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Extracts from Leaves of the Quercusaliena Blume on Human Dermal Fibroblast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2, 2018년, pp.140 - 145  

최선일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종석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이사라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여주홍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 ,  정태동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봉연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최승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심완섭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한웅호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진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종대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공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록된 국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갈참나무 잎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갈참나무 잎을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 25, 50 및 $100{\mu}g/mL$의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는 세포를 보호하여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100{\mu}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50{\mu}M$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 하기위해 사용한 $H_2-DCFDA$ assay에서는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 저감 활성을 확인하였고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10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50{\mu}M$ ascorbic acid와 비슷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A-${\beta}$-galactosidase assay를 이용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항노화활성은 ROS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 노화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갈참나무 잎 추출물이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세포 보호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kin of the human body occupies the largest surface area of the body and acts as a protection for the person's internal organs. As such, the skin is a major target of oxidative stressors, and these oxidative stressors are known to contribute to skin aging over the course of time. For the most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 산림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의 열매를 제외한 잎, 줄기 및 잔가지를 이용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고, 이를 이용하여 식품가공 원료로 적용한 연구도 초기단계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전보9)에서 국내 자생식물 45 종을 국립생물자원관 으로부터 제공받아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고, 이 중 효능이 우수하였던 갈참나무 잎을 70% 에탄 올로 추출하여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을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국내자생생물자원에 대한 유용성 정보를 제공하고 식품, 의약, 향장제품개발 등고부가가치 생물산업 제품 및 소재로 활용 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 노화의 종류는? 피부는 대사산물 배설 및 체온을 조절하는 가장 큰 신체기관이며, 신체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환경적,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요인에 대한 신체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체 내외부적으로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노화 및 각종 질병을 일으킨다1). 피부 노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적인 노화 현상인 내인성노화와 환경 호르몬, 자외선 등 환경에 노출되어 생기는 외인성노화 나눌 수 있다 2) . 특히,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는 활성산소 생성의 원인이 되며, 생성된 활성산소는 피부 항산화 기능을 파괴하고, 지질 과산화 반응을 개시 하며, 단백질 및 DNA의 산화뿐만 아니라 피부 진피층에서 결합조직 성분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을 유발시킴으로써 탄력 저하, 색소 침착, 주름생성 등의 피부질환의 원인이 된다3-5).
피부란? 피부는 대사산물 배설 및 체온을 조절하는 가장 큰 신체기관이며, 신체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환경적,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요인에 대한 신체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체 내외부적으로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노화 및 각종 질병을 일으킨다1). 피부 노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적인 노화 현상인 내인성노화와 환경 호르몬, 자외선 등 환경에 노출되어 생기는 외인성노화 나눌 수 있다 2) .
피부 노화에 자외선이 치명적인 이유는? 피부 노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적인 노화 현상인 내인성노화와 환경 호르몬, 자외선 등 환경에 노출되어 생기는 외인성노화 나눌 수 있다 2) . 특히,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는 활성산소 생성의 원인이 되며, 생성된 활성산소는 피부 항산화 기능을 파괴하고, 지질 과산화 반응을 개시 하며, 단백질 및 DNA의 산화뿐만 아니라 피부 진피층에서 결합조직 성분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을 유발시킴으로써 탄력 저하, 색소 침착, 주름생성 등의 피부질환의 원인이 된다3-5). 따라서 합성 항산화제 보다 더 안전하고 효력이 강한 항산화제를 찾으려는 연구가 민간요법이나 한방에서 효능이 입증된 천연물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ruk, J., Ewa, D.: Oxidative stress and skin diseases: possible role of physical activity. Asian Pac. J. Cancer Prev. 15, 561-568 (2014). 

  2. Cavinato, M., Jansen-Durr, P.: Molecular mechanisms of UVB-induced senescence of dermal fibroblasts and its relevance for photoaging of the human skin. Exp. Gerontol. 94, 78-82 (2017). 

