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춘천닭갈비에 훈연액 및 염지제 첨가가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Smoke and Curing Mix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cheon Dakgalbi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가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v.45 no.1, 2018년, pp.29 - 39  

정해성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축산식품과학전공) ,  백기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축산식품과학전공) ,  김준태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축산식품과학전공) ,  이성기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축산식품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의 춘천닭갈비의 기호도와 저장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훈연액(0%, 0.05%, 0.1%, 0.2%)과 0.1% 훈연액이 포함된 염지제(0.2%, 0.3%)를 수준별 첨가하여 저장성 실험과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통해 최적의 비율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훈연액 첨가는 색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pH 값을 다소 증가시켰고,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결과, 훈연액 첨가수준에 따라 향의 강도가 증가하여 명확한 차이를 나타냈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 0.1% 훈연액이 가장 높은 기호도 점수를 받았다. 이를 토대로 두 번째 실험에서 염지제를 수준별 첨가하여 춘천닭갈비의 저장성 실험과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색도는 양념육류의 특성상 명확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고, 훈연액과 염지제 첨가는 저장말기에 급격한 pH 값의 감소를 억제하였고, TBARS 및 VBN 측정결과, 훈연액 단독 처리구보다 훈연액 및 염지제 처리구가 더 지방산화 및 단백질 변패를 억제하였으며, 0.3% 염지제 처리구에서 단백질 변패 억제력이 더 높았다. 훈연액 첨가는 대장균군과 일반 세균수의 증가를 억제하였고, 염지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 0.3% 염지제 첨가구의 기호도가 0.2% 염지제 첨가구에 비해 낮았다. 그러므로 저장성과 기호도가 향상된 춘천닭갈비를 제조할 때 저장성과 기호도를 고려해 0.1% 훈연액과 0.2% 염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권장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e present work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addition amounts of liquid smoke and curing mixture to develop Chuncheon Dakgalbi with improved preference and shelf-life. In the first experiment, Chuncheon Dakgalbi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liquid smoke. In the second exper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춘천닭갈비보다 향상된 기호도와 저장성을 갖도록 훈연액과 염지제를 닭갈비에 첨가하여 저장기간 중 품질변화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훈연액과 염지제 첨가수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춘천닭갈비의 기호도와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훈연액(0%, 0.05%, 0.1%, 0.2%)과 0.1% 훈연액이 포함된 염지제(0.2%, 0.3%)를 수준별 첨가하여 저장성 실험과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통해 최적의 비율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훈연액 첨가는 색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pH 값을 다소 증가시켰고,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결과, 훈연액 첨가수준에 따라 향의 강도가 증가하여 명확한 차이를 나타냈다.

가설 설정

  • 3%)로 명명하였고, 이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이후 시료는 온도상승과 같은 악조건상황을 가정하여 8℃의 냉장고에서 보관하였다. pH values, 색도, TBARS, VBN,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수와 같은 저장실험들은 0일, 7일, 14일, 21일, 28일, 33일, 47일 그리고 56일에 실험이 진행되었고, 소비자 기호도 평가는 시료제조 후 일주일 이내에 진행되었다.
  • 열처리된 닭갈비는 15℃에서 10분간 냉각 후 220 g씩 Polyethylene 재질의 포장재(Jinwoong Chemical, Gyeonggi, Korea)에 넣어 진공포장기(IV-2000, In- coin Tech, Gyeonggi, Korea)로 진공포장 하였다. 제조된 시료는 유통과정 중에 온도상승과 같은 악조건을 가정하여 8℃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시료제조 후 24시간 이내에 색도와 pH values 측정이 이루어졌고, 48시간 이내에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분석 및 소비자 기호도 평가가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험 결과 춘천닭갈비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첨가한 훈연액과 염지제의 효과는 어떠하였는가? 이를 토대로 두 번째 실험에서 염지제를 수준별 첨가하여 춘천닭갈비의 저장성 실험과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색도는 양념육류의 특성상 명확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고, 훈연액과 염지제 첨가는 저장말기에 급격한 pH 값의 감소를 억제하였고, TBARS 및 VBN 측정결과, 훈연액 단독 처리구보다 훈연액 및 염지제 처리구가 더 지방산화 및 단백질 변패를 억제하였으며, 0.3% 염지제 처리구에서 단백질변패 억제력이 더 높았다. 훈연액 첨가는 대장균군과 일반세균수의 증가를 억제하였고, 염지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더 높은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 0.
염지란 무엇인가? 염지란 고기의 육색과 풍미, 저장성, 가공적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금, 설탕, 아질산염, 인산염 등을 고기에 첨가하는 것을 말하며, 훈연액(liquid smoke)이란 훈연재를 태워 생성되는 연기와 목재의 건류에서 생성되는 목초액(wood vinegar) 등의 연기성분을 액체형태로 추출한 것이라고 한다(Kim et al., 1998).
춘천닭갈비는 2가지 문제점을 갖는 데, 그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춘천닭갈비는 2가지 문제점에 직면해 있는데, 첫째는 시중의 춘천닭갈비가 천편일률적인 맛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며, 둘째는 냉장유통되는 닭갈비의 특성상 유통기한이 짧아 닭갈비를 생산하는 영세한 업체에게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onymous 2001 Semi-Conduct Sensors. Alpha MOS, Toulouse, France. 

