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금전초로부터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을 제조하였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 세포 보호 효과 및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산화능 평가에서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의 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은 각각 146.8, 22.2 및 $27.2{\mu}g/mL$이었고, 총 항산화능($OSC_{50}$)은 29.3, 2.9 및 $4.5{\mu}g/mL$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및 총 항산화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1O_2$로 유도된 적혈구 광용혈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tau}_{50}$)는 금전초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아글리콘 분획 $5{\mu}g/mL$에서 각각 26.9, 57.5 및 103.9 min을 나타냈다. 특히 아글리콘 분획물의 ${\tau}_{50}$은 (+)-${\alpha}$-tocopherol (37.7 min)보다 훨씬 큰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UVB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최대 90.1%까지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켰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5-25{\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금전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성분 분석을 위해 TLC, HPLC, UV-vis spectrum, LC-MS로 분석한 결과, quercetin, kaempferol 및 그 배당체가 주성분들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금전초가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고,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nd component analyses of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btained from Lysimachia christinae Hance (L. christinae Hance). In the evaluation of antioxidative propert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플라보노이드는 대부분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며 중간 극성을 갖는 용매인 에탄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해 추출이 잘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금전초 추출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 하지만 화장품에서 금전초 추출물이나 특정 분획을 대상으로 다양한 ROS가 생성되는 Fe3+-EDTA/H2O2계에서의 총 항산화능 측정에 관한 연구나 세포 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전초 추출물과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 성분 분석을 통해 활성 성분을 밝힘으로써 기능성 화장품의 항산화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적혈구 세포를 이용한 광용혈 실험을 통해 1O2에 의한 세포 손상을 방어하는 항산화제의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rose-bengal로 유도된 1O2에 의한 세포 손상에 대하여 금전초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금전초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글리콘 분획을 이용하여 UVB로 유도된 HaCaT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UVB를 조사한 실험군은 조사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6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라보노이드의 특징은 무엇인가? 화장품에 사용되는 천연 항산화제는 주로 식물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페놀성 화합물들이 주성분이다[14]. 이러한 플라보노이드는 대부분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며 중간 극성을 갖는 용매인 에탄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해 추출이 잘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금전초 추출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금전초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금전초는 긴병꽃풀이라 불리는 꿀풀과의 Glechoma longituba Kupr와 과로황이라 불리는 앵초과의 L. christinae Hance 두 가지 종이 있다. 앵초과 금전초의 생약명은 Lysimachiae Herba이며 중국 약전에는 “Jinqiancao”로 기록되어 있다.
루미놀 화학발광법을 이용해 활성산소 소거활성을 알아내는 것은 어떤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가? Fe3+-EDTA/H2O2계에서는 H2O2와 Fe2+에 의해 ⋅OH을 포함한 다양한 ROS가 생성된다. 루미놀은 생성된 ROS에 의해 산화되어 들뜬상태의 아미노프탈산으로 전환되며, 다시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발광(420-450 nm)을 한다. 이때, 항산화제에 의해 ROS가 소거되면 루미놀이 아미노프탈산으로 전환되는 양이 감소하여 화학발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루미놀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금전초 추출물 및 분획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총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Figure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 Kammeyer and R. M. Luiten,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21, 16-29 (2015). 

  2. M. Wlaschek, I. Tantcheva-Poor, L. Naderi, W. J. Ma, A. Schneider, Z. Razi-Wolf, J. Schuller, and K. Scharffetter-Kochanek,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63, 41-51 (2001). 

  3. R. Aquino, S. Morelli, A. Tomaino, M. Pellegrino, A. Saija, L. Grumetto, C. Puglia, D. Ventura, and F. Bonina, Antioxidant and photoprotective activity of a crude extract of Culcitium reflexum H.B.K. leaves and their major flavonoids, J. Ethnopharmacol., 79, 183-191 (2002). 

  4. S. E. Fridovich and N. A. Porter, Oxidation of arachidonic acid in micelles by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J. Biol. Chem., 256, 260-265 (1981). 

  5. S. Passi, M. Picardo, C. D. Luca, A. S. Breathnach, and M. Nazzaro-Porro, Scavenging activity of azelaic acid on hydroxyl radicals in vitro, Free Radic. Res. Commun., 11, 329-338 (1991). 

  6. F. R. Gruijl, H. J. van Kranen, and L. H. Mullenders, UV-induced DNA damage, repair mutations and oncogenic pathways in skin cancer, J. Photochem. Photobiol., 63, 19-27 (2001). 

  7. J. E. Cleaver and E. Crowley, UV damage, DNA repair and skin carcinogenesis, Front. Biosci., 7, 1024-1043 (2002). 

  8. M. Wlaschek, I. Tantcheva-Poor, L. Naderi, W. Ma, L. A. Schneider, Z. Razi-Wolf, J. Schuller, and K. Scharffertter-Kochanek,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63, 41-51 (2001) 

  9. A. Kammeyer and R. M. Luiten,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21, 16-29 (2015). 

  10. M. Jose, Mates, C. Perez-gomez, and I. N. De Castro, Antioxidant enzymes and human diseases, Clin. Biochem., 32(8), 595-603 (1999). 

