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엄나무 발효물의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
Antioxidant and Anti-amyloid Activities of Fermented Kalopanax pictu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2, 2018년, pp.389 - 398  

강정훈 (청주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radical 소거 측정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엄나무추출물(KP),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추출물(HE), 엄나무 발효물(KP-HE)에서 모두 라디칼 소거활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KP-HE가 KP와 HE에 비해서 더 높은 소거 활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KP-HE는 peroxyl radical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였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과 관련 있는 $A{\beta}_{1-42}$의 응집에 KP, HE, KP-HE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았다. KP와 HE는 $A{\beta}_{1-42}$의 응집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KP-HE는 $A{\beta}_{1-42}$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A{\beta}_{1-42}$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에 엄나무 발효물을 $300{\mu}g/mL$ 농도로 전 처리한 세포생존율은 20.3% 높게 증가되었다. 또한 엄나무 발효물을 $5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세포 내 ROS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들을 통해 엄나무 발효물은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엄나무 발효물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amyloid activities of the extract (KP-HE) from Kalopanax pictus (KP) fermented with Hericium erinaceum (HE) mycelium.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ased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엄나무의 여러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며, 노루궁뎅이버섯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었으나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엄나무 발효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엄나무 및 버섯균사체의 생리활성을 토대로 발효에 의한 새로운 생리활성 증가가 기대됨으로 본 연구에서 엄나무 발효물의 항산화 기능과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radical 소거 활성과 DNA 손상 보호를 통해 관찰하였고 항아밀로이드 활성은 Aβ1-42의 응집 억제를 통해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Aβ1-42의 응집에 KP, HE, KP-HE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엄나무(Kalopanax pictus)란? 엄나무(Kalopanax pictus)는 두릅나무과(Araliaceas)에 속하는 활엽수로서 기생충제거, 혈액순환촉진, 근육통 요통, 부스럼, 옴 등과 같은 피부질환의 치료제로 사용한다. 또한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사포닌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체내에 침입한 풍을 없애는 거풍습, 활혈, 소종 작용이 있다.
AD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퇴행성 신경질환의 하나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고령화 사회에 따라 그 발병률이 증가되고 있다. AD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뇌 세포에 amyloid β(Aβ) 단백질의 아밀로이드화에 의한 침착이다[1]. Aβ는 정상인의 경우에도 인체 내에서 소량으로 만들어지나 빠르게 분해되어 인체 내에 쌓이지 않는 반면 AD 환자의 경우 Aβ가 비정상적으로 생성되어 대뇌피질 (Cortex)과 해마(Hippocampus) 부위에 과다축적됨으로써 신경원섬유성의 덩어리가 나타난다.
엄나무 발효물은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활용하여 적용시킬 수 있는 분야는?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엄나무 발효물은 항산화 및 항아밀로이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엄나무 발효물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 Lorenzo, B. A. Yankner, "Amyloid fibril toxicity in Alzheimer's disease and diabetes", Ann. N Y Acad. Sci., Vol.17, No.1 pp. 89-95, (1996). 

  2. C. Glabe, "Intracellular mechanisms of amyloid accumulation and pathogenesis in Alzheimer's disease", J. Mol. Neurosci., Vol.17, No.2 pp. 137-45, (2001). 

  3. P. Domenico, "Alzheimer's disease and oxygen radicals: new insights", Biochemica.l Pharmacology, Vol.63, No.6 pp. 563-567, (2002). 

  4. C. Behl, "Oxidative stress in Alzheimer's disease: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therapy", Subcell. Biochem., Vol.38, pp. 65-78, (2005). 

  5. H. Kim, S. J. Yoon, K. H. Lee, H. J. Kwon, S. S. Chun, T. W. Kim, Y. J. Cho,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s of the extracts fro Basil (Ocimun basilicum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Vol.48, No.2 pp. 173-177, (2005). 

  6. H. J. Im, H. L. Jang, Y. J. Jeong, K. Y. Yoon, "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prouts of Kalopanax pictus, Cedrela sinensis, Acanthopanax cortex at different plucking times", Korean J. Food Preserv., Vol.20, No.3 pp. 356-364, (2013). 

  7. J. D. Hwang, J. S. Choi, J. B. Kim, S. L. Yang,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extracts from Kalopanax picuts", J. Invest. Cosmet., Vol.7, No.4 pp. 329-337, (2011). 

  8. H. Kawagishi, A. Shimada, K. Shizuki, H. Mori, H. Sakamoto, S. Furukawa, E. F. "Erinacines, Stimulators of nerve growth factor (NGF)-synthesis, from the mycelia of Hericium erinaceum", Tetrahedron Lett., Vol.41, No.2 pp. 7399-7402, (1996). 

  9. S. H. Park, J. S. Chang, K. R. Lee, "Effect of Hericium erinaceius extract on cancer cell growth and expression of cell cycle associated prote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2, No.6, pp. 931-936, (2003). 

