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형시험을 통한 비압력 지중관거 균열로 인한 지반함몰 메커니즘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ground collapse mechanism induced by cracks in a non-pressurized buried pipe through model tes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20 no.2, 2018년, pp.235 - 253  

김용기 (두산건설(주) 토목환경BG 설계팀) ,  남규태 (건국대학교 인프라시스템공학과) ,  김호종 (건국대학교 토목공학과) ,  신종호 (건국대학교 인프라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하관거 균열로 인한 지하수의 흐름은 주변 지반의 토사유실을 야기하여 관거 인접 지반에서의 공동발생, 나아가 지반함몰(싱크홀)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관거의 균열을 모사하는 모형시험을 통해 비점착성 지반에 위치한 지중 비압력 관거의 균열로부터 비롯되는 지반함몰 메커니즘과 이로 인한 파괴모드를 조사하였다. 토사유실 및 함몰 영향인자로서 균열크기, 관거유속, 지하수위, 토피고 그리고 지반구성재료 등을 채택하여 이들 인자들이 함몰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인자들에 따른 지반파괴의 형상(파괴모드)과 지반유실량을 분석한 결과, 토피고와 지하수위가 일치하는 경우 최종파괴모드는 침식각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Y'형으로 관찰되며, 지하수위가 더 높게 위치하는 경우 침식각이 일정한 파괴면 형상인 'V'형으로 나타난다. 토피고가 증가하는 경우의 파괴형상에서 토피고 영향에 무관한 길이와 토피고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폭을 갖는 수직함몰구간이 형성되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ndwater flow induced by cracks in a buried pipe causes ground loss in the vicinity of it which can lead to underground cavities and sinkhole problems. In this study, the ground collapse mechanism and the failure mode based on an aperture in the pipe located in cohesionless ground were investig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하 비압력 관거의 균열이 초래하는 공동형성 및 지반함몰 메커니즘을 모형시험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 모형시험연구에서 관거균열을 주로 토조 바닥면에 개폐가 가능한 유출구로 단순화한 방식과 달리 상사법칙에 따라 지하관거를 모사하여 모형관거에 직접 균열을 적용하였으며, 공동발생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를 실험조건으로 반영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관거 균열상황을 모형시험으로 재현하여 다양한 인자에 따른 지반함몰 매커니즘을 조사하였다. 관거균열로 유발되는 지반파괴모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그러므로 초기 지반파괴모드는 Fig. 14(b)와 같이 균열의 크기 W를 밑변으로 하고 꼭지점의 각도는 내부마찰각의 크기를 갖는 삼각형 형태로 가정할 수 있다.
  • 14(a)와 같은 단일입자의 연속된 유실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입자가 균열에 비하여 매우 작은 경우(D≪W)로서 다수의 입자가 균열폭에 위치하며,하향력을 받아서 지반입자의 유실이 야기될 것이다. 그러므로 초기 지반파괴모드는 Fig.
  • 초기지반입자의 유실(즉, 관거내부로 이동)은 입자와 slit의 상대적 크기에 의해 지배되며, 이 때 입자의 유실범위는 Fig. 6과 같이 꼭지점의 각도가 안식각(repose angle, Ør )을 이루고, slit 평면과 파괴면이 이루는 각인 (π/2 - Ør/2)로 결정된 삼각형 영역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중매설관의 손상 발생 원인은? 특히 지하관거의 균열이나 파괴로 인한 지반침하 사고가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사고에 비하여 발생빈도가 높고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중매설관의 손상은 시공 시 부주의, 노후화, 지반의 부등침하, 하수관거 연결부 결합의 불량 그리고 하중에 의한 깨짐 등에 의해 발생하며, 균열로 지하수와 함께 토사가 유입하여 지반침하로 이어진다(Choi et al., 2016).
관거 구조물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연구의 예는? 지하관거의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이론적 평가(Davies et al., 2001) 또는 구조물의 붕괴 그리고 구조적 안정성 향상을 위한 보강방안에 대한 수치해석적인 연구(Law and Moore, 2007)와 같이 관거 구조물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반면, 관거균열로 유도되는 지반파괴의 메커니즘 또는 파괴모드와 같이 지중관거 결함으로 비롯한 지반의 거동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지중 구조물의 손상 및 열화로 인한 지반거동에 관한 연구는 주로 터널에 대해서 진행되었으며, 이론적 해석(Davis et al.
터널에 기초한 지반거동특성의 연구결과를 지중매설관 영향으로 인한 지반거동분석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이유는? 터널과 지중관거는 지중구조물로서의 유사성으로 인해 터널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지중관거가 야기하는 지반거동에 관한 유추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대규모 터널의 붕괴거동에 기초한 것으로, 도시에서 흔히 발견되는 상 ․ 하수관거로 인한 공동-함몰특성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터널에 기초한 지반거동특성의 연구결과는 지중매설관 영향으로 인한 지반거동분석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agnostou, G., Kovari, K. (1997), "Face stabilization in closed shield tunnelling", Proceedings of the 1997 Rapid Excavation and Tunnelling Conference, Las Vegas, pp. 549-558. 