  3. Droge, W.: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 47-95 (2002). 

  4. Harman, D.: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utat. Res. 275, 257-266 (1992). 

  5. Kim, H.S., Im, N.R., Park, J.H., Kim, M.O., Park, S.N.: Antioxidative effect and active component analysis of Gnaphalium affine D. DON. Extracts. J. Soc. Cosmet. Sci. Korea. 40, 11-20 (2014). 

  6. Kang, M.H., Choi, C.S., Kim, Z.S., Chung, H.K., Min, K.S., Park, C.G., Park, H.W.: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leaves, seed, branch and aerial part of Crotalaria sessifl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98-1102 (2002). 

  7. Ito, N., Hirose, M., Fukushima, S.: Modifying effects of antioxidants on chemical carcinogenesis. Toxicol. Pathol. 14, 315-323 (1986). 

  8. Choi, S.I., Lee, J.S., Lee, S., Lee, H.J., Kim, B.J., Yeo, J., Jung, T.D., Cho, B.Y., Choi, S.H., Lee, J.H., Kim, J.Y., Lee, O.H.: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extracts from leaves of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in human dermal fibroblast. J. Food Hyg. Saf. 32, 243-248 (2017). 

  9. Cho, M.L., Lee, J.S., Lee, S., Son, Y.K., Bae, C.H., Yeo, J., Lee, H.S., Ma, J.G., Lee, O.H., Kim, J.Y.: Antioxidant activity of 11 species in Korean native forest plants. Korean J. Food Nutr. 25, 1098-1106 (2015). 

  10.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Nakayama, O., Makishima, M., Matsuda, M., Shimomura, I.: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4, 1752-1761 (2004). 

  11. Kim, D.B., Shin, G.H., Kim, J.M., Kim, Y.H., Lee, J.H., Lee, J.S., Song H.J., Choe S.Y., Park I.J., Cho J.H., Lee, O.H.: Antioxidant and anti-ageing activities of citrus-based juice mixture. Food Chem. 194, 920-927 (2016). 

  12. Richard, D., Kefi, K., Barbe, U., Bausero, P., Visioli, 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s antioxidants. Pharmacol. Res. 57, 451-455 (2008). 

  13. Choi, S.I., Lee, J.H., Kim, J.M., Jung, T.D., Cho, B.Y., Choi, S.H., Lee, D.W., Kim, J.K., Kim, J.Y., Lee, O. H.: Ulmus macrocarpa Hance Extracts Attenuated $H_2O_2$ and UVBInduced Skin Photo-Aging by Activating Antioxidant Enzymes and Inhibiting MAPK Pathways. Int. J. Mol. Sci. 18, 1200 (2017). 

  14. Ansel, J.L., Lupo, E., Mijouin, L., Guillot, S., Butaud, J.F., Ho, R., Lecellier, G., Raharivelomanana, P., Pichon, C.: Biological activity of Polynesian Calophyllum inophyllum oil extract on human skin cells. Planta Med. 82, 961-966 (2016). 

  15. Phan, T.T., Wang, L., See, P., Grayer, R.J., Chan, S.Y., Lee, S.T.: Phenolic compounds of Chromolaena odorata protect cultured skin cells from oxidative damage: implication for cutaneous wound healing. Biol. Pharm. Bull. 24, 1373-1379 (2001). 

  16. Harman, D.: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Antioxid. Redox Signal., 5, 557-561 (2003). 

  17. Dimri, G.P., Lee, X., Basile, G., Acosta, M., Scott, G., Roskelley, C., Medrano, E.E., Linskens, M., Rubelj, I., Pereira-Smith, O.: A biomarker that identifies senescent human cells in culture and in aging skin in vivo. Proc. Natl. Acad. Sci. USA., 92, 9363-9367 (1995). 

  18. Yoon, Y., Choi, S.J., Park, W.J., Eom, S.Y., Lee, S.K., An, I.S.: The 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of Bifidobacterium longum against ultraviolet B in human dermal fibroblasts. Kor. J. Aesthet. Cosmetol. 10, 887-891 (2012). 

  19. Yeom, M.H., Lee, J.Y., Kim, J.S., Park, C.W., Kim, D.H., Kim, H.K.: The anti-aging effects of Korean ginseng berry in the skin. Kor. J Pharmacogn. 41, 26-30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