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축구영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tball Talents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1, 2018년, pp.306 - 315  

송영훈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  하민성 (부산대학교 체육교육과) ,  하수민 (부산대학교 체육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4주간의 축구영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저학년, 고학년)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자기조절능력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자 초등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저학년 40명, 고학년 4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은 주 1회, 24주간 실시되었으며,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그룹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위하여 이원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지방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초체력은 모든 변인에서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폐지구력, 근력, 순발력에서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은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축구영재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남학생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tball talents program on body composition, fitness,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eighty males students volunteers, composed of the lower group (n=40; 1-3th grade) and senior group (n=40;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구영재로 선발된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과 고학년(4∼6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실기, 인문학, 멘토 특강, 경기 관람 등이 포함된 24주간의 축구영재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기초체력, 자기조절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저학년과 고학년 중 어떠한 집단이 프로그램의 효과 높은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체육을 토대로 운동부 및 스포츠클럽 활동의 형태로 엘리트 스포즈의 경기력 유지 및 향상을 도모하는 것의 한계는? 우리나라에서는 우수 운동선수 발굴 및 육성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학교체육을 토대로 운동부 및 스포츠클럽 활동의 형태로 엘리트 스포츠의경기력 유지 및 향상을 도모하였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비과학적이고, 경기력 중심의 기능적인 육성에 치중함에 그침으로써 체·지·덕의 조화로운 통합을 이룬 엘리트 스포츠 양성에 한계점을 드러내었다[1,2]. 이로 인해 2009년부터 전국 권역별 대학을 중심으로 체육영재센터를 통한 체육영재 양성을 확대시키고, 과학적인 운영 및 훈련을 지원하여 육상, 체조, 수영 종목의 우수한 체육인재를 조기발굴하고 있다[3].
자기조절능력이란 무엇인가? 자기조절능력은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적응적이고, 융통성 있는 방법으로 외부의 자극에 대해 자신의 행동, 사고, 감정을 다루는 기질적 능력으로[12], 스스로 원하지 않는 행동을 억제하고 목표를 위해 충동이나 유혹에 견딜 수 있는 능력으로도 정의되고, 특정행동을 유지해 가는데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13,14]. 따라서 학습자의 목표설정을 활성화시키고, 상황에서 주어진 내용과 목표에 접근하게 하는 인지, 동기, 행동을 조절하고모니터링하게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15,16].
중고등학생의 운동선수들에게 있어 긍정적인 자기효능감은 어떤 도움이 되는가? 긍정적인 자기효능감은 운동을 지속해서 참여할 의지를 높여주며, 자신감, 건강증진, 행복 등과도 정적인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17]. 또한, 중· 고등학생의 운동선수들에게 있어 높은 자기효능감은 자기 조절과 대처, 불안, 긴장 등의 부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적극적인 참여행동을 이끌어냄으로써 운동지속의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된다[18]. 따라서 축구영재들의 자기조절능력과 자기효능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은 본 축구영재 프로그램 운영의 성과 여부를 확인하는지표로도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G. J. Choy, Y. P. Oh, “Issues and challenges of the sport talent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Vol. 9, No. 3, pp. 205-218, (2011). 

  2. Y. N. Kim, S. H. Jung, “Sports Talent program according to multiple intelligence and EEG activity,”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Vol. 23, No. 3, pp. 167-178, (2017). 

  3. S. Y. Shin,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physical education workforce; Athletic talented training project status and tasks. Sport Science, Vol, 109, pp. 9-15, (2009). 

  4. J. S. Kim, “Football talents in the perspective of three-ring conception,” Journal of Wellness, Vol. 12, No. 4, pp. 237-249, (2017). 

  5. D. H. Kim, S. K. Lee, “Analysis of athletic fitness of elementary schools who participated in sports talented gifted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Vol. 21, No. 3, pp. 89-98, (2016). 

  6. J. S. KO, “Study on the analysis of somatotype and the body composition by highschool athlete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51, No. 2, pp. 577-587, (2013). 

  7. D. Y. Kim, D. H. Park, B. K. Lee, Y. J. Kim, K. H. Kim, “The relationship of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22, No. 1, pp. 1645-1656, (2011). 

