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 과학기술의 사회이슈, 정부정책, 학술연구의 공진화 분석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Studies, Society, and the State : An Analysis of a Co-evolution Among Social Issue, Governmental Policy, and Academic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y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1 no.1, 2018년, pp.64 - 91  

권기석 (한밭대학교 공공행정학과) ,  정서화 (한국행정연구원 정부혁신연구실) ,  이찬구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이래 과학기술을 둘러싼 사회이슈, 학술연구, 과학기술정책이 어떻게 상호작용해 왔는지 탐색하는 데에 있다.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시대적 수요를 얼마나 수용해 왔는지, 문제해결을 위해 얼마나 적절하게 대응해 왔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크게 사회이슈, 학술연구, 그리고 과학기술정책의 텍스트에 대한 네트워크분석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과거 20년 동안 과학기술 관련 언론 기사를 중심으로 사회이슈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과학기술정책 연구논문과 정부문서를 각각 분석해봄으로써 사회문제로 제기된 과학기술 관련 정책수요들이 연구를 통해 정부정책으로 이어졌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통합적인 시각보다는 주로 급변하는 기술혁신에 발 빠르게 움직이는 단편적 연구가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시기에서는 연구주제의 성숙도를 높이면서, 사회적 반응성을 높이는 공진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삼자간 시차 현상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기존의 미시수준의 연구에서 중범위와 거시수준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과학기술의 정책과정과 공공관리에 관심을 가져야하며, 사회적 이슈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는 정책의제설정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interactive pattern among social issue, academic research, and governmental policy on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the last 20 years. In particular, we try understand wether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 and governmental policy meets social needs appropriately.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문제의 정의는? Cobb and Elder(1983)는 사회의 수요가 정책문제로 전환될 때 사회문제(social problem), 사회적 쟁점(social issue), 공중의제(public agenda), 정부의제(governmental agenda)의 과정을 거친다고 하였다. 사회문제는 보통 “사회의 영향력 있는 구성원들이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으며, 이것이 해결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라고 정의할 수 있다(권기헌, 2008). 이러한 문제가 갈등의 발생 등으로 대중의 관심을 끌면 사회적 쟁점의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사회적 쟁점이 정부의제가 되는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이러한 문제가 갈등의 발생 등으로 대중의 관심을 끌면 사회적 쟁점의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사회적 쟁점 중 정부가 개입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면 공중의제로 발전하며, 최종적으로 정부가 공중의제의 해결을 공식적으로 의사결정하면 정부의제가 된다(정정길 외, 2010). 이러한 과정에 있어 관료, 국회의 원, 비영리단체, 정당, 일반국민 등 다양한 공식적 비공식적 이해관계자의 개입과 이들의 상대 적인 참여 정도, 정치적 환경, 문제의 특성에 따라 단계의 생략이나 역행 등 상이한 과정을 거치며, 경우에 따라 정부의 제화에 실패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사회문제가 사회적 쟁점으로 나아가는 과정은? 사회문제는 보통 “사회의 영향력 있는 구성원들이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으며, 이것이 해결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라고 정의할 수 있다(권기헌, 2008). 이러한 문제가 갈등의 발생 등으로 대중의 관심을 끌면 사회적 쟁점의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사회적 쟁점 중 정부가 개입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면 공중의제로 발전하며, 최종적으로 정부가 공중의제의 해결을 공식적으로 의사결정하면 정부의제가 된다(정정길 외,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강현무.김정식.이용순.노태천 (2010), "기술교육학 연구집단의 사회네트워크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0(1): 47-69. 

  2. 권기석.박한우.한승환 (2012), "한국 행정학/정책학 연구의 구조와 동향 : 공동저술에 대한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2012년 한국정책학회 하계 학술대회발표논문집, 575-585. 

  3. 권기헌 (2008), 정책학, 서울 : 박영사. 

  4. 김건위.최인수.전대욱(2015), "[지방행정연구] 지의 게재논문 분석 (1986-2014) 을 통한 지방자치 및 지방행정의 연구동향 분석", 지방행정연구, 29(1): 33-62. 

  5. 김동광 (2002), "생명공학과 시민참여 : 재조합 DNA 논쟁에 대한 사례 연구", 과학기술학연구, 2(1): 107-134. 

  6. 김용학.윤정로.조혜선.김영진 (2007),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 한국사회학, 41(4): 68-103. 

  7. 김정수 (1996), 미국 통상정책의 정치경제학, 일신사. 

  8. 김태승 (2017), "시차이론의 숙성기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51(1): 91-116. 

  9. 김태훈 (2010), "[지역사회연구] 학술지의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연구, 18(4): 91-107. 

  10. 남수현.설성수 (2007), "한국의 기술혁신 연구자 관계구조 분석 : 사회네트워크 관점", 기술혁신학회지, 10(2): 605-628. 

  11. 박순애 (2007), "행정학 연구분야의 시대적 적실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41(3): 321-344. 

  12. 박치성 (2010), "기획특집호 : 한국의 행정학/정책학 연구에 있어서 사회네트워크 방법론의자리 찾기", 한국정책학회보, 19(4): 115-154. 

  13. 박치성.정지원 (2013),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 19(2): 73-108. 

