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oT개념을 활용한 중증도 분류 시스템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IoT concept implemented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4 no.1 = no.39, 2018년, pp.28 - 35  

Kim, Seungyong (Departmen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Kim, Gyeongyong (YangPyeong Fire Station) ,  Hwang, Incheol (Secuware Co., Ltd.) ,  Kim, Dongsik (KCC Corpor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 또는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수사상자의 중증도 분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여 구현하였으며,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의 정확도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 등 현장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하였다. 개발된 e-Triage System은 IoT개념을 활용하여 다양한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중증도 분류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NFC 모듈 등 전자적 요소를 반영한 e-Triage Tag를 구현하였다. 앱으로 구현된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환자의 평가가 가능함을 입증하였고, 시인성을 위해 전자 중증도 분류 결과를 4가지 LED램프로 표출하였으며, 2차 분류를 통해 RTS 점수를 FND(Flexible Numeric Display)로 표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llowing research has focused and implemented on designing a system that classifies the severity of mass casualty situations across both normal and disaster levels. The system's algorithm has implemented requirements such as accuracy as well as user convenience. The developed e-Triage System 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시스템은 다수사상자 발생 현장에서 정확하고 신속한 환자의 중증도 평가를 수행하고, 평가결과를 실시간으로 집계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이송병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인명 소생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IoT/ICT 기반의 다수사상자 대응 시스템이다. e-Triage App에는 다수의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재난 현장에서의 다수사상자 관리 방법으로 사물인터넷을 활용하는 관리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관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그 정확성 및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 또는 일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수사상자의 중증도 분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여 구현하였으며,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의 정확도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 등 현장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물인터넷이란? 우리 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진입하였다. 즉,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으로 알려진 인터넷 시대를 살아가고 있으며, IoT는 일반적으로 유비쿼터스 인텔리전스가 장착된 모든 일상적 객체의 네트워크 연결을 의미한다(Feng Xia et al., 2012).
e-Triage System이란? e-Triage System은 다수사상자 발생 현장에서 병원 전 단계의 중증도 분류를 돕는 시스템으로써 중증도 분류 알고리즘이 내장된 스마트폰 앱 형태의 e-Triage App과 분류된 증증도 결과에 따라 색상과 점수를 표출할 수 있는 전자적 형태의 중증도 분류 태그인 e-Triage Tag 및 다수사상자의 분류 현황 등을 실시간 집계하며, 각종 통계를 제공하는 관제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START는 어떠한 분류법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가? , 2008). 이 분류법은 가장 직관적이면서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환자의 중증도 분류법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enson M, Koenig KL, Schultz CH. Disaster triage: START, then SAVE-a new method of dynamic triage for victims of a catastrophic earthquake. Prehospital Disaster Med. 1996; Apr-Jun; 11(2): 117-24 [PubMed Citation] 

  2. Champion HR, Sacco WJ, Carnazzo AJ, Copes W, Fouty WJ (September 1981). "Trauma score". Crit. Care Med. 9 (9): 672-6 

  3. Feng Xia, Laurence T. Yang, Lizhe Wang, Alexey Vinel "Editorial Internet of Things" Int. J. Commun. Syst. (2012); 25:1101-1102. 

  4. Field K, Norton I., "Australian triage tags: a prospective, randomised cross-over trial and evaluation of user preference", Emerg Med Australas. 24:321-8. 14(2012) 

  5. Hyun b., Yun Y., Park Y., Kim y. " Study on the direction detection based on audible and non-audible signals using smart de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13.1(2017), 51-58. 

  6. Kim M., Kim D., Lee M. "The study on the functions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Public institutions Disaster mitigation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12.1 (2016), 32-39 

  7. Lerner EB, Schwartz RB, Coule PL, et al. "Mass Casualty Triage: An Evaluation of the Data and Development of a Proposed National Guideline."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2(Suppl. 1) 2008, pp S25-S34 

  8. Mitchell GW., "A brief history of triage", Disaster Med Public Health Prep., 2 Suppl 1:S4-7(2008) 

  9. Momeni, A. (2007). Disaster Triage. Emergency Health Manager Training Program. Retrieved October 10, 2008 

  10. START Adult Triage Algorithm. Radiation Emergency Medical Management: REMM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ttp://www.remm.nlm.gov/startadult.htm 

  11. Taber, Clarence Wilbur; Venes, Donald (2009).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Fa Davis Co. p. 2366. ISBN 0-8036-1559-0 

  12. Varshney K., Mallows J., Hamd M., "Disaster triage tags: is one better than another?", Emerg Med Australas. 24: 187-93(2012) 

  13. Wikipedia. (2008). Triage.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trieved October 18, 2008, from http://en.wikipedia.org/wiki/Tri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