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현황과 지식구조 분석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1 no.1, 2018년, pp.33 - 63  

김은미 (충남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  이찬구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정체성 파악과 개념 정립을 위해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인가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 동안의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한 연구현황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지식구조 및 지식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3년부터 2016년까지의 기술혁신학회지 및 기술혁신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금까지의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서울 대전 지역, 대학 출연(연)에서 대부분의 연구가 수행되어, 특정 지역이나 연구수행 주체에 편중되기보다는 다양화된 형태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범위별로는 연구관리 및 기술혁신 분야에서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향후 '과학기술 공공관리' 및 '과학기술 정책과정' 등에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균형 있는 학문 분야로 성장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한편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주제어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결과, 연구관리, 기술혁신, 과학기술 공공관리 및 정책과정 등으로 군집화되어 이찬구 김은미 오현정(2016)이 제시한 지식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지식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정권별로 구분하여 시기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초기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연구자, 연구개발투자 등 일반적인 주제로부터 시작하여 최근 기술혁신체제, 연구성과 활용 등 다양화되고 세분화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과학기술정책연구는 과학기술 정책과정, 과학기술 공공관리, 연구관리, 기술혁신 측면에서 더욱 확대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지식구조를 형성해 나아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to analyze knowledge structure and knowledge flow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dopt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analysis, we established a data set of published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네트워크 분석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나? 구체적으로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Keyword Network Analysis)이란 특정한 주제 영역의 문헌집합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각 키워드 쌍의 동시출현 빈도를 계산하여, 이 빈도로부터 키워드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이수상, 2013). 네트워크 분석은 네트워크 수준(network level), 노드 수준(node level), 관계 수준(dyad level) 등 세 가지 수준에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Borgatti et al., 2013). 따라서 네트워크 차원(network level)에서는 분석대상의 네트워크 구조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고, 노드 수준(node level)에서는 주제어 빈도 도출 등을 통한 개별 연구주제 등을 파악할 수 있고, 관계 수준(dyad level)에서는 이들 주제어간의 관계파악을 통해 중심성 지수를 산출하거나, 지식구조를 군집화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공동저자 분석은 어떻게 활용되나? 최근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해 논문들의 공동저자분석(Co-authorship analysis), 동시인용 분석(Co-citation analysis), 동시단어분석(Co-word analysis) 등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먼저 공동저자 분석은 개별저자 수준이나 기관, 지역, 국가, 연구분야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협업 네트워크를 분석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동시인용분석은 먼저 발표된 두 논문이 나중에 발표된 논문에서 동시에 인용되거나 나중에 발표된 두 개의 논문에 하나의 논문이 동시에 인용되는 것을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권진영 외, 2010).
네트워크 분석이 네트워크 수준, 노드 수준, 관계 수준에 따라 분석이 이루어지는데에 장점은? , 2013). 따라서 네트워크 차원(network level)에서는 분석대상의 네트워크 구조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고, 노드 수준(node level)에서는 주제어 빈도 도출 등을 통한 개별 연구주제 등을 파악할 수 있고, 관계 수준(dyad level)에서는 이들 주제어간의 관계파악을 통해 중심성 지수를 산출하거나, 지식구조를 군집화하여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분석은 단편적인 분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관계성 및 지식흐름 등을 동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과학기술기본법". 

  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7),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0년사. 

  3. 권진영.이우형.김미현.이석준 (2010), "동시 단어 분석(Co-word Analysis)을 이용한 EA(Enterprise Architecture) 연구동향 분석", 정보화연구, 7(1): 31-47. 

  4. 고재창.조근태.조윤호 (201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기술경영의 최근 연구동향", 지능정보연구, 19(2): 101-123. 

  5. 김선영.이병헌 (2017), "텍스트 분석을 통한 '기술혁신연구'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편), 한국 기술혁신연구의 현황과 과제, 56-82. 

  6. 김영배.하성욱 (2000),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 대한 실증조사 : 핵심성공요인, 환경특성, 최고경영자 역할과 외부자원 활용", 기술혁신학회지, 8(1): 220-221. 

  7. 김은미 (2017), "과학계량분석(scientometrics)을 활용한 과학기술 정책연구의 실증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8. 김찬호.고창룡.설성수 (2012), 기술사업화 실패 사례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5(1): 203-223. 

  9. 남수현.박정민.설성수 (2005), "지식흐름의 계량분석 : 한국의 기술혁신연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8(특별호): 337-359. 

  10. 노풍두.조용곤.조근태 (2011), "조직의 창의성 수준 평가 모델 개발", 기술혁신학회지, 14(1): 109-138. 

  11. 박웅.박호영 (2014), "기술사업화의 비즈니스 생태계 모형에 관한 연구 : 공공 연구개발성과 사업화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7(4): 786-819. 

