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상황 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 창설 및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 and Operating Plan of Reserve Components Emergency Response Force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4 no.1 = no.39, 2018년, pp.9 - 16  

Seo, SeungBae (Department of Military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초록

재난상황하에서는 신속한 지역단위 재난복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재난대응체계에서는 대민지원, 자원봉사 등 수준에서 재난복구를 시행하고 있으므로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초기대응 및 재난복구 지연, 재난 지속시 대응 미흡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재난상황시 지자체단위 초기 대응능력 구비와 신속히 재난복구를 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진 부대의 창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하 긴급 재난복구를 통한 지역안정과 재해 주민구호, 재난이전으로의 신속한 전환을 위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를 창설과 운용방안 수준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we need people who specialize in rapid regional disaster recovery. However, in the present disaster response system, disaster relief is carried out at the level of public support, volunteer service, etc.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initial response due to lack of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미국의 주방위군과 유사하게 해당 州 재난 및 위기상황 대처의 기본조직으로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를 창설하여 평시에는 해당 광역시·도의 재해·재난복구, 국지도발 대비작전, 대테러작전 등에 투입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거나, 전시에는 후방지역작전 또는 기동타격임무를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겠으나, 본고에서는 재난복구에 주요 중점을 두고 기술하려고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에서 전문재난구조부대로서의 현용전력과 더불어 미국의 사례처럼 민간정부와 비정부기구가 감당하지 못할 대형재난이 발생 시 주지사가 주방위군을 즉각 소집하여 재난을 대응 및 복구하거나, 일본의 경우처럼 자위대가 재난발생시 정보수집, 연락관 운용, 위기관리활동 체제의 확립과 병행하여 인명구조, 구급․의료․구조 활동등 응급대책 활동이 가능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 창설 및 운용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또한, 특정지역에서만 운용되는 부대가 아닌, 상황을 고려하여 인접 광역시·도로 전환하여 운용한다면 재난상황을 극복하는데 상당한 시너지효과가 있을 것임에 분명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난을 신속하게 극복하고, 성공적인 초기 재난대응을 통한 재난복구 및 지역안정을 상시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예비군 긴급대응부대 창설 및 운용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비상근 복무인원의 선발은 현재의 예비군처럼 지원예비군으로 선발하면 될 것이다. 그렇게 선발할 경우에는 이의 제한을 극복가능하고, 재난상황시 현장에 투입할 경우의 급여는 비상근 복무 인원(1일 15만원)에 준하여 지급하면 예산의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National Civil Defense Disaster Safety Education Center(2017), 2017 Education and Training Plan Institute of Security Management(2011. 3.) Reservist service study 

  2. Tae-Woong, Kim(2017), A Case Study on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3. Tae-Woong, Kim(2016), Disaster management theory 

  4. Deok-Keun, Park(2006), "The Role of the Army in Disaster Management System", Korean House for the Management of Crisis Vol.2, No.1, pp.1-13 

  5. Chang Suk, Ko(2012), "The Role of the Army in Disaster Management and Direction of Preparation", Korean House for the Management of Crisis Vol.8, No.2, pp.162-179 

  6. Dolche, S. (2001). Nondestructive damage detection in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U.S. Patent No. 1,454,210. 

  7. Dong Gyun, Park (2013), "The Role of the U.S. Army in Disaster Management and the Korean Implicati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Risk Management Vol.9, pp.35-36 

  8. Mi Hee, Jeon(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tional Crisis Management System, A doctoral dissertation at Jeonbuk University's Graduate School 

  9. Yong Jin,Yoo(2017), A Study on the Army's Role Expans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from a Comprehensive Security Perspective, A master's degree from 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10. Chul Hun, Kwon(2008), Determining the Proper Needs of Support Equipments and Materials by Disaster Type, Defense University 

  11. Joon-young, Huh(2014),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the Response to Future Disaster, Korean House for the Management of Crisis, Vol.10, No.10, pp.173-195 

  12. Kyung Hee, Cho(2015), Japan's law on safety protection and the enhancement of the role of the SDF, Parliamentary discussion, Vol.10, No.2, pp.291-314 

  13. Framework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2017), Ministry of Justice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Disaster Relief Act(2016), Ministry of Justice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14. Changyeal Lee(2015), A Study of the stockpile and mobilization framework for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11, No.3, pp.37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