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친화 인증후 컨설팅사업의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st-certification family friendly consulting service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2 no.1, 2018년, pp.1 - 21  

이유리 (홍익대학교 교양교육원 가정학전공) ,  정영금 (가톨릭대학교 소비자주거학 전공) ,  최나리 (건강가정컨설팅연구소) ,  강복정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사업지원본부) ,  박경은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가족친화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ost-certification family friendly consulting service based on consulting reports from 2015-2016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onsultants with the Family Friendly Support Center and m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가정기본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건강가정기본법은 건강한 가정생활의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국민의 권리ㆍ의무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가정문제의 적절한 해결방안을 강구하며 가족구성원의 복지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강화함으로써 건강가정 구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건강가정기본법 제1조). 또한 동법에 근거하여 건강가정사업에 관한 업무를 전담하고 수행할 수 있는 건강 가정전담조직으로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을 설립하고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사업 등 가족역량 강화를 위한 가족정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건강가정기본법은 무엇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는가? 건강가정기본법은 건강한 가정생활의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한 국민의 권리ㆍ의무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가정문제의 적절한 해결방안을 강구하며 가족구성원의 복지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강화함으로써 건강가정 구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건강가정기본법 제1조). 또한 동법에 근거하여 건강가정사업에 관한 업무를 전담하고 수행할 수 있는 건강 가정전담조직으로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을 설립하고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사업 등 가족역량 강화를 위한 가족정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국가가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을 제정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가정이 제 기능을 못하고 건강하지 못하면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유지ㆍ발전을 보장받을 수 없다. 국가는 과거 가정은 사적인 영역이며 가정의 문제는 가정이 알아서 하면 된다는 기조에서 현대사회 가정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사회환경임을 인식하고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을 제정하기에 이르렀다(이유리 외,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촉진에 관한 법률. 

  2. 강복정(2017). 일.가정 양립지원을 위한 가족친화지원센터 운영 및 발전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15-119. 

  3. 건강가정기본법. 

  4. 김혜원(2011). 가족친화제도와 기업성과. 노동정책연구, 11(3), 1-24. 

  5. 김화연.오현규.박성민(2015). 공공 및 민간 조직의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도구적 지지와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7(2), 483-511. 

  6. 박보람.김효선.구자숙.박찬희(2007). 부서의 업무과정특성과 가족친화분위기가 듀얼아젠다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15(2), 71-101. 

  7. 여성가족부(2011). 가족친화인증기업 사후관리방안연구. 여성가족부. 

  8. 유계숙.전혜정.최성일.김병석.장보현.한지숙(2006). 출산-가족친화 기업경영 확산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9. 윤왕희(2014). 가족친화기업 인증제도의 성과와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11-120. 

  10. 이병훈.김종성(2009). 가족친화경영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산업관계연구, 19(2), 153-175. 

  11. 이요행.방묘진.오세진(2005).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장-가정 갈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3), 639-659. 

  12. 이유덕(2011). 가족친화경영이 조직성과와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8(2), 71-83. 

  13. 이유리.이성훈.박은정.이유미(2017). 결혼과 가족생활. 시그마프레스. 

  14. 이주연.최석호(2010). 이중의제접근을 통한 가족친화경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3), 15-36. 

  15. 이진숙.최원석(2012).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계획 경로에 관한 연구 -성역할태도, 일가족양립갈등, 결혼행복감과 출산계획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4), 5-30. 

  16. 정기선.장은미(2005). 가족친화적 정책이 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 가족과 문화, 17(1), 59-84. 

  17. 정영금.조성은.안재희.김지수(2013). 가족친화지원사업의 시행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83-96. 

  18. 정지영(2013).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기업 컨설팅 모델 개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97-112. 

  19. 관계부처합동(2011). 제2차 건강가정기본계획 2011-2015. 

  20. 관계부처합동(2016). 제3차 건강가정기본계획 2016-2020. 

  21.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1). 2011 가족친화경영컨설팅 운영매뉴얼. 

  22.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2). 2012 가족친화경영컨설팅 운영매뉴얼. 

  23.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3). 2013 가족친화경영컨설팅 운영매뉴얼. 

  24.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4). 2014 가족친화경영컨설팅 운영매뉴얼. 

  25.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5). 가족친화인증 사후컨설팅 운영매뉴얼. 

  26.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6). 가족친화컨설팅 통합운영매뉴얼. 

  27.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7), 2017 가족친화인증기업/기관 사후지원관련 설문조사 결과보고서. 

  28. Bailyn, L. (1993). Breaking the mold: women, men, and time in the new corporate world. New York: Free Press. 

  29. Center for Work & Family, http://www.bc.edu/centers/cwf/research/publications 

  30. Center on aging & work, http://www.bc.edu/research/agingandwork 

  31. Kyra Cavanaugh, Jennifer Sabatini Fraone, Kathy Kacher (2014). National Workplace Flexibility Study. Center for Work & Family (http://www.bc.edu/centers/cwf/research) 

  32. Rapoport, R., Bailyn, L, Fletcher, J. K., & Pruitt, B. H. (2002). Beyond work-family balance: Advancing gender equity and workplace performance. Jossey-Ba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