  12. 박한우.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13. 설성수.박정민 (2003), "기술혁신연구의 동향 : 기술혁신학회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253-262. 

  14. 성지은.송위진 (2007), "총체적 혁신정책의 이론과 적용 : 핀란드와 한국의 사례", 기술혁신학회지, 10(3): 555-579. 

  15. 성태경 (2002),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 결정요인 : 자원기반 관점에서 본 탐색적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5(1): 203-223. 

  16. 송민선.고영만 (2015), "국내 한국학 분야의 연구 영역 식별을 위한 거시적 지식구조 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3): 221-236. 

  17. 송종국.김혁준 (2009), "R&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분석", 기술혁신연구, 17(1): 1-48. 

  18. 이병헌.송민근.김남수.임재성.한재희 (2017), "기술혁신연구를 통해 본 한국 기술혁신연구의 특성",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편), 한국 기술혁신연구의 현황과 과제, 16-46. 

  19. 이선우 (2016), "인사행정 60년 연구분석 : 정권 및 중앙인사관장기구의 변화에 따른 연구경향분석",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5(4): 1-29. 

  20. 이수상 (2013),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21. 이유진.양위주 (2016),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관광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31(4): 363-383. 

  22. 이주연.한승환.권기석 (2015),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최근 10년 법학연구 동향", 아주법학, 8(4): 519-539. 

  23. 이찬구.김은미.오현정 (2016), "과학기술정책학의 정의와 연구범위에 관한 시론", 이찬구 엮음, 과학기술정책연구 : 총서 01, 대전 :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4. 이찬구.김은미.오현정 (2017), "연구대상(locus)과 연구분야(focus) 설정을 통한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정립",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25. 정대현.권오영.정용남 (2017), "지역 대학의 역할과 지식 네트워크 특징에 대한 연구 : 3개 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20(2): 487-517. 

  26. 정승환.호예담.송영수 (2014),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통한 국내 HRD연구동향 탐색", HRD연구, 16(3): 1-33. 

  27. 정용일 외 (2005). 계량정보분석을 통한 지식의 Mapping과 활용,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8. 정우성.양현재 (2013), "과학계량학 연구동향 및 과학기술 정책 분야 응용가능성", ISSUE PAPER,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3-06. 

  29. 최영출.박수정 (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45(1): 123-139. 

  30. 최창현 (2006), "조직의 비공식 연결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7(1): 1-23. 

  31. 한국연구재단 (2016), "학술연구분야분류표" . 

  32. 한장협.이문영.정진희.김채복 (2014),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외 생산운영관리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대한경한경영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5: 413-425. 

  33. 홍장표.김은영 (2009), "한국 제조업의 산업별 기술혁신패턴 분석", 기술혁신연구, 17(2): 25-54. 

  34. 홍형득 (2015), "최근 한국 정책학 연구의 경향과 특징의 네트워크 분석 : 10년(2003-2012)간 정책학회보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4(1): 27-51. 

  35. 홍형득(2016), 과학기술정책론 : 거버넌스적 이해, 서울 : 대영문화사. 

  36. 문영호.이상필.여운동.설성수 (2005), 차세대 정보분석/평가/예측 시스템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7. Borgatti, S, P., Everett, M. G. and Johnson, J. C. (2013), Analysis Social Networks,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38. Choi, J. H., Kim, H. S. and Im, N. G. (2011),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echnology Forecasting",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7(4): 227-240. 

  39. Eck , N. J. and Waltman, L. (2010), "Software Survey: VOSviewer, A Computer Program for Bibliometric Mapping", Scientometrics, 84(2): 523-538. 

  40. European Commission (2001), Innovation Tomorrow. 

  41.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3): 215-239. 

  42. Hess, D. J. (1997), Science Studies: an advanced introduction, NYU Press. 

  43. Martin, B. R, Nightingale, P. and Yegros-Yegros, A. (2012),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Exploring the Knowledge Base", Research Policy, 41(7): 1182-1204. 

  44. Martin, B. R. (2012), "The Evolution of Science Policy and Innovation Studies", Research Policy, 41(7): 1219-1239. 

  45. NodeXL Korea. (2015), 노드엑셀따라잡기, 서울 : 패러다임북. 

  46. OECD (2015), Innovation Policies for Inclusive Growth, Paris: OECD Publishing. 

  47. OECD (2016), The Governance of Inclusive Growth, Paris: OECD Publishing. 

  48. Pilkingtona, A. and Teichertb, T. (2006), "Management of Technology: Themes, Concepts and Relationships", Technovation, 26(3): 288-299. 

  49. Qin, H. (1999), "Knowledge Discovery Through Co-word Analysis", Library Trends, 48(1): 133-159. 

  50. Shen, Y. C., Chang, S. H., Lin, G. T. and Yu, H. C. (2009), "A Hybrid Selection Model for Emerging Technology",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7(1): 151-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