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CSI 선행요인 모형에 기반한 도서관 조직성과 평가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An Application of PCSI Antecedent Model to Development of Library Organiz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1, 2018년, pp.369 - 391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정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  표순희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의 성과목표 달성 정도를 도서관 각 부서별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으로, '공공기관 고객만족지수(Public-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이하 PCSI)모형'의 선행요인 모형을 활용하여 방법론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규모 도서관 한 곳을 선정하여 업무를 분석하고 업무 중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성과목표와 관련 있는 업무만을 추출하여 12개 서비스 품질지표와 매핑하였다. 매핑 결과는 서비스품질에 대한 고객의 평가를 기반으로 조직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측정표로 설계되었다. 도서관 이용자 341명이 참여한 설문조사로 서비스 품질을 실제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업무분석표에 대입함으로써 조직 전체와 부서별 성과평가 점수를 산출하였다. 서비스품질 점수를 활용한 이 부서별 성과평가 방법론은 전 부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각 부서의 개별적 성과까지 평가할 수 있는 단일 측정도구를 제시하므로 그 효율성이 높다. 추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결과에 제안한 개선안도 추가 검증함으로써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에 기반한 정성적 평가도구로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ement scheme that assesses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library department unit level by applying PCSI model, a Public-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Specifically, this study adopted the Antecedent Model, a component of the PCSI's three-part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검증한 통합 조사도구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 전체의 서비스 성과측정을 목표로 하면서도 통합 설문지 프레임을 기반으로 요소별로 각 부서별로 적합한 질문지를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PCSI 의 이론적 프레임워크 안에서 각 부서의 구체적 업무내용을 12개 서비스품질 요소로 담아 부서별로 독립적인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측정 대상 부서별로 요소별 문항개발에 대한 노력과 더불어 부서별 설문지 개발을 필요로 한다.
  • 본 연구는 도서관 조직 전체는 물론 각 부서별 성과를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고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PCSI 선행요인 모형의 “서비스품질” 개념을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검증한 통합 조사도구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 전체의 서비스 성과측정을 목표로 하면서도 통합 설문지 프레임을 기반으로 요소별로 각 부서별로 적합한 질문지를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PCSI 의 이론적 프레임워크 안에서 각 부서의 구체적 업무내용을 12개 서비스품질 요소로 담아 부서별로 독립적인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PCSI 모형의 하부 모형중 하나인 선행요인 모형을 구성하는 12개 서비스품질 요소에 주목하여, 도서관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적 측정도구를 설계함으로써 조직 전체는 물론 각 부서별 성과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도서관을 조사사례로 선정하여 그 도서관의 부서별 성과목표를 분석하는 한편, 이용자 설문 조사를 통해 도서관 서비스품질을 측정함으로써 부서별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론을 설계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객만족에 기반한 조직의 성과 목표 달성 정도를 조직 내 부서별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할 목적으로, ‘공공기관 고객 만족지수(Public-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이하 PCSI)모형’을 활용한 고객만족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든 부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간명하게 구성된 통합된 단일 측정 도구를 통해 A도서관 전체는 물론 각부서의 성과평가까지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각 부서 서비스품질의 구체적인 내용과 서비스별 구체적인 강약점이 이용만족이나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개별 부서 차원에서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PCSI 선행요인 모형의 12개 서비스품질 요소를 활용하여 통합적 측정도구를 설계함으로써 조직 전체는 물론 조직 내 부서별 성과평가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A도서관을 사례분석하여 설계한 본 연구는 PCSI 모형에 선행요인으로 포함된 12개 품질요소를 토대로 조직 내 부서별 목표를 수집하고 그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의의는 PCSI 모형을 적용할 때, 그 하위모형인 선행요인 모형의 활용성을 확장 하여 조직 내 부서별 조직의 목표대비 성과측정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이다.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은 물론 기관성과에 영향을 비치는 가장 근저의 선행요인임이 인과모형 검증에서 확인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서비스품질 점수를 활용한 부서별 성과평가 방법론은 그 논리적인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PCSI 모형의 하부 모형중 하나인 선행요인 모형을 구성하는 12개 서비스품질 요소에 주목하여, 도서관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적 측정도구를 설계함으로써 조직 전체는 물론 각 부서별 성과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도서관을 조사사례로 선정하여 그 도서관의 부서별 성과목표를 분석하는 한편, 이용자 설문 조사를 통해 도서관 서비스품질을 측정함으로써 부서별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론을 설계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성과 측정방법은 고객만족을 통해 조직성과를 측정하는 PCSI라는 검증된 평가도구의 틀 안에서 부서별 성과목표 달성 정도를 이용자 관점에서 평가하는 성과 목표 관리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객만족에 기반한 조직의 성과 목표 달성 정도를 조직 내 부서별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이 필요한 근거는 무엇인가? 고객중심의 조직성과 평가에서 부딪치게 되는 실제적인 문제점 하나는 한 조직의 모든 부서가 동일한 수준으로 고객서비스에 관여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도서관에서도 고객서비스가 핵심 업무가 되는 열람 및 정보서비스 부서가 있는 반면에, 후방에서 고객서비스를 지원하는 기획 및 총무부서도 존재한다. 후자의 업무 역시 고객 만족과 무관하지 않다. 성과 평가 결과를 분석할 때 각 부서별 기여도 또는 책임성 정도를 제대로 파악해 내기가 쉽지 않으므로, 조직 내 각 부서별 대고객 서비스의 기여도를 제대로 반영하여 고객의 서비스경험을 정확히 측정하도록 보다 정교히 조사도구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고객만족도 지표란 무엇인가? 고객만족도는 이용자 중심의 정성평가로 대표할 수 있는 주관적인 지표로, 객관적인 성과 척도로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공공서비스의 책임성 고취, 고객 수요의 파악, 고객 지향적인 서비스 제공과 정당성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유용한 지표이다. 또한, 축적된 고객만족 연구들로 인해 혜택이나 가치측정 등이 갖는 모형 검증에 대한 요구나 지표 개발에 대한 부담 없이 도서관의 성과를 이용자를 통해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척도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고객만족도 지표의 장점은 무엇인가? 고객만족도는 이용자 중심의 정성평가로 대표할 수 있는 주관적인 지표로, 객관적인 성과 척도로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공공서비스의 책임성 고취, 고객 수요의 파악, 고객 지향적인 서비스 제공과 정당성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유용한 지표이다. 또한, 축적된 고객만족 연구들로 인해 혜택이나 가치측정 등이 갖는 모형 검증에 대한 요구나 지표 개발에 대한 부담 없이 도서관의 성과를 이용자를 통해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척도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국립민속박물관. 2016. 2016년 국립민속박물관 고객만족도 조사.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n. 2016. 2016 Consumer Satisfaction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n. Seoul: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n.) 

