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FISK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를 이용한 강릉남대천의 잠재적 침습 이입종 평가
The Evaluation of Potential Invasive Species in the Gangneungnamdae Stream in Korea using a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6 no.1, 2018년, pp.73 - 81  

김정은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황구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선행된 연구자료의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강릉 남대천 내 이입종의 현황을 파악하고,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침습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강릉 남대천에 서식하고 있는 국내 타수계 이입종은 12종으로 조사되었으며, 1982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입종의 FISK 평가 결과 피라미 (Zacco platypus)와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가 높은 침습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SK 질문의 답변에 대한 신뢰도 값은 평균 $3.2(3.06{\pm}0.16{\sim}3.42{\pm}0.13)$로 분석되었으며, 최대 신뢰도 값이 4인 것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점별 물리적 서식지 평가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결과 평균 146 (88~171)으로 최적의 서식처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점별 하천 인근 토지이용률과 QHEI, 이입종 출현빈도를 구분한 결과 하천의 고도가 낮아질수록 QHEI 값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토지이용 측면에서는 산림지역이 감소하고, 도심지역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어류군집, QHEI, 하천 인근 토지이용률, 이입종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천 상 하류간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고도와 지점별 종수 (r= -0.782, p=0.0127), 종수와 산림지역 (r= - 0.737, p=0.0234), QHEI와 도심지역 (r= - 0.292, p= 0.446)과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타수계 이입종의 경우 도심지역과는 양의 상관성 (r=0.313, p=0.412)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nslocated species using a precede study and a model to evaluate the potential invasiveness that could adversely affect the aquatic ecosystem in the Gangneungnamdae Stream. A total of 12 translocated species were investigated and id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인 강릉남대천의 비토착종을 대상으로 FISK 기법을 이용하여 잠재적 침습 위험종을 평가하고, 이입종의 침습성 강화 요인인 하천 인근 토지이용과 특성을 파악하여 이입종에 의해 발생 가능한 수생태계 위협의 관리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된 연구자료의 어류 군집을 이용하여 강릉 남대천 내 이입종의 현황을 파악하고,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침습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강릉 남대천에 서식하고 있는 국내 타수계 이입종은 12종으로 조사되었으며, 1982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가설 설정

  • (2009)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물리적 교란에 의한 서식처 변화는 이입종의 침습성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해당 수계로의 안정적인 정착의 기회를 증대시키며, 물리적 환경 변화에 대한 감수성이 적은 토착 개체군의 감소를 야기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 한다 (Didham et al. 2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입종의 성장이 수계에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강릉 남대천의 이입종 도입 경로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기록이나 보고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지역주민에 의한 무분별한 방류 또는 하천 복원에 따른 종다양성 및 어족자원의 증진을 위해 본 수계로 도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입종의 성장은 수계 고유의 군집구조를 변형시키고, 종간경쟁을 통해 토착종의 생존과 번식을 위협하여 개체군의 감소 또는 지역적 절멸을 야기할 수 있다 (Didham et al. 2005).
한반도에 분포하는 담수어류는 여러 가지 지질학적 혹은 생태적학 조건 등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각각의 제한된 분포 범위를 지니며, 고립된 수계별로 서로 다른 어류상과 독특한 생태적 지위를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반도 담수어류의 분포 구계에 있어 백두대간 서쪽으로 흐르는 한강 수계는 서한아에 속하며, 동해로 유입되는 강릉 남대천 이북의 하천은 동북한아에 속한다 (Jeon 1980). 이러한 이유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담수어류는 여러 가지 지질학적 혹은 생태적학 조건 등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각각의 제한된 분포 범위를 지니며, 고립된 수계별로 서로 다른 어류상과 독특한 생태적 지위를 가지게 된다 (Jeong 1977; Choi 1984; Kim 1997; Kim et al.
어류의 수계간 이동은 무엇을 통해 이뤄지는가? 2005). 어류의 수계간 이동은 어족자원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어종의 도입, 어민들의 경제적 소득을 위한 방류, 하천의 경관을 통해 이루어지는 어메니티 (Amenity) 향상을 위한 도입, 지역주민 및 환경단체에서 행해지는 방류 활동, 일부 지진에 의한 지각변동에 따른 새로운 어종의 도입 등의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최근 특정 수계에 서식하는 어종이 다른 수계로 옮겨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국민과 정부의 무관심으로 인해 어류의 이동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lmeida D, F Ribeiro, PM Leunda, L Vilizzi and GH Copp. 2013. Effectiveness of FISK, an invasiveness screening tool for non-native freshwater fishes, to perform risk identfication assessments in the Iberian Peninsula. Risk Anal. 33:1404- 1413. 

