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된 도라지 종자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1, 2018년, pp.99 - 110  

김양지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지영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석중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해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종자로부터 유지를 제조하여 새로운 식용유지로서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oxhlet 용매 추출에 비해 6,000 psi 압력 및 $40^{\circ}C$ 온도조건에서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로 더 많은 유지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볶은 종자로부터는 32.7%까지 얻을 수 있었다. 볶은 종자로부터 얻은 초임계 도라지 종자유는 시판 대두유나 들깨유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중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T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유지는 고도로 불포화된 지질로 대두유나 들깨유보다 linoleic acid(73.27%) 함량이 훨씬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oleic acid(13.16%) 함량이 높았다. 유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비중 0.92, 점도 45.37 cP, 굴절률 1.48, 색도 L=47.30, a=-3.69, b=25.72, 요오드가 141.57 g $I_2/100g$ oil, 비누화가 191.21 mg KOH/g oil, 산가는 2.60 mg KOH/g oil 였다. 이런 특성들 중에서 지질의 불포화도와 관련이 있는 굴절률, 점도 및 요오드가는 두 시판 유지들의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 법으로 측정한 산화유도기간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초임계 추출 도라지 종자유(2.03 hr)는 대두유(2.94 hr)보다는 낮으나 들깨유(1.79 hr)보다는 높은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종자 볶음 공정은 유지의 추출 수율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에스터 함량과 산가 감소에 긍정적 효과도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통해 볶은 도라지종자로부터 높은 수율로 유지를 제조할 수 있었고 이 유지는 식용유지로서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oil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was prepared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SCE) and its physicochemical indices as a new edible oil were investigated. Compared to Soxhlet solvent extraction, SCE under the condition of 6,000 psi at $40^{\circ}C$ produ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도라지 종자로부터 유지를 추출하였고 유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에 잘 알려진 대두유 및 들깨유와도 그 특성을 비교함으로서 새로운 식용유지로서 도라지 종자유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건강기능 식용유지자원으로 도라지 종자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로 도라지 종자유를 제조한 후 지질 및 지방산 조성, 물리·화학적 특성, 그리고 산화안정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특성들에 대해 시판 대두유 및 들깨유와 비교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도라지 종자로부터 유지를 추출하였고 유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에 잘 알려진 대두유 및 들깨유와도 그 특성을 비교함으로서 새로운 식용유지로서 도라지 종자유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3) 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임계 유체가 효율적인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초임계 유체(supercritical fluid)란 어떤 물질의 임계점 이상의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존재하는 유체로 액체와 기체의 중간 특성을 보인다. 즉, 낮은 점도와 표면장력, 그리고 높은 확산계수로 인해 고체 물질로 쉽게 침투해 유효 성분을 효율적 추출시킬 수 있다[21]. 특히, 여러 초임계 유체 중 이산화탄소는 비교적 낮은 임계점(1,070 psi, 31℃), 불연성, 무독성, 추출물과의 반응성이나 부식성이 거의 없고 재활용 가능성이 높아 경제적인 장점을 가진 천연용매이다[21-24].
도라지란?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는 한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의 산간지방에 널리 자생하는 초롱꽃과 식물이다[1]. 식물체 부위 중 뿌리가 주로 이용되는데 1~2년 근은 나물용[2]으로, 3년 이상 근은 약용으로 쓰이는데 건조시킨 뿌리(길경)는 예로부터 거담, 진해, 소염, 해열, 진통, 감기, 기침 등에 효과가 있는 민간처방 약재로 알려져 있다[3,4].
초임계 유체 중 이산화탄소가 경제적인 장점을 가진 천연용매인 이유는? 즉, 낮은 점도와 표면장력, 그리고 높은 확산계수로 인해 고체 물질로 쉽게 침투해 유효 성분을 효율적 추출시킬 수 있다[21]. 특히, 여러 초임계 유체 중 이산화탄소는 비교적 낮은 임계점(1,070 psi, 31℃), 불연성, 무독성, 추출물과의 반응성이나 부식성이 거의 없고 재활용 가능성이 높아 경제적인 장점을 가진 천연용매이다[21-24]. 특히 낮은 온도에서의 추출이 가능하여 열에 불안정한 물질의 추출에 매우 적합하며, 중성지질같은 비극성물질을 잘 용해시키므로 초음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포도, 호박, 복숭아, 호두, 헤즐넛, 유채, 목화, 대두, 해바라기, 아마 등의 종자에서 유지를 추출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 H. Lim, A Medicinal Phytology (The details). p.281, Dong Myoung Sa, (1971). 