  11. A. Bendich, L. J. Machlin, and O. Scandurra, The antioxidant role of vitamin C, Adv. Free Radic. Biol. Med., 2, 419-444 (1986). 

  12. S. N. Park, S. Y. Kim, G. N. Lim, N. R. Jo, and M. H. Lee, In vitro skin permeation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flavonoids isolated from Suaeda asparagoides extracts, J. Ind. Eng. Chem., 18, 680-683 (2012). 

  13. J. S. Seong, K. M. Kim, J. Y. suh, J. H. Ha, and S. N. Park,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hole plant extracts of Solanum nigrum L, J. Korean Oil Chem. Soc., 32, 781-788 (2015). 

  14. Y. N. Kim, B. Jennifer, Keogh, and P. M. Clifton, Polyphenols and glycemic control, Nutrients, 8(1), 17-43 (2016). 

  15. F. Gao, D. Zhao, and J. Deng, New flavonoids from Lysimachia christinae Hance, Helv. Chim. Acta, 96, 985-989 (2013). 

  16. China Pharmacopoeia Committee, Pharmacopoeia of the People's Republic China, 1, 204-205 China Medical Science Press, Beijing, China (2010). 

  17. J. Deng, M. Ren, X. Dai, D. Qu, M. Yang, T. Zhang, and B. Jiang, Lysimachia christinae Hance regresses preestablished cholesterol gallstone in mice, J. Ethnopharmacol., 166, 102-108 (2015). 

  18. N. Shoji, A. Umeyama, and T. Takemoto, $Na^+-K^+$ -ATPase inhibitors from Lysimachia japonica., J. Nat. Prod., 47, 530-532 (1984). 

  19. H. Y. Kim, S. S. Kim, C. K. Lee, and J. W. Choi, Biological activities of Lysimachiae herba-(1)-effects of the pretreatment of Lysimachiae herba on the enzyme activities in galactosamine-intoxicated rats, Korean J. Pharmacogn., 27(1), 58-64 (1996). 

  20. J. W. Choi, J. C. Park, and C. K. Lee, Biologic activities of Lysimachiae Herba II-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htyl acetate fraction and a phenyl propanoid component, Nat. Prod. Sci., 3(2), 135-140 (1997). 

  21. X. Yang, B. C. Wang, X. Zhang, W. Q. Liu, J. Z. Qian, W. Li, J. Deng, G. K. Singh, and H. Su, Evaluation of Lysimachia christinae Hance extracts as anticholecystitis and cholagogic agents in animals, J. Ethnopharmacol., 137, 57-63 (2011). 

  22. L. J. Tian, N. Y. Yang, and W. Q. Chen, Triterpene saponins from Lysimachia christinae, J. Asian Nat. Prod. Res., 10, 265-269 (2008). 

  23. R. Y. Gan, L. Kuang, X. R. Xu, Y. Zhang, E. Q. Xia, F. L. Song, and H. B. Li,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treatment of rheumatic disease, Molecules, 15(9), 5988-5997 (2010). 

  24. K. Yasukawa and M. Takido, Flavonoid glycosides from Lysimachiae Herba and Lysimachia christianae var. typica1, Planta Med., 59, 578-578 (1993). 

  25. T. Marica, Engstrom, M. Palijarvi, and J. P. Salminen, Rapid fingerprint analysis of plant extracts for ellagitannins, gallic acid, and quinic acid derivatives and quercetin, kaempferol- and myricetin-based flavonol glycosides by UPLC-QqQ-MS/MS, J. Agric. Food Chem., 63, 4068-4079 (2015). 

  26. T. Iwashina and S. Matsumoto, Flavonoid glycosides from the Fern, Schizaea (Schizaeaceae) in south pacific region, and their distribution pattern, Bull. Natl. Mus. Nat. Sci. B, 39(4), 195-201 (2013). 

  27. H. Sakakibara, Y. Honda, S. Nakagawa, H. Ashida, and K. Kanazawa,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ll polyphenols in vegetables, fruits, and teas, J. Agric. Food Chem., 51, 571-581 (2003). 

  28. F. A. Bernal, L. E. Cuca-Suarez, L. F. Yamaguchi, and E. D. Coy-Barrera, LC-DAD-UV and LC-ESI-MS-based analyses,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 polar fraction from Iryanthera ulei leaves, Rec. Nat. Prod., 7(2), 152-156 (2013). 

  29. A. Plazonic, F. Bucar, Z. Males, A. Mornar, B. Nigovic, and N. Kujundzic,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in burr parsley (Caucalis platycarpos L.),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olecules, 14, 2466-2490 (2009). 

  30. J. Sun, F. Liang, Y. Bin, P. Li, and C. Duan, Screening non-colored phenolics in red wines using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and 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libraries, Molecules, 12, 679-69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