  2. An KG, SH Jung and SS Choi. 2001. An evaluation on health conditions of Pyeong-Chang River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Korean J. Limnol. 34:153-165. 

  3. Baron JS, NL Poff, PL Angermeler, CN Dahm, PH Gleick, NG Hairston, RB Hackson, GA Johnston, BD Richter and AD Steinman. 2002. Meeting ecological and societal needs for freshwater. Ecol. Appl. 12:1247-1260. 

  4. Byeon HK. 2014. Habitat characteric of Coreoperca herzi and Coreoleucisecus splendidus and effect on introduce to different water system. Korean J. Nat. Conserv. 16:13-23. 

  5. Byeon HK and JK Oh. 2015. Fluctuation of fish community and inhabiting status of introduced fish in Gangeungnamdae Stream,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9:718-728. 

  6. Byeon MS, HK Park, WO Lee and DS Kong. 2008.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Lake Paldang and its inflows. J. Korean Soc. Water Environ. 24:206-213. 

  7. Casal CMV. 2006. Global documentation of fish introductions: the growing crisis and recommendations for action. Biol. Invasions 8:3-11. 

  8. Chae BS, SK Kim, YH Kang, NS HEO, JM Park, HU Ha and UW Hwang. 2015.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upper reach of the Nakdong River, Korea. Korean J. Ichthyol. 27:116-132. 

  9. Choi JS, HK Byeon and KS Choi. 1995. Studies on stream conditions and fish community in Osip Stream (Samchuk County). Korean J. Limnol. 28:263-270. 

  10. Choi JW and KG An. 2013.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on stream order in Southern Han River watershed and physical habitat assessments. Korean J. Environ. Biol. 31:440-447. 

  11. Choi KC, SR Jeon and IS Kim. 1984. The atlas of Korean freshwater fishes. Kor. Ins. Fres. Biol. 1-95. 

  12. Copp GH, L Vilizzi, J Mumford, GV Fenwick, MJ Godard and RE Gozlan. 2009. Calibration of FISK, an invasiveness screening tool for non-native freshwater fishes. Risk Anal. 29:457-469. 

  13. Copp GH, R Harthwaite and RE Gozlan. 2005. Risk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non-native freshwater fishes: Concepts and perspectives on protocols for the UK. Science series Technical Report. Cefas, Lowesoft. 

  14. Didham RK, JM Tylianakis, MA Hutchison, RM Ewers and NJ Gemmell. 2005. Are invasive species the drivers of ecological change? Trends Ecol. Evol. 20:470-474. 

  15. Gozaln RE. 2008. Introduction of non-native freshwater fish: is it all bad? Fish Fish. 9:106-115. 

  16. Han JH and KG An. 2013. Chaemical water quality and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the mid-to downstream reach of Geum River. Korean J. Environ. Biol. 31:180-188. 

  17. Han JH, CS Park, JW An, KG An and WK Paek. 2015. Identification guide to freshwater fishes of Korea. EcoNature, Seoul. 

  18. Hong SS and SH Kim. 2014.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Seoul stream and its surrounding urban fabric: Focused on Jungnangcheon, Tancheon, Anyangcheon. Korean Ins. Architect. 34:239-240. 

  19. Hong YK, KH Kim, KM Kim, GH Lim, MY Song and WO Lee. 2016.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Wangpicheon. Korean J. Environ. Ecol. 30:874-887. 

  20. Jang MH, GI Cho, HB Song, HK Byeon, HW Kim and GJ Joo. 2003. Fish distribution and water quality of mountain streams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col. 26:297-305. 

  21. Jeon SR. 1980.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from Korea. Ph. D. Dissertation, Univ. of Chungang, Seoul. pp. 14-49. 

  22. Jeon SR. 1982. A study on fish fauna basin of small stream system flowing into the East Sea, Korea. Korean J. Nat. Conserv. Report. pp. 231-248. 

  23. Jeong MG.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Korea. pp. 1-727. 

  24. Kim CH, WO Lee, KE Hong, CH Lee and JH Kim. 2006a.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Namdae Stream, Yangyang, Korea. Korean J. Ichthyol. 18:112-118. 

  25. Kim CH, KE Hong, JH Kim and KH Kim. 2006b. Ichthyofauna in Yeongok Stream, Gangneung, Korea. Korean J. Ichthyol. 18:244-250. 

  26. Kim CH, EJ Kang, H Yang, KS Kim and WS Choi. 2012.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collected from near estuary of Seomjin River and population ecology. Korean J. Environ. Biol. 30:319-327. 