  14. 송성수 (2005), "생명윤리 입법과정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분석, 1997-2003", 한국기술혁신학회지, 8(2): 702-731. 

  15. 송성수 (2002),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특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과학기술학연구, 2(1): 63-83. 

  16. 윤석경 (2007), "인용분석에 의한 행정학분야 학술지의 특성", 한국공공관리학보, 21(3): 113-139. 

  17. 이수상 (2010),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297-315. 

  18. 이민창.최성락 (2013), "한국의 규제연구 동향 분석(1990-201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339-366. 

  19. 이우권 (2010), "한국 인사행정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24(1): 239-256. 

  20. 이은경 (2007), "한국의 나노기술 : 초기 정책 형성과 사회적 수용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7(1): 91-116. 

  21. 이정식.안희수.안청시.손문호.김만흠.양재인.이남영.박종훈.정윤무.이정희.윤정석.유훈.김흥기.조찬래.손호철.정용길 (1993), 정치학, 대왕사. 

  22. 이창길 (2010), "정권 초기의 가치지향과 정책우선순위 : 참여정부와 이명박정부의 언어네트워크 비교분석", 한국행정학보, 44(3): 165-189. 

  23. 정용덕 (2010), "한국행정학연구의 주제와 방법",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58-278. 

  24. 정정길.최종원.이시원.정준금.정광호 (2010), 정책학원론, 대명문화사. 

  25. 조흥순.전상훈 (2011), "한국 교육정책학의 최근 연구동향(2006-2010)", 한국교육학연구 (구안암교육학연구), 17(3): 29-62. 

  26. 최영출.박수정 (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45(1): 123-139. 

  27. 최영훈.이강춘 (2009), "학술논문 공동저술 유형 분석 : 한국행정학보(1989-2008)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3(3): 51-72. 

  28. 최현도 (2014),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와 학술연구 간의 상호관계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7(4): 763-785. 

  29. 하선권.김성준 (2016), "한국의 규제연구 동향 분석-행정학과 정책학 분야의 키워드네트워크분석", 사회과학논집, 47(1): 81-104. 

  30. 하연섭 (2006), "정책아이디어와 제도변화 : 우리나라에서 신자유주의의 해석과 적용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4(4): 1-27. 

  31. 허만형 (2009), "방법론적 관점에서의 한국정책학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8(1): 29-47. 

  32. Barabasi, A. L., Jeong, H., Neda, Z., Ravasz, E., Schubert, A. and Vicsek, T. (2002), "Evolution of the Social Network of Scientific Collaborations",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311(3-4): 590-614. 

  33. Beland, D. (2005), "Ideas and Social Policy: An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39(1): 1-18. 

  34. Berman, S. (2001), "Ideas, Norms, and Culture in Political Analysis", Comparative Politics, 33(2): 231-250. 

  35. Blyth, M. (2002), Great Transformation: Economic Ideas and Institutional Change in the Twentieth Centu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Blyth, M. (1997), "Any More Bright Ideas?" The Ideational Turn of Comparative Political Economy", Comparative Politics, 29(2): 229-250. 

  37. Carayannis, E. G. and Campbell, D. J. (2012), Mode 3 Knowledge Production in Quadruple Helix Innovation Systems, Springer. 

  38. Cobb, R. W. and Elder, C. D. (1983), Participation in American Politics: The Dynamics of Agenda-Building (2d ed.), Baltimore, M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9. Gibbons, M., Limoges, C., Nowotny, H., Schwartzman, S., Scott, P. and Trow, M. (1994), The New Production of Knowledge: The Dynamics of Science and Research in Contemporary Societies, London: Sage. 

  40. Habermas, J. (1973), Legitimation Crisis, Boston: Bacon Press. 

  41. Hall, P. A. (1993), "Policy Paradigms, Social Learning, and the State: The Case of Economic Policymaking in Britain", Comparative Politics, 25(3): 275-296. 

  42. Kretschmer, H. (1994), Coauthorship Networks of Invisible Colleges and Institutionalized Communities, Scientometrics, 30(1): 363-369. 

  43. Kretschmer, H. (1997), Patterns of Behaviour in Coauthorship Networks of Invisible Colleges, Scientometrics, 40(3): 579-591. 

  44. Leydesdorff, L. (2011), The Knowledge-based Economy, Florida: Universal Publishers Boca Raton. 

  45. Lieberman, R. C. (2002), "Ideas, Institutions, and Political Order: Explaining Political Chang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6(4): 697-712. 

  46. Newman, M. E. and Girvan, M. (2004), "Finding and Evaluating Community Structure in Networks", Physical Review E, 69(2): 1-16. 

  47. Mahoney, J. and Thelen, K. (2009), "A Theory of Gradual Institutional Change", In Explaining Institutional Change: Ambiguity, Agency, and Pow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37. 

  48. Schumpeter, J. A. (1964), Business Cycles, NY: Mc-Graw Hills. 

  49. Voorberg, W. H., Bekkers, V. J. and Tummers, L. G. (2015), "A Systematic Review of Co-Creation and Co-Production: Embarking on the Social Innovation Journey", Public Management Review, 17(9): 1333-1357. 

  50. Wagner, C. S. and Leydesdorff, L. (2005), "Network Structure, Self-Organization, and the Growth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Science", Research Policy, 34(10): 1608-16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