  2. N. J. Sung, J. K. Seo, "Medical Action of Perennial Platycodon radix," Proc. of Inst. Agr. Res. Util. Symposium for 50th Anniversary GSNU, pp. 35-47, (1998). 

  3. H. C. Kim, Hanyakyakrihak, pp. 350-352, Jibmoondang, (2001). 

  4. H. K. Kim, J. S. Choi, D. S. Yoo, Y. H. Choi, G. H. Yon, K. S. Hong, B. H. Lee, H. J. Kim, E. H. Kim, B. K. Park, Y. C. Jeong, Y. S. Kim, S. Y. Ryu, “HPLC Analysis of Saponins in Platycodi radix,” Korean J. Pharmacogn., Vol. 38, No. 2, pp. 192-196, (2007). 

  5. T. Kubota, H, Kitatani, H. Hinoh, “The Structure of Platycogenic Acids A, B, and C, Further Triterpenoid Constitu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J. Chem. Soc. D: Chem. Comm., Vol. 22, No. 22, pp. 1313-1314, (1969). 

  6. A. Tada, Y. Kaneiwa, S. Shibata, “Studies on the Saponins of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I. Isolation and the Structure of Platycodin-D,” Chem. Pharm. Bull., Vol. 23, No. 11, pp. 2965-2972, (1975). 

  7. C. Y. Shin, W. J. Lee, E. B. Lee, E. Y. Choi, K. H. Ko, “Platycodin D and $D_3$ Increase Airway Mucin Release in vivo and in vitro in Rats and Hamsters,” Planta Med., Vol. 68, No. 3, pp. 221-225, (2002). 

  8. C. Wang, G. B. Schuller Levis, E. B. Lee, W. R. Levis, D. W. Lee, B. S. Kim, S. Y. Park, E. Park, “Platycodin D and $D_3$ Isolated from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Modulate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Secretion of TNF- ${\alpha}$ in Activated RAW 264.7 Cells,” Int. Immunopharmacol., Vol. 4, No. 8, pp. 1039-1049, (2004). 

  9. E. Nyakudya, J. H. Jeong, N. K. Lee, Y. S. Jeong, “Platycosides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nd Their Health Benefits,” Prev. Nutr. Food Sci., Vol. 19, No. 2, pp. 59-68, (2014). 

  10. J. W. Lee, S. H. Ji, G. S. Kim, K. S. Song, Y. Um, O. T. Kim, Y. Lee, C. P. Hong, D. H. Shin, C. K. Kim, S. E. Lee, Y. S. Ahn, D. Y. Lee, “Global Profiling of Various Metabolites in Platycodon grandiflorum by UPLC-QTOF/MS,” Int. J. Mol. Sci., Vol. 16, No. 11, pp. 26786-26796, (2015). 

  11. C. H. Jeong, K. H. Shim,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and Ste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35, No. 5, pp. 511-515, (2006). 

  12. C. H. Jeong, G. N. Choi, J. H. Kim, J. H. Kwak, D. O. Kim, Y. J. Kim, H. J. Ho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Aerial Par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Food Chem., Vol. 118, No. 2, pp. 278-282, (2010). 

  13. R. M. Zhao, L. Liu, Q. S. Guo, “Influence of Exogenous Substance on Germination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Zhongguo Zhong Yao Za Zhi, Vol. 31, No. 12, pp. 966-968, (2006). 

  14. Q. S. Guo, R. M. Zhao, L. Liu, Q. T. Dong, Z. W. Fu, “Study on Seed Quality Test and Quality Standard of Platycodon grandiflorum,” Zhongguo Zhong Yao Za Zhi, Vol. 32, No. 5, pp. 377-381, (2007). 

  15. E. C. M. Coxworth, “Oil and Protein Content, and Oil Composition of the Seeds of Some Plants of the Canadian Prairies,” JAOCS, Vol. 42, No. 10, pp. 891-894, (1965). 

  16. A. Inada H. Murata, M. Somekawa, T. Nakanishi, “Phytochemical Studies of Seeds of Medicinal Plants. II. A New Dihydroflavonol Glycoside and a New 3-methyl-1-butanol Glycoside from Seeds of 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Chem. Pharm. Bull., Vol. 40, No. 11, pp. 3081-3083, (1992). 

  17. H. J. Kim, Y. S. Cho, “Characteristics of Rhizome Rot Incidence of Platycodon grandiflorus by Ridge Width and Depth and Cultivation Period in the Seeding Place,” Korean J. Med. Crop Sci., Vol. 19, No. 4, pp. 246-250, (2011). 