  27. Kim HM, JH Lee and KG An. 2008. Water quality and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in urban stream ecosystems. Korean J. Environ. Biol. 26:311-322. 

  28.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sa. Seoul. pp. 1-615. 

  29.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Yeongi. pp. 1-518. 

  30. Kim JR and CL Lee. 2001.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from the Dongjin River system, Korea. Korean J. Ichthyol. 13:40-49. 

  31. Kim YP, EH Lee and KG An. 2009.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of Dongjin River based on chemical measurement and fish assemblage analysis. Korean J. Limnol. 42:183-191. 

  32. Lawson LL, JE Hill, S Hardin, L Vilizzi and GH Copp. 2015. Evaluation of the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 (FISK v2) for peninsular Florida. Management 6:413-422. 

  33. Lee WO, CB Kang, HU Park, MC Han, HK Byeon, JG Myeong, CH No, GP Hong, HP Song, BS Chae, KH Han, JR Go and YP Hong. 2003. The introduced fishes of Korea. Guryongmunhwasa, Seoul. 

  34. Lee WO, MH Ko, JM Bak, DH Kim, HJ Jeon and KH Kim. 2010.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Buk stream of Gos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2:238-248. 

  35. Lozon JD and HJ MacIsaac. 1997. Biological invasions: are they dependent on disturbance? Environ. Rev. 5:131-144. 

  36. Mastitsky SE, AY Karatayev, LE Burlakova and BV Adamovich. 2010. Non-native fishes of Belarus: Diversity, distribution and risk classification using the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 (FISK). Aquat. Invasions 5:103-114. 

  37. Mendoza R, S Luna and C Aguilera. 2015. Risk assessment of the ornamental fish trade in Mexico: Analysis of freshwater species and effectiveness of the FISK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 Biol. Invasions 17:3491-3502. 

  38. Onikura N, J Nakajima, R Inui, H Mizutani, M Kobayakawa, M Fukuda, S Fukuda and T Mukai. 2011. Evaluating the potential for invasion by alien freshwater fishes in northern Kyushu island, Japan, using the Fish Invasiveness Scoring Kit. Ichthyol. Res. 58:382-387. 

  39. Piria M, M Povz, L Vilizzi, D Zanella, P Simonovic and GH Copp. 2015. Risk screening of non-native freshwater fishes in Croatia and Slovenia using the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 Fisheries Manag. Ecol. 23:21-31. 

  40. Puntila R, L Vilizzi, M Lehtiniemi and GH Copp. 2013. First Application of FISK, the freshwater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 in Northern Europe: Example of Southern Finland. Risk Anal. 33:1397-1403. 

  41. Rand TA, JM Tylianakis and T Tscharntke. 2006a. Spillover edge effects: the dispersal of agriculturally subsidized insect natural enemies into adjacent natural habitats. Ecol. Lett. 9:603-614. 

  42. Rand TA and SA Louda. 2006b. Spillover of agriculturally subsidized predators as a potential threat to native insect herbivores in fragmented landscapes. Conserv. Biol. 20:1720- 1729. 

  43. Ricclardi A and JB Rasmussen. 1999. Extinction rates of North American freshwater fauna. Conserv. Biol. 13:1220-1222. 

  44. Ross ST. 1991. Mechanisms structuring streams fish assemblages are there lessons from introduced species. Environ. Biol. Fishes 30:359-368. 

  45. Suarez AV and TJ Case. 2002. Bottom-up effects on persistence of a specialist predator: Ant invasions and horned lizards. Ecol. Appl. 12:291-298. 

  46. Tarkan AS, L Guler Ekmekci, L Vilizzi and GH Copp. 2014. Risk screening of non-native freshwater fishes at the frontier between Asia and Europe: First application in Turkey of the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 J. Appl. Ichthyol. 30: 392-398. 

  47. Vilizzi L and GH Copp. 2013. Application of FISK, an invasiveness screening tool for non-native freshwater fishes in the Murray-Darling Basin (Southeastern Austrailia). Risk Anal. 33:1432-1440. 

  48. Whittier TR and TM Kincaid. 1999. Introduced fish in Northeastern USA lakes: regional extent, dominance, and effect on native species richness. Trans. Am. Fish. Soc. 128:769- 783. 

  49. Won DH, MS Byun, JH Park, SW Lee and SJ Hwang. 2010. The assessment of stream ecosystem health and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aquatic ecosystem health in five major rivers in Korea. KSCE and KES Joint Conference. pp. 149- 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