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세사 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에 엄나무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Kalopanax pictus on oxidative damage of neurofilament protein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1, 2018년, pp.194 - 204  

강정훈 (청주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경퇴행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neurofilament-L(NF-L)의 산화적 손상엄나무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용액 상에서 pe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AAPH를 처리하여 NFL의 산화적 변형을 유도하고 엄나무 추출물(KP),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추출물(HE), 엄나무 발효물(KP-HE)을 각각 처리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P와 HE는 peroxyl radical에 의한 NF-L의 산화적 손상을 막지 못했으나 KP-HE는 NF-L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KP-HE는 peroxyl radical에 의한 NF-L 변형에서 나타나는 dityrosine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peroxyl radical 소거활성도 증가시켰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발견되는 신경독성물질인 tetrahydropapaveroline(THP)에 의한 NFL의 변형에 KP, HE, KP-HE가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KP-HE는 KP와 HE에 비해서 THP에 의한 NF-L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KP-HE는 THP에 의한 NF-L 변형에서 나타나는 dityrosine 형성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THP에 의해 유도되는 활성산소 생성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KP-HE가 활성산소와 신경독성물질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므로 엄나무 발효물은 신경퇴행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xtract(KP-HE) from Kalopanax pictus(KP) fermented with Hericium erinaceum(HE) mycelium on oxidative modification of neurofilament-L(NF-L) which is closely related to neurodegenerative disorders.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NF-L was induced by AAPH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엄나무의 항염증, 간 보호 등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며[12], 노루궁뎅이버섯의 생리활성에 관한 항산화, 치매, 항암효과 등의 연구는 진행되었으나[6,13]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엄나무발효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퇴행성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신경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에 엄나무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엄나무란? 엄나무(Kalopanax pictus)는 두릅나무과(Araliaceas)에 속하는 활엽수로서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거풍습, 활혈, 소종 작용이 있다. 그밖에 위액 분비 항진, 거담 작용이 있으며 진통 소염작용이 있어 신경통, 근육통, 관절염, 요통, 암 예방 등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노루궁뎅이버섯이 신체에 작용하는 이점은? 한편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은 동남아시아, 유럽, 일본 등에 분포되어 가을철 활엽수의 고목이나 생목에서 주로 발생한다. 노루궁뎅이버섯은 탄수화물, 아미노산, 무기염류 및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치매억제 기능의 성분인 신경성장인자 (NGF)가 분리되었고[7]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는 사실도 보고되었으며[8] 항암 활성과 면역증강 활성,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산화 활성 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9,10]. 또한, 노루궁뎅이버섯의 인지능력 개선 효능이 알려지면서 치매의 예방효과도 제시되고 있다[11].
엄나무 발효물은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 신경퇴행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이유는?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엄나무 발효물은 활성산소와 신경독성물질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므로 엄나무 발효물은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 신경퇴행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R. Perrot, J. Eyer, “Neuronal intermediate filaments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Brain Res. Bulletin., Vol. 80, No. 4-5, pp. 282-295, (2009). 

  2. U. Lendahl, L. B. Zimmerman, R. D. McKay, “CNS stem cells express a new class of intermediate filament protein,” Cell, Vol. 60, No. 4, pp. 585-595, (1990). 

  3. K. Kosaka, S. Oyanagi, M. Matsushita, A. Hori, “Presenile dementia with Alzheimer-, Pick-and Lewy-body changes,” Acta. Neuropathol. (Berl), Vol. 36, No. 3, pp. 221-233, (1976). 

  4. I. G. Kyeong, W. S. Eum, S. Y. Choi, J. H. Kang, “Oxidative modification of neurofilament-L and neuronal cell death induced by the catechol neurotoxin, tetrahydropapaveroline,” Toxicol. Lett., Vol. 217, No. 1, pp. 59-66, (2013). 

  5. J. D. Hwang, J. S. Choi, J. B. Kim, S. L. Yang,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Extracts from Kalopanax picuts,” J. Invest. Cosmet., Vol. 7, No. 4, pp. 329-337, (2011). 

  6. M. H. Kim, S. Y. Park, Y. J. Jeong, K. Y. Yoon, “Sensory Properties of Kalopanax pictus and Cedrela sinensis Shoots under Different Blanching Conditions and with Different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Vol. 19, No. 2, pp. 201-208, (2012). 