  10. Y. S. Kim, M. Y. Joung, B. S. Ryu, P. J. Park, J. H. Jeong,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Taraxacum platycarpum D. leaves using Hericium erinaceum mycel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5, No.1 pp. 20-26, (2016). 

  11. H. Kim, J. Y. Shin, A. R. Lee, J. H. Hwang, K. W. Yu, "Physiological avtivity of thye fermented small atate culture of the beared tooth mushroom (Hericium erinaceum) mycelia" Korean J. Food Nutr., Vol.30, No.6 pp. 1348-1356, (2017). 

  12. W. Brand-Williams, M. E. Cuvelier, C. Berset,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Food Sci. Tech.., Vol.28, No.1 pp. 25-30, (1995). 

  13. J. H. Kang, S. M. Kim, "DNA cleavage by hydroxyl radicals generated in the Cu, Zn-superoxide dismutase and hydrogen peroxide system", Mol. Cells, Vol.7, No.6 pp. 777-782, (1997). 

  14. K. S. Kim, S. Y. Choi, H. Y. Kwon, M. H. Won, T. C. Kang, J. H. Kang, "Aggregation of alpha-synuclein induced by the Cu,Zn-superoxide dismutase and hydrogen peroxide system", Free Radic. Biol. Med., Vol.15, No.6 pp. 544-550, (2002). 

  15. E. H. Ahn, D. W. Kim, M. J. Shin, Y. N. Kim, H. R. Kim, S. J. Woo, S. M. Kim, D. S. Kim, J. Kim, J. Park, W. S. Eum, H. S. Hwang, S. Y. Choi, "PEP-1-ribosomal protein S3 protects dopaminergic neurons in an MPTP-induced Parkinson's disease mouse model", Free Radic. Biol. Med., Vol.55, pp. 36-45, (2013). 

  16. S. H. Kim, Y. Park, Y. S. Jang, J. Han, H. G. Chung, "Oxidative stress in the cel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extracts", J. Korean Wood Sci. Tech., Vol.35, No.6 pp. 26-143, (2007). 

  17. K. Hermann, "Occurrence and content of hydroxycinnamic and hydroxylbenzoic acid compounds in foods", Critical Rev. Food Sci. Nut., Vol.28, No.4 pp. 315-347, (1989). 

  18. S. I. Heo, H. J. Jung, M. K. Kim, M. H. Wang,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medicianl plants", J. Appl. Biol. Chem., Vol.50, No.3 pp. 115-119, (2007). 

  19. M. H. Kim, S. Y. Park, Y. J. Jeong, K. Y. Yoon, "Sensory properties of Kalopanax pictus and Cedrela sinensis shoots under different blanching conditions and with different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Vol.19, No.2 pp. 201-208, (2012). 

  20. Y. M. Lee, J. H. Bae, H. Y. Jung, J. H. Kim, D. S. Park,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0, No.1 pp. 29-36, (2011). 

  21. D. H.Jun, J. T. Lee, S. J. Cheon, C. E. Lee, T. H. Kim, D. H. Lee, J. Han, S. Y. Kim, "Polyphenol and anti-oxidant effect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leaf extracts", Korean J. Plant Res., Vol.22, No.4 pp. 343-348, (2009). 

  22. B. Halliwell, J. M. Gutterridge, "Roles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review", Methods Enzymol., Vol.186, pp. 1-85, (1990). 

  23. D. J. Selkoe, "Translating cell biology into therapeutic advances in Alzheimer's disease", Nature, Vol.399, pp. A23-A31, (1999). 

  24. Y. Gong, L. Chang, K. L. Viola, P. N. Lacor, M. P. Lambert, C. E. Finch, G. A. Krafft, W. L. Klein, "Alzheimer's disease-affected brain: presence of oligomeric A-beta ligands(ADDLs) suggests a molecular basis for reversible memory loss", Proc. Natl. Acad. Sci. USA., Vol.100, No.18 pp. 10417-10422, (2003). 

  25. C. Behl, "Alzheimer's disease and oxidative stress: implications for novel therapeutic approaches", Prog. Neurobiol., Vol.57, No.3 pp. 301-429, (1999). 

  26. C. B. Pocernich, D. A. Butterfield, "Elevation of glutathione as a therapeutic strategy in Alzheimer disease", Biochem. Biophys. Acta, Vol.1822, No.5 pp. 625-630, (2012). 

  27. D. A. Butterfield, C. M. Lauderback,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oxidation in Alzheimer's disease brain: potential causes and consequences involving amyloid beta-peptide-associated free radical oxidative stress", Free Radic. Biol. Med., Vol.32, No.11 pp. 1050-1060, (2002). 

  28. O. Vergun, A. I. Sobolevsky, M. V. Yelshansky, J. Keelan, B. I. Khodorov, M. R. Duchen, "Exploration of the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glutamate neurotoxicity in rat hippocampal neurones in culture", J. Physiol., Vol.531, No.1 pp. 147-16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