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논의 : 학문적 정의와 연구범위를 중심으로
Discussion of the Paradigm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 Suggesting the Definition of Discipline and Research Scope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21 no.1, 2018년, pp.1 - 32  

이찬구 (충남대학교 행정학부) ,  오현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김은미 (충남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2017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과학기술정책학 또는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독자적인 학문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출판된 과학기술정책 관련 단행본 19권을 대상으로, 학문 패러다임 형성의 핵심요소인 학문적 정의와 핵심 연구범위의 논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현 시점에서의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학은 패러다임 형성 이전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결론에 근거하여 연구자들은 향후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완성에 필요한 학문적 정의와 연구범위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과학기술정책학은 '과학기술 활동 및 과학기술과 관련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제반 현상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1) 과학기술 자체의 발전을 도모하면서 (2)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국가와 공공 부문의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고자 하는 정책지향적인 학문'으로 정의하였다. 과학기술 정책학의 '연구범위'는 (1) 과학기술 정책과정, (2) 과학기술 공공관리, (3) 연구관리, (4) 기술혁신의 4대 부문으로 제안하였다. 이 중에서 '과학기술 정책과정'과 '과학기술 공공관리'는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과학기술 정책학의 정의를 반영하는 새로운 내용이며, '기술혁신'과 '연구관리'는 기존 연구들도 대부분 포함하고 있는 과학기술정책학의 연구범위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motivated by the awareness that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o not have an independent academic identity in Korea as of 2017. This research has been analyzed 19 books that have covered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published in Korea and explored whether those have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은 어떤 활동들을 통해 실행적인면과 학문적 측면 모두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과 발전을 이루었는가? 1967년에 과학기술처가 독립적인 정부 부처로 신설되면서 과학기술정책 활동이 공식화・본격화되었기 때문이다. 그 후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책은 예산・조직・인력의 꾸준한 확대, 정책전문연구기관 설립, 관련 학회설립과 전문학술지 발간, 대학원 교육과정 개설, 독립적인 세부 학문분류 설정 등을 통해 실행적인(practical) 면과 학문적(academic) 측면 모두에서 괄목한 만한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 왔다.
과학기술정책학이 정상과학으로서의 학문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독자적인 연구범위와 대상, 고유 이론과 연구방법론 등을 확립할 필요한 이유는? 종합적으로 과학기술정책학은 ‘집단 정체성’은 어느 정도 완성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정상과학 또는 학문적 정체성 확보에 필수적인 ‘과학적 정체성’과 ‘경계 정체성’은 아직은 미흡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과학기술정책학이 정상과학으로서의 학문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독자적인 연구범위와 대상, 고유 이론과 연구방법론 등을 확립할 필요가 있고 이는 패러다임 정립의 문제로 연결될 것이다.
과학기술처가 독립적인 정부 부처로 신설된 년도는? 2017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과학기술정책학의 연구대상인 근대적 의미의 과학기술정책(science and technology policy)은 5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67년에 과학기술처가 독립적인 정부 부처로 신설되면서 과학기술정책 활동이 공식화・본격화되었기 때문이다. 그 후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책은 예산・조직・인력의 꾸준한 확대, 정책전문연구기관 설립, 관련 학회설립과 전문학술지 발간, 대학원 교육과정 개설, 독립적인 세부 학문분류 설정 등을 통해 실행적인(practical) 면과 학문적(academic) 측면 모두에서 괄목한 만한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0)

  1. 과학기술정책연구원.기술경영경제학회 (2017), 한국 기술혁신연구의 현황과 과제,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 국립국어원 (2016),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ic.jsp (2016.12.20.). 

  3. 김동원 (2016), "관리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행정학계의 관리론 연구경향 분석", 정부학연구, 22(3): 67-100. 

  4. 김미정.이흥권.최태진 (2011), "기초연구 예산배분 체계 및 관리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소고", 기술혁신학회지, 14(2): 177-204. 

  5. 김병기.이도선 (2011), "기관장(부서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 발휘 및 연구 성과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3(3): 157-184. 

  6. 김상호 (2003), "경찰학의 정체성 및 학문적 성격에 대한 고찰", 경찰학연구, 4: 176-194. 

  7. 김성수 (2013), "미래창조과학부 : 과학기술 행정체계의 진화와 역행",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509-539. 

  8. 김승경.이나영 (2006), "학제간 연구로서의 여성학 : 여성학(과)의 정체성 및 제도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2(1): 35-77. 

