, F David and P Sandra. 2007. Valuation of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art I.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J. Chromatogr. A. 1127:60-69. 

  6. Furuya K, M Hayasi, Y Yabushita and A Lshikawa. 2003.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East China Sea in spring and summer as revealed by HPLC-derived pigment signatures. Deep Sea Res. II. 50:367-387. 

  7. Guillarme D, DT Nguyen, S Rudaz and JL Veuthey. 2007. Recent developments in liquid chromatography-impact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J. Chromatogr. A 1149:20-29. 

  8. James A. 1979. The value of biological indicators in relation to other parameters of water quality. pp. 1-16. In: Chap. 1. James A. and L. Evison (eds.), Biological indicators of water quality. John Wiley and Sons, USA. 

  9. Jeffrey SW, RFC Mantoura and SW Wright. 1997. Phytoplankton pigments in oceanography. UNESCO Publishing, Paris. 

  10. Jung KY, YJ No, BJ Kim and KS Park. 2012. Model trajectory simulation for the behavior of the Namgang dam water in the Kangjin bay, South Sea, Korea.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4:97-108. 

  11. Jung MH and SH Yoon. 2013.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coastal area, 2011-2012. The Sea 18:214-226. 

  12. Karthik R, KM Arun, ES Sai, SR Siva and G Padmavati. 2012. Phytoplankton abundance and diversity in the coastal waters of port Blair, South Andaman Island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J. Mar. Biol. Oceanogr. 1:2. 

  13. Kim CK, JT Lee and HS Jang. 2010. Water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Chinju bay of Korea.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2:215-223. 

  14. Kim HJ, BM Kwak, JH Ahn and JS Park. 2014.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ynephrine and N-Methyltyramine in orange fruit and juice from Korean market by UPLC-FLD. Korean J. Food Sci. Technol. 46:276-282. 

  15. Kwon KY, CH Moon and HS Yang. 2001. Behavior of nutrient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Korean J. Fish. Aquat. Sci. 34:199-206. 

  16. Kwon KY, CH Kim, CK Kang, CH Moon, MO Park and SY Yang. 2011. Limiting nutrients for phytoplankton growth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s determined by algal bioassay experiment. Korean J. Fish. Aquat. Sci. 35:455-462. 

  17. Lee JY and M Jang. 2014. Size dependent analysis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during low water temperature periods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 Sea,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2:168-175. 

  18. Lee YS, YT Park, KY Kim, JS Park, WJ Go, YJ Jo and SY Park. 2001. Countermeasure and outbreak mechanism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1.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outbreak and disappearance of C. polykrikoides bloom. The Sea 6:259-264. 

  19. Lee YW, MO Park, YS Kim, SS Kim and CK Kang. 2011. Applic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 analysis using a HPLC and CHEMTAXprogram to studi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The Sea 16:117-124. 

  20. Mackey MD, DJ Mackey, HW Higgins and SW Wright. 1996. CHEMTAX - a program for estimating class abundances from chemical markers: application to HPLC measurements of phytoplankton. Mar. Ecol. Prog. Ser. 144:265-283. 

  21. Noh JH, S Yoo, JA Lee, HC Kim and JH Lee. 2005. Phytoplankton in the waters of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determined by microscopy, flow cytometry, HPLC pigment data and remote sensing. Ocean Polar Res. 27:397-417. 

  22. Oh SJ, JS Lee, JS Park, IH No and YH Yoon. 2008. Environmental factor on the success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Jinju Bay,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11:98-104. 

  23. Park K, MR Jo, JY Kwon, KT Son, DS Lee and HJ Lee. 2010.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Gangjinma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614-622. 

  24. Park MO and JS Park. 1997. HPLC method for the analysis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from marine phytoplankton. Ocean Sci. J. 32:46-55. 

  25. Raymont JEG. 1980. Plankton and productivity in the oceans 2nd Ed. volume Phytoplankton. Pergamon Press. p. 489. 

  26. Ro YJ and KY Jung. 2010. Impact of the Dam water discharge on the circulation system in the Kangjin Bay, South Sea, Korea. Ocean Sci. J. 45:17-35. 

  27. Smayda TJ. 1980. Phytoplankton species succession. pp. 493- 570. In: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hytoplankton. ed. by Morris I. Blackwell, Oxford. 

  28. Wafar MVM, P Le Corre and JL Birren. 1983. Nutrients and primary production in permanently well mixed temperate coastal waters. Estuar. Coast. Shelf Sci. 17:431-446. 

  29. Welschmeyer NA. 1994. Fluorometric analysis of chlorophyll a in the presence of chlorophyll b and pheopigments. Limnol. Oceanogr. 39:1985-1992. 

  30. Wright SW, SW Jeffrey, RFC Mantoura, CA Llewellyn, T Bjornland, D Repeta and N Welschmeyer. 1991. Improved HPLC method for the analysis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from marine phytoplankton. Mar. Ecol. Prog. Ser. 77:189-196. 

  31. Yamanoto T and M Okai. 2000. Effects of diffusion and upwelling on the formation of red tides. J. Plankton Res. 22:363- 380. 

  32. Yoon YH. 1995. Seasonal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red tide organisms in the Northern Kamak bay, Southern Korea. Bull. Mar. Sci. Inst., Yosu Nat'l Fish. Univ. 4:1-15. 

  33. Yoon YH. 1998.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Wando Eastern coastal waters, Southwestern Korea. Bull. Yosu Nat'l Univ. 12:651-664. 

  34. Yoon YH. 2014.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Jangsu Bay and adjoining sea of South Sea,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2:75-87. 

  35. Yoon YH and SA Kim. 1996. Season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population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1. A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 and water quality in the dry season in the Yosuhae Bay and adjoining sea. J. Korean Environ. Sci. Soc. 5:347-359. 

  36. Zapata M, F Rodriguez and JL Garrido. 2000. Separation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from marine phytoplankton: A new HPLC method using a reversed phase C8 column and pyridine containing mobile phases. Mar. Ecol. Prog. Ser. 195:29-45. 

  37. Zhu ZY, WM Ng, SM Liu, J Zhang, JC Chen and Y Wu. 2009. Estuarine phytoplankton dynamics and shift of limiting factors: A study in the Changjiang (Yangtze River) Estuary and adjacent area. Estuar. Coast. Shelf Sci. 84:393-4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