  2. 국립중앙도서관. 2016. 2016년 국립중앙도서관 이용만족도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권나현, 표순희, 이정연. 2018. 공공기관 고객만족지수(Public Consumer Satisfaction Index) 모형을 적용한 도서관 고객만족도 측정.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313-340. (Kwon, Nahyun, Soon Hee Pyo, and Jungyeoun Lee. 2018. "Measuring Library User Satisfaction using the Public Consumer Satisfaction Index (PCS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1): 313-340.) 

  4. 권나현. 2015.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 평가. 일상생활에서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혜택에 대한 전국 성인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169-194. (Kwon, Nahyun. 2015. "A National Study of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y Services: Measuring the Perceived Benefits of Public Library Services among Korean Adult Library Us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169-194.) 

  5. 김광진. 2017. 국회도서관 서비스의 품질향상 방안에 관한 고찰. 국회도서관보, 454: 20-31. (Kim, KwangJin.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Services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National Assembly Library, 454: 20-31.) 

  6. 김지혜, 김기영. 2014. 공공도서관 조직성과와 조직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연구: $LibQUAL+^{TM}$ 모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3): 65-87. (Kim, Jihae and Giyeong Kim.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Service Quality Measured with $LibQUAL+^{TM}$ ."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3): 65-87.) 

  7. 심원식, 이은철. 2013. LibQUAL+를 활용한 국내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측정 사례 조사. 정보관리학회지, 30(2): 245-268. (Shim, Wonsik and Eun Chul Lee. 2013. "Service Quality Assessment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using LibQUAL+: A Case Study."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245-268.) 

  8. 오현복 외. 2015. 교육서비스품질, 고객만족, 기관성과, 사회성과의 구조적 관계분석: A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HRD 연구, 17(1): 1-29. (Oh, Hyun Bok, Mee Hyang Nam, Gyeong Suk Lee, and In Woo Park.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7(1): 1-29.) 

  9. 이선희, 김완종. 2016. 과학기술 정보서비스품질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 인식이 이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3): 365-382. (Lee, Seon-Hee and Wan-Jong Kim. (2016). "Impac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Perceived Importance on User Loyal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365-382.) 

  10. 이청림, 이유재. 2012. 공공기관 고객만족지수 모형의 개발과 적용. 마케팅연구, 27(4): 69-99. (Lee, Cheonglim and Youjae Yu.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ublic-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Index(PCSI) model." Korea Marketing Review, 27(4): 69-99.) 

  11. 장윤금, 이지수, 이혜영. 2014.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광장 이용자의 만족도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201-220. (Yunkeun Chang, Jisu Lee, and Hyeyoung Lee. 2014.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Behavior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2): 201-220.) 

  12. 전라북도 성과관리과. 2014. 전라북도 출연기관 등의 고객만족도 조사 요약 보고서. 전주: 전라북도. (Jeollabuk-do Performance Management Department. 2014.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Report by Jeonbuk Province. Jeonju: Jeonrabukdo.) 

  13. 조찬식, 최항석. 2014.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원들의 주관적 직무성과와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399-414. (Cho, Chan-Sik and Hang-Sok Choi. 2014. "The Influence of the Library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on Job Performance and Role-Conflict of the Library Staf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2): 399-414.) 

  14. 차미경, 표순희, 2008. 공공도서관 향유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329-354. (Cha, Mikyung and Soon Hee Pyo.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joyment Indicator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329-354.) 

  15. 최문정, 서은경. 2016. 서울소재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인식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3): 77-101. (Choi, Mun-Jung and Eun-Gyoung Seo. 2016.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n Public Libraries in Complex Facilitie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77-101.) 

  16. 표순희, 정동열. 2008. 공공도서관 경제적 이용가치 측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209-234. (Pyo, Soon-Hee and Dong-Youl Jeong. 2008. "A Study 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Economic Use Value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d Information Science, 42(2): 209-234.) 

  17. 한인섭. 2009. 성과지표와 고객만족도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3(2): 177-200. (Han, In-Sup. 2009. "Linking Performance Measures with Customer Satisfaction in Public Servic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3(2): 177-200.) 

  18. 현미환, 김완종, 이혜진, 김혜선. 2013. PCSI를 이용한 과학기술정보 오픈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133-154. (Hyun, Mi-Hwan, Wan-Jong Kim, Hye-Jin Lee, and Hye-Sun Kim. 2013.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Open Service for Sharing of S&T Information, using the Public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Index(PCSI)."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133-154.) 

  19. Vakkari, Pertti, and Sami Serola. 2012.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 38-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