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거 재난사례분석을 통한 재난 의사결정 체크리스트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to Construct a Decision-making Checklist through the Analysis of Past Disaster Case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6 no.2 = no.48, 2020년, pp.248 - 266  

서경민 (Disaster Policy Research Cente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  임상규 (Disaster Policy Research Cente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  최우정 (Disaster Policy Research Cente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난유형별 체크리스트 작성을 통해 해당재난에 대한 적합한 대응체계 수립과 정확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체크리스트 요인 도출을 위하여 태풍재난을 대상으로 과거 사례분석(태풍 루사(2002), 태풍 매미(2003), 태풍 차바(2016))을 진행하였다. 일반적인 현황(기후·기상)정보와 사례별 특징 등을 분석하여 체크리스트 요인 도출을 위한 그룹핑(grouping)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사례조사를 통해 크게 국가단위(National level)와 지자체 단위(county level)로 분류하였다. 국가단위의 항목으로는 기상예보, 태풍상륙여부, 태풍강도, 태풍반경, 중심기압, 호우동반 여부, 이동속도, 이동경로 총 8개를 도출하였고, 지자체 단위에서는 지역특성을 반영해야 항목들을 중심으로 과거 유사 태풍 유무(경로 등), 태풍상륙시점, 지역특성, 인구밀집 시기, 선행재난 복구 여부, 최근 재난발생 이력, 2차 피해, 예·경보 시스템으로 총 8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결론: 재난 발생 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체크리스트를 활용·적용한다면 보다 신속한 의사결정이 이루어 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재난발생시 재난실무자들의 대응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지역특성을 반영했기 때문에 좀 더 명확하고 신속한 재난 대비·대응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checklist for each type of disaster and to suggest a method for establishing an appropriate response system and making accurate and rapid decision-making. Method: In order to derive checklist factors, previous case analyses (Tropical Storm Rusa (2002...

주제어

표/그림 (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시의 재난안전상황실의 역할은 무엇인가? 평시의 재난안전상황실은 다양한 기상정보 및 소관재난과 관련한 현황 정보, 재난방재시설에 대한 정보, 다양한 사고정보 등이 NDMS(국가재난정보관리시스템)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다가 재난시로 전환이 되면 재난안전 및 위기상황 종합관리, 재난상황 접수, 파악, 전파, 상황판단 및 초동보고를 위한 역할 등을 담당하게 된다. 하지만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중앙 재난안전상황실과 소관 재난을 관리하는 부처별 재난안전상황실은 전담공무원, 상시근무 등 체계가 갖춰진 상태에서 운영되고 있지만 시・군・구의 경우 재난관리 부서에서 41종의 재난을 모두 대응하고 전담인력 부족 등 원활한 상황실 운영에 어 려움을 겪고 있다.
재난 특성으로 인한 정보 수집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국내는 처음 신고접수를 받는 재난상황실과 대책본부가 이원화 되어있기 때문에 상황실에서 정보 수집・전파의 역할만 수행하고 대책본부 설치 후에는 일원화 된 정보수집이 아닌 해당 소관 부서에서 정보를 취합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정보수집절차에 대한 내용이 부재하다. 또한 재난 특성상 재난진행과정에서 시시각각 변화하는 형태를 체크할 수 있는 절차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는 신속한 의사결정 어렵고 정보의 왜곡 등이 발생 할 수 있다.
미국 EOC은 왜 신속하게 운영되는가? 미국 EOC 가동 기준은 재난 개수, 규모,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EOC는 상황실과 대책본부의 기능이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일단 가동이 되면 사고와 재난을 판단할 수 있는 초기상황판단의 시간을 줄이고 초기에 재난 확대를 막기 위한 대응 및 수습 체계로 신속하게 운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Donghae-si (2002). Flood White Book: Typhoon RuSa. 

  2. Gangneung-si (2002). Flood White Book: Typhoon RuSa. 

  3. Geije-si (2003). Flood White Book: Typhoon Meami. 

  4. Goseong-gun (2002). Flood White Book: Typhoon RuSa(2002. 8. 31 - 9. 1). 

  5. Na, H., Jung, W.-S., Park, J.-K. (201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ximum wind speed distributions by typhoon track in the Korea peninsula."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5, No. 1, pp. 36-48. 

  6. KMA (2011). TYPHOON WHITE BOOK, www.kma.go.kr. 

  7. KMA (2012). Learn form the last 20 years-Intensive rain Top10, www.weather.go.kr. 

  8. KMA (2016). Characteristic of 18th Typhoon Chaba, www.weather.go.kr. 

  9. KMA (2019). Analysis Report on Influence of the Korean Peninsula, www.kma.go.kr. 

  10.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2003), Field Survey Report of Damages Caused by Typhoon Maemi in 2003. 

  11. NDMI (2016). 18th Typhoon ChabaMajor damage factor. 

  12. NDMI (2017). A Case Study on the Response by Disaster Type. 

  13. Nicolas, A.V., Paul, E.T. (2017). "Case Studies in Disaster Response and Emergency Management." Bookkorea. 

  14. Samcheok-si (2002). Flood White Book: Typhoon RuS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