  2. Anonymous 2002 Operating Manual. Alpha MOS, Toulouse, France. 

  3. Byun JS, Min JS, Kim IS, Kim JW, Chung MS, Lee MH 2003 Comparison of indicators of microbial quality of meat during aerobic cold storage. J Food Prot 66(9): 1733-1737. 

  4. Choi YS, Choi JH, Kim HY, Kim HW, Lee MA, Chung HJ, Lee SK, Kim CJ 2011 Effect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in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 31(1):9-18. 

  5. Choi YI, Kim BC, Park GB, Sung SK, Lee MH, Lee SK, Chung MS, Joo ST, Choi YI 1998 Processing of red meat. Pages 179-206 In: The Science of Muscle Foods. Sunjin munhwasa, Gyeonggi, Korea. 

  6. Gheisari HR, Hamzeloo A, Hosseinzadeh S, Basiri S 2017 Curing effects on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 camel meat using most probable number-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J Microbiol Biotech Food Sci 6(4):1026-1029. 

  7. Jeong CH, Shim KH 2002 Nitrite-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ood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9(3): 351-355. 

  8. Kim YJ, Kim MB, Moon YI, Kim YB 1991 Processing of brine soaked and smoked duck meat: pan-broiling yield and sensory evaluation of brined or smoked duck meat. Korean J Ani Sci Technol 33:852-856. 

  9. Kim JY, Kim YS, Lee SK 2004 Aroma pattern analysis of hanwoo beef (M. longissimus) using electronic nos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 24(3):260-265. 

  10. Kohsaka K 1975 Freshness preservation of food and measurement. The Food Industry 18:105-111. 

  11. Korkeala H, Makela P 1989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vacuum-packed cooked ring sausages.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 9:33-43. 

  12. Lee KI, Hwang YJ, Ban HJ, Lim SJ, Jin HJ, Lee HS 2015 Impact of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market and policy tasks. Pages 21-45 I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Jeollanam-do, Korea. 

  13. Leroi F, Joffraud JJ, Chevalier F, Cardinal M 2001 Research of quality indices for cold-smoked salmon using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of microbiological counts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J Appl Microbiol 90(4):578- 587. 

  14. Lund MN, Heinonen M, Baron CP, Estevez M 2011 Protein oxidation in muscle foods: A review. Mol Nutr food Res 55(1):83-95. 

  15. Makela P, Schillinger U, Korkeala H, Holzapfel WH 1992 Classification of ropy slim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based on DNA-DNA homology, and identification on Lactobacillus sake and Leuconostoc amelibiosum as dominant spoilage organisms in meat products.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 16:167-172. 

  16. McGeea MR, Henryb KL, Brooksb JC, Rayb FK, Morganb JB 2003 Injection of sodium chloride, sodium tripolyphosphate, and sodium lactate improves Warner-Bratzler shear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re-cooked inside round roasts. Meat Sci 64(3):273-277.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Processing of Standards and Ingredients Specifications for Livestock Products. Osong, Korea. Pages 220-230. 

  18. Muhlisin, Kang SM, Choi WH, Kim CJ, An BK, Kang CW, Lee SK 2012 New approach to Chuncheon Dakgalbi processing by various chicken materials, seasoning and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An 32(6):740-748. 

  19. Noh BS, Kim SS, Jang PS, Lee HG, Kim TJ 2008 Food Preservation. Soohaksa, Korea. Pages 145-342. 

  20. Nychas GJE, Drosinos EH, Board RG 1998 Chemical changes in stored meat. Pages 288-326 In: The Microbiology of Meat and Poultry, Davies A, Blackie Academic and Professional. London, UK. 

  21. Samelis J, Kakouri A, Rementzis J 2000 The spoilage microflora of cured, cooked turkey breasts prepared commercially with or without smoking.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 56:133-143. 

  22. Seo KI, Ha KJ, Bae YI, Jang JK, Shim KH 2000 Antimicrobial activity of oak smoke flavoring. Korean J Posthavest Sci Technol 7(3):337-341. 

  23. Sinnhuber RO, Yu TC 1977 The 2-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 objective measure of the oxidative deterioration occurring in fats and oils. J Japan Soc Fish Sci 26:259-267. 

  24. Von Holy A, Cloete TE, Holzapfel WH 1991 Qua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populations associated with spoiled, vacuum-packed Vienna sausages. Food Microbiol 8(2):95-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