  18. S. G. Moon, S. H. Jeong, C. M. Choi, “Classification of the Edible Plants on the Market in Busan,” Korean. J. Life Sci., Vol. 13, No. 6, pp. 764-774, (2003). 

  19. E. Reverchon, I. De Marco,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Natural Matter,” J. Supercrit. Fluids, Vol. 38, No. 2, pp. 146-166, (2006). 

  20. M. M. R. de Melo, A. J. D. Silvestre, C. M. Silva,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Vegetable Matrices: Applications, Trends and Future Perspectives of a Convincing Green Technology," J. Supercrit. Fluids, Vol. 92, pp. 115-176, (2014). 

  21. Y. K. Cho, H. S Kim, J. W Kim, S. Y. Lee, W. S. Kim, J. H. Ryu, G. B. Lim, “Extraction of Glabridin from Licorice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orean J. Biotechnol. Bioeng., Vol. 19, No. 6, pp. 427-432, (2004). 

  22. J. A. P. Coelho, A. P. Pereira, R. L. Mendes, A. M. F. Palavra,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f Foeniculum vulgare volatile oil,” Flavour Fragr. J., Vol. 18, No. 4, pp. 316-319, (2003). 

  23. A. B. A. de Azevedo, T. G. Kieckbush, A. K. Tashima, R. S. Mohamed, P. Mazzafera, S. A. B. Vieira de Melo, “Extraction of Green Coffee Oil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J. Supercrit. Fluids, Vol. 44, No. 2, pp. 186-192, (2008). 

  24. E. Riera, Y. Golas, A. Blanco, J. A. Gallego, M. Blasco, A. Mulet, “Mass Transfer Enhancement in Supercritical Fluids Extraction by Means of Power Ultrasound,” Ultrason. Sonochem., Vol. 11, No. 3-4, pp. 241-244, (2004). 

  25. J. Martinez, A. Carolina de Aguiar, “Extraction of Triacylglycerols and Fatty Acids Using Supercritical Fluids-Review,” Curr. Anal. Chem., Vol. 10, No. 1, pp. 67-77, (2014). 

  26.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18th e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2005). 

  27. T. White, S. Bursten, D. Federighi, R. A. Lewis, E. Nudelman, “High-resolution Separation and Quantification of Neutral Lipid and Phospholipid Species in Mammalian Cells and Sera by Multi-one-dimensional Thin-layer Chromatography,” Anal. Biochem., Vol. 258, No. 1, pp. 109-117, (1998). 

  28. H.T. Slover, E. Lanza, “Quantitative Analysis of Food Fatty Acids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JAOCS, Vol. 56, No. 12, pp. 933-943, (1979). 

  29. S. J. Kim,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Sprouts Extracts on Oxidation of Perilla Oil,”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 29, No. 2, pp. 330-338, (2012). 

  30. N. Siulapwa, A. Mwambungu, "Nutritional Value of Differently Processed Soybean Seeds," Int. J. Res. Agric. Food Sci. Vol. 2, No. 6, pp. 8-16, (2014), 

  31. P. Li, M. A. A. Gasmalla, W. Zhang, J. Liu, R. Bing, R. Yang,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s and Grinding Type on the Yields of Oil and Protein Obtained by Aqueous Extraction Processing," J. Food Eng., Vol. 173, pp. 15-24, (2016). 

  32. F.J. Eller, S. C. Cermak, S. L. Taylor,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f Cuphea Seed Oil," Ind. Crops Products, Vol 33, pp. 554-557, (2011). 

  33. J. Orsavova, L. Misurcova, J. V. Ambrozova, R. Vicha, J. Mlcek, “Fatty Acids Composition of Vegetable Oils and Its Contribution, to Dietary Energy Intake and Dependence of Cardiovascular Mortality on Dietary Intake of Fatty Acids,” Int. J. Mol. Sci., Vol. 16, No. 6, pp. 12871-12890, (2015). 

  34. E. Stahl, E. Schultz, H. M. Mangold, “Extraction of Seed Oils with Liquid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J. Agric. Food Chem., Vol. 28, No. 6, pp. 1153-1157, (1980). 

  35. J. P. Friedrich, G. R. List, “Characterization of Soybean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Hexane,” J. Agric. Food Chem., Vol. 30, No. 1, pp. 192-193, (1982). 

  36. H. J. Lee, T. H. Moon, B. S. Noh, P. S. Chang, G. G, Lee, S. J. Kim, S. H. Ryu, K. W. Lee, Food Chemistry, 3rd ed., p.140, Soohaksa,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