  9. 김은미 (2017), "과학계량분석(scientometrics)을 활용한 과학기술 정책연구의 실증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10. 김인수.이진주 (1982), 기술혁신의 과정과 정책, 서울 : 한국개발연구원. 

  11. 김재웅 (2012), "분과학문으로서의 교육학의 위기에 대한 고찰 : 현장적 전문성과 학문적 정체성의 관점에서", 아시아교육연구, 13(3): 1-26. 

  12. 김정홍 (2003), 기술혁신의 경제학, 서울 : 시그마프레스(주). 

  13. 김정환.김재훈.황재영 (2011), "디지털 환경에서 학술연구자들의 정보요구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3): 189-208. 

  14. 김종범 (1993), 과학기술정책론, 서울 : 대영문화사. 

  15. 김훈기 (2003), "한국 생명윤리 의제형성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분석", 생명윤리, 4(1): 55-74. 

  16. 남수현.박정민.설성수 (2005), "지식흐름의 계량분석 : 한국의 기술혁신연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8(특별호): 337-359. 

  17. 노명완 (1997), "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그 탐구 과제", 한국어학, 6: 35-64. 

  18. 문형욱 (2011), "전시학'의 학문적 패러다임 구성과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8: 69-88. 

  19. 민철구 (2010),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보상수준과 포트폴리오에 관한 분석", 기술혁신연구, 18(1): 219-245. 

  20. 박경미 (1996), "수학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를 위한 소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6(2): 115-127. 

  21. 박용치 (1983), 혁신의 확산과정, 서울 : 고려원. 

  22. 박우희 외 (2001), 기술경제학개론,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3. 박이문 (2002), "학문의 정체성, 경계선 및 주체성" 국문학은 무엇이며 어떻게 할 것인가?", 국어국문학, 131: 70-93. 

  24. 박재민.정승용 (2011), "연구원의 경력선택, 연구개발 노력 그리고 몰입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21(4): 51-75. 

  25. 박태영 (2012),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639-668. 

  26. 박희정 (2013), "공공감사학의 체계정립을 위한 시론적 연구 : 공공감사학의 위치와 초점", 한국행정학보, 47(1): 351-376. 

  27. 설성수 (1997), "과학기술정책의 기원", 기술혁신연구, 5(1): 1 13-149. 

  28. 설성수 (2011), 기술혁신론, 서울 : 법문사. 

  29. 설성수.조만형.김상태.이규현.이덕훈 (1997), 기술혁신과 산업.과학기술정책, 서울 : 기업기술연구원. 

  30. 송위진 (2006), 기술혁신과 과학기술정책, 서울 : 르네상스. 

  31. 송위진 (2010),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사회적 혁신정책' : 개념과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Issues and Policy, 2010(13). 

  32. 엄익천.조주연.고용수 (2013), "정부연구개발 예산의 중장기 재원배분 방안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22(1): 203-227. 

  33. 유정애 (2014), "한국여성체육학회의 학문적 정체성과 미래 과제 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8(4): 77-90. 

  34. 유진 (2003), "스포츠심리학 연구의 이론적 패러다임 탐색",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4): 223-236. 

  35. 윤진효 (2006), 한국기술정책론, 서울 : 경문사. 

  36. 이가종 (1990), 기술혁신전략, 서울 : 나남. 

  37. 이공래 (2000), 기술혁신이론 개관,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8. 이규환 (2007), "도시행정론에 관한 소고 : 학문의 정체성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9(4): 197-216. 

  39. 이양수 (2004), "조직행태론에 관한 소고 : 학문의 정체성 분석", 한국행정학보, 경찰학연구, 38(3): 1-21. 

  40. 이영덕.조석홍 (2013), 기술경영, 서울 : 두남. 

  41. 이영희 (1995), "한국 비서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3: 57-90. 

  42. 이용주 (2013), "한국의 이공계 연구인력의 양성 및 연구환경에 관한 고찰", 현상과 인식, 37(1/2): 31-56. 

  43. 이우성 (2005), 혁신정책의 범위설정과 분석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 핀란드와 한국 혁신정책에 대한 사례 적용, 서울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4. 이원영 (2008), 기술혁신의 경제학, 서울 : 생능출판사. 

  45. 이장재.현병환.최영훈 (2011), 과학기술정책론, 서울 : 경문사. 

  46. 이종옥.이규현.정선양.조성복.윤진효 (2005), R&D관리, 서울 : 경문사. 