  2. Attewell, P.B., Yeates, J., Selby, A.R. (1986), "Soil movements induced by tunnelling and their effects on pipelines and structures", Blackie & Sons Ltd., Glasgow, UK, pp. 141-147. 

  3. Broere, W. (1998), "Face stability calculation for a slurry shield in heterogeneous soft soils", Proceedings of the World Congress on Tunnels and Metropolises, Sao Paulo, pp. 215-218. 

  4. Choi, S.K., Back, S.H., An, J.B., Kwon, T.H. (2016), "Geotechnical investigation on causes and mitigation of ground subsidence during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8, No. 2, pp. 143-154. 

  5. Choi, Y.W. (2016), "Investigation on underground cavity mechanism and risk management measures",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 15, No. 1, pp. 8-10. 

  6. Davies, J.P., Clarke, B.A., Whiter, J.T., Cunningham, R.J. (2001), "Factors influencing the structural deterioration and collapse of rigid sewer pipes", Urban Water, Vol. 3, No. 1-2, pp. 73-89. 

  7. Davis, E.H., Gunn, M.J., Mair, R.J., Seneviratine, H.N. (1980), "The stability of shallow tunnels and underground opening in cohesive material", Geotechnique, Vol. 30, No. 4, pp. 397-416. 

  8. Ghazavi, M., Hosseini, M., Mollanouri, M. (2008), "A comparison between angle of repose and friction angle of sand",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omputer Method and Advances in Geomechanics (IACMAG), Goa, India, pp. 1272-1275. 

  9. Guo, S., Shao, Y., Zhang, T., Zhu, D.Z., Zhang, Y. (2013). "Physical modeling on sand erosion around defective sewer pipes under the influence of groundwater",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9, No. 12, pp. 1247-1257. 

  10. Iai, S., Tobita, T., Nakahara, T. (2005). "Generalised scaling relations for dynamic centrifuge tests", Geotechnique, Vol. 55, No. 5, pp. 355-362. 

  11. Jeong, S.W., Kim, S.W., Yum, B.W., Kuwano, R. (2016). "Experimental results on compaction and groundwater level dependent ground subsidience using a small-sized laboratory tank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6, pp. 309-317. 

  12. Kim, H.J., Park, N.H., Kim, K.H., Shin, J.H. (2017), "Collapse mechanism of tunnel below underground", Proceedings of the World Tunnel Congress 2017-Surface Challenges-Underground Solutions, Bergen, Norway, pp. 1-8. 

  13. Kim, J.B., You, S.K,, Han, J.G., Hong, G.G., Park, J.B. (2017), "A study on simulation of cavity and relaxation zone using laboratory model test and discrete element method", Journal of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 16, No. 2, pp. 11-21. 

  14. Kim, Y.K. (2012), "A study on the ground failure mechanism due to the slit of a sewer system",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Graduate School, Civil Engineering, pp. 1-49. 

  15. Law, T.C.M., Moore, I.D. (2007), "Numerical modeling of tight fitting flexible liner in damaged sewer under earth loads",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22, No. 5-6, pp. 655-665. 

  16. Lee, K.P., Matchala, S., Im, J.C. (2008). "Shear strength of Jumunjin sand according to relative density", Marine Georesources and Geotechnology, Vol. 26, No. 2, pp. 101-110. 

  17. Mukunoki, T., Kumano, N., Otani, J., Kuwano, R. (2009). "Visualization of three dimensional failure in sand due to water inflow and soil drainage from defective underground pipe using X-ray CT", Soils and Foundations, Vol. 49, No. 6, pp. 959-968. 

  18. O'Reilly, M.P., New, B.M. (1982). "Settlements above tunnels in the United Kingdom-their magnitude and prediction", Proceedings of the Tunnelling 82, IMM, pp. 173-181. 

  19. Sato, M., Kuwano, R. (2015) "Influence of location of subsurface structures on development of underground cavities induced by internal erosion", Soils and Foundation, Vol. 55, No. 4, pp. 829-840. 

  20. Sheldon, H.G., Durian, D.J. (2010) "Granular discharge and clogging for tilted hoppers", Granular Matter, Vol. 12, No. 6, pp. 579-585. 

  21. Shin, J.H., Lee, I.K. (2001) "A study on the failure mechanism of the mixed-face tunnels in decomposed granite",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17, No. 4, pp. 317-3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