  7. H. Kawagishi, A. Shimada, K. Shizuki, H. Mori, H. Sakamoto, S. Furukawa, E. F. Erinacines, “Stimulators of nerve growth factor (NGF)-synthesis, from the myclia of Hericium erinaceum,” Tetrahedron Lett., Vol. 41, No. 2, pp. 7399-7402, (1996). 

  8. S. H. Park, J. S. Chang, K. R. Lee, “Effect of Hericium erinaceius extract on cancer cell growth and expression of cell cycle associated proteins,” J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 Nutr., Vol. 32, No. 6, pp. 931-936, (2003). 

  9. M. A. Choi, N. Y. Park, S. M. Woo, Y. J. Jeong, S. R. Shin, "Characteristics of Hericium erinaceus and it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 Vol. 10, No. 4, pp. 560-564, (2003). 

  10. T. Mizuno, T. Wasa, H Ito, C. Suzuki, N. Ukai, “Antitumor-activ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the fruiting body of Hericium erinaceum, an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called yamabushiotake or houtou,” Biosci. Biotechnol. Biochem., Vol. 56, No. 2, pp. 347-348, (1992). 

  11. Z. Liu, Q. Wang, J. Cu, L. Wang L. Xiong, W. Wang, D. Li, N. Liu, Y. Wu, C. Mao, "Systemic Screening of Strains of the Lion's Mane Medicinal Mushroom Hericium erinaceus(Higher Basidiomycetes)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A ${\beta}$ -Trigger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Int. J. Med. Mushrooms., Vol. 17., No. 3 pp. 19-29, (2015). 

  12. T. K. Hyun, J. S. Kim, “The pharmacology and clinical properties of Kalopanax pictus,” J. Med. Plants Res., Vol. 3, No. 9, pp. 613-620, (2009). 

  13. K. A. Yearul, K. Shuichi, “Dietary mushroom reduce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J. Nutr. Sci. Vitaminol., Vol. 35, No. 1, pp. 91-98, (1989). 

  14. N. H. Kim, J. H. Kang, “Oxidative modification of neurofilament-L by copper-catalyzed reaction,” J. Biochem. Mol. Biol., Vol. 36, No. 5, pp. 488-492, (2003). 

  15. H. Ohkawa, N. Ohishi, K. Yagi,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Vol. 95, No. 2, pp. 351-358, (1979). 

  16. J. A. Buege, S. D. Aust,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Vol. 52, pp. 302-310, (1978). 

  17. I. V. Mersiyanova, A. V. Perepelov. A. V. Polyakov, V. F. Sitnikov, E. L. Dadali, R. B. Oparin, A. N. Petrin, O. V. Evgrafov, “A new variant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2 is probably the result of a mutation in the neurofilament-light gene,” Am. J. Hum. Genet., Vol. 67, No. 1, pp. 37-46, (2000). 

  18. B. S. Berlett, E. R. Stadtman, “Protein oxidation in aging, disease, and oxidative stress,” J. Biol. Chem., Vol. 272, No. 33, pp. 20313-20316, (1997). 

  19. E. R. Stadtman, B, S, Berlett, “Fenton chemistry: amino acid oxidation,” J. Biol. Chem., Vol. 266, No. 26, pp. 17201-17211, (1991). 

  20. D. O. Kim, K. W. Lee, C. Y. Lee,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 Food Chem., Vol. 50, No. 13, pp. 3713-3717, (2002). 

  21. R. A. Floyd, “Antioxidants, oxidative stress, and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orders,” Proc. Soc. Exp. Biol. Med., Vol. 222, No. 3, pp. 236-245, (1999). 

  22. R. Deitrich, V. Erwin, "Biogenic amine-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tetrahydroisoquinolines and tryptolines ( ${\beta}$ -carbolines)," Ann. Rev. Pharmacol. Toxicol., Vol. 20, pp. 55-80, (1980). 

  23. F. De Marco, M. Perluigi, M. L. Marcante, R. Coccia, C. Foppoli, C. Blarzino, M. A. Rosei, “ Cytotoxicity of dopamine-derived tetrahydroisoquinolines on melanoma cells,” Biochem. Pharmacol., Vol. 64, No. 10, pp. 1503-1512,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