  47. 이찬구 (2008), "선도기술개발사업(G7)의 정책결정 과정 분석 : 범부처간 추진과정 및 민간전문가 역할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16(2): 167-200. 

  48. 이찬구 (2012), "연구개발 평가의 신뢰성 증진방안 : 정보통신 연구지원기관의 사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3(3): 155-182. 

  49. 이찬구 (2015), "기초연구 분야 연구장비 관리체계 발전 방향", 사회과학연구, 26(1): 269-296. 

  50. 이찬구 (2016), "연구장비 공동활용 정책의 집행 효율화 방안 : 정책집행의 상향적 접근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9(2): 358-394. 

  51. 이찬구.김은미.오현정 (2016), "과학기술정책학의 정의와 연구범위에 관한 시론", 이찬구 엮음, 과학기술정책연구 : 총서 01, 대전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3-45. 

  52. 이찬구.김은미.오현정 (2017), "연구대상(locus)과 연구분야(focus) 설정을 통한 과학기술정책학의 패러다임 정립",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53. 임성민.정욱 (2009), "공공 R&D 시설.장비의 공동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2(2): 388-412. 

  54. 정근한.도계훈.최한림 (2014), 과학기술 기획 및 정책 관련 주요용어의 개념정립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55. 정선양 (2006), 기술과 경영, 서울 : 경문사. 

  56. 정선양.조성복.석재진 (2009),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창의적 인적자원 양성전략 : 전주기적 인력관리의 관점에서", 기술혁신연구, 17(2): 187-206. 

  57. 정연희 (2014), "문화예술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예술교육연구, 12(4): 81-101. 

  58. 정용남 (2010),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둘러싼 부처-출연연구기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4): 395-424. 

  59. 정재삼.금혜진 (2003),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논쟁 : 학문적 정체성, 간학문성, 소프트 및 하드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과학연구, 34(2): 167-192. 

  60. 정해조 (2007), "지역학의 정체성과 패러다임 모색 II", 지중해지역연구, 9(1): 277-298. 

  61. 조우호 (2006), "독어독문학의 정체성과 현대성 : 1990년 이후 독어독문학의 문화학적 방향전환의 맥락과 전망", 독일어문학, 35: 403-426. 

  62. 최석식 (2011), 과학기술정책론, 서울 : 시그마프레스. 

  63. 최선우 (2014), "경찰학의 정체성과 학문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16(2): 157-180. 

  64. 최성룡 (2008), "소방학의 학문적 패러다임 구성과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 정책과 학문의 연계성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2(3): 162-171. 

  65. 최외출 (2016), "새마을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보, 30(2): 81-100. 

  66. 허만용.이해영 (2012),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 한국정책학회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1(2): 1-31. 

  67. 현병환.윤진효.서정해 (2006), 신연구개발기획론, 서울 : 경문사. 

  68. 홍기원 (2009), "문화정책 연구에 대한 학문적 분야로서의 정체성 탐구", 문화정책논총, 21: 89-104. 

  69. 홍형득 (2016), 과학기술정책론, 서울 : 대영문화사. 

  70. 황호찬 (2000), "경영학 연구의 방향설정을 위한 방법론 및 패러다임의 연구", 경영학연구, 29(2): 153-169. 

  71. Brooks, H. (1964), "The Scientific Advisor," in Robert Gilpin and Christopher Wright (eds.), Scientists and National Policy Making,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73-96. 

  72. Krishnan, A. (2009), "What are Academic Discipline?: Some Observations on the Discipline vs Interdisciplinary Debate", NCRM Working Paper Series, ESRC National Centre for Research Methods, University of Southampton. 

  73. Kuhn, T. S. (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4. Kuhn, T. S. (1977), The Essential Tens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5. Lasswell, H. D. (1951), "The Policy Orientation", in Daniel Lerner and Harold D. Lasswell (eds.), The Policy Orientatio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4. 

  76. OECD (2015), Innovation Policies for Inclusive Growth, Paris: OECD Publishing. 

  77. OECD (2016), The Governance of Inclusive Growth, Paris: OECD Publishing. 

  78. Post, R. (2009), "Debating Disciplinarity", Yale Law School Legal Scholarship Repository, 749-770. 

  79. Ranney, A. (1968), "Political Science and Public Policy", Chicago: Markham. 

  80. Shunway, D. and Davidow, E. (1991), "Disciplinarity: An Introduction", Poetics Today, 12(2): 201-2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