  8. Fowler N, Reilly T. Assessment of muscle strength asymmetry in soccer players, in Contemporary Ergonomics, ed. E. J. Loveably, p. 327-332, Taylor and Francis, London, (1993). 

  9. Reilly T, Thomas V. The stability of fitness factors over a season of professional soccer as indicated by serial factor analysis, in Kinathropometry 11, p. 247-257, University Park Press, Baltimore, (1980). 

  10. J. Ekstrand, J. Gillquist, “The frequency of muscle tightness and injuries in soccer player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10, No. 2, pp. 75-78, (1982). 

  11. J. Bangsbo, "The physiology of soccer-with special reference to intense intermittent exercise," Acta Physiologica Scandinavica Supplementum, Vol. 619, pp. 1-155, (1994). 

  12. N. Eisenberg, R. A. Fabes, M. Karbon, B. C. Murphy, M. Wosinski, L. Polazzi, G. Carlo, C. Juhnke, “The relation of children's dispositional pro-social behavior to emotionality, regulation and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Vol. 67, No. 3, pp. 974-992, (1996). 

  13. J. P. Tangney, R. F. Baumeister,A. L. Boone,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Vol. 72No. 2, pp. 271-324, (2004). 

  14. Zimmerman BJ,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In M. Boekaerts, P. R. Pintrich and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 13-39, CA Academic Press, San Diego, (2000). 

  15. A. M. Elbe, B. Szymanski, J. Bexkmann, “The development of volition in young athletes,” Psychology of Sport & Exercise, Vol. 6, No. 5, pp. 559-569, (2005). 

  16. J. Martin,"Self-regulated learning, social cognitive theory and agency," Educational Psychologist, Vol, 39, No. 42, pp. 135-145, (2004). 

  17. S. R. Ha, J. H. Cho, Y. K. Yoon, “Moderating effects of sport-event participation experience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exercise motivation, physical self-efficacy, and sociality improvement in youth sports club membe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action, Vol. 56, No. 5, pp. 173-183, (2017). 

  18. K. O. Lee,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of physical educa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Vol. 17, No. 3, pp. 105-116, (2012) 

  19. Y. K. Yun, “Hierarchical structure of psychological factors in football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15, No. 3, pp. 102-113, (2004). 

  20. P. C. Kendall, L. E. Wilcox,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47, No. 6, pp. 1020-1029, (1979). 

  21. Lee SK. The effects of the training for self-regulated learning on children's attitude toward self-study and self-contr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94). 

  22. Kim MS. A study on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attitudes toward children's expressivness on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2). 

  23. Cha JE. A study for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ment, Ewha Womans University, (1997). 

  24. B. H. Linda, "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in youth and relationship to spor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nutrition, Vol. 6, pp. 146-164. 

  25. S. Y. Chun, K. K. Jeon, D. S. Park, “The effect of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knee and ankle strength of adult and elite football players,”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1, No. 3, pp. 1385-1395, (2012). 

  26. T. Stolen, K. Chamari, C. Castagna, U. Wisloff, “Physiology of soccer,” Sports medicine, Vol. 35, No. 6, pp. 501-536, (2005). 

  27. M. S. Ha, S. K. Shin, "A consideration on the physique, physical fitness levels and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obesity degree in 11-12 years old elementary school boys," The Research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 sports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Vol. 29 pp. 27-35, (2013). 

  28. S. W. Jang, K. I. Jung, J. G. K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fitness and the mental health,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Vol. 18, No. 2, pp. 211-221, (2012). 

  29. M. S. Rhee, B. C. Bang, “The effects of music rope-skipping on the attitude toward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self-efficac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Vol. 18, No. 2, pp. 135-144, (2012). 

  30. S. H. Nam, M. S. Lee, Y. S. Kim, “The relationship among spirituality, sport emotion and stress of athletes,”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Vol. 25, No. 1, pp. 45-63, (2011). 

  31. D. W. Chan, "Perceptions of giftedness and self-concepts among junior secondary students in Hong Kong,"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 31, pp. 243-25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