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노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aging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3 no.2, 2016년, pp.361 - 373  

정다정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  최태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암의 치료제로 사용된 약초인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항노화 효능을 검증하였다.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100 g의 와송 추출물 건조중량 당 12 g의 높은 caffeic acid 당량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g의 와송 추출물 건조중량 당 1.7 g의 quercetin 당량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와송 추출물 1%의 농도에서 79.7%의 높은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와송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측정 결과 $25{\mu}g/mL$, $50{\mu}g/mL$ 농도에서 control과 유사한 MMP-1 발현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와송 추출물의 임상실험결과 와송 추출물 함유 화장품 사용군의 수분함량은 오른쪽 볼과 코, 턱의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정상적인 피부의 유분 함량과 pH를 유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와송 추출물은 항산화와 항노화 효능을 가진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es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aging effects of an extract of Orostachys japonicus, a herb used as a folk remedy for cancer for a long time. To asses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Orostachys japonicus extract (OJ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confirmed to have a h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천연 약용식물인 와송 추출물의 생리활성 분석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검증하고자 항산화 활성과 항노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100 g의 와송 추출물 건조중량 당 12 g의 높은 caffeic acid 당량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도 기존연구와 유사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어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능을 입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천연 약용식물로 알려진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노화 효능에 대해 분석하고 임상실험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와송이란 무엇인가? 다양한 약용식물 중에서도 와송(Orostachys japonicus A. Berger)은 돌나물과(Crassulaceae)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오래된 기와지붕이나 산 위의 바위에서 자생하는 일명 바위솔이라고도 불리며, 오래전부터 암치료제로 사용되어왔고 약리적으로는 혈관수축작용과 호흡흥분작용, 장의 긴장도 증강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9]. 지금까지 보고된 와송의 성분으로는 friedelin, epi-friedianol, glutinone, glutinol과 같은 triterpenoid류와 β-sitosterol, campesterol 등의 sterol 계열물질이 있으며 kaempferol, quercetin과 같은 flavonoid, 4-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 등의 aromatic acid와 fatty acid ester류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다[10,11].
천연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천연물에는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성분에 대한 항산화, 항균, 항염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화장품 및 피부미용 재료로도 다양하게 이용된다[1,2]. 천연물 유래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 중 약용식물은 예로부터 일상적으로 이용되어 안정성이 입증되어 있고, 비타민, 무기질, 폴리페놀류 등 광합성 대사산물이 포함되어 있어 발암 및 노화를 예방한다고 보고되고 있다[3,4,5].
와송 추출물이 얼굴 피부의 pH 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한 결과 나타나는 결과는 무엇인가? 대조군의 경우 실험 전과 후에 pH 수치가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나 정상피부의 수치는 pH 4.5 - pH 5.5 의 범위로 대조군과 실험군의 경우 정상피부의 pH 의 수치 범위에 해당하므로 각 군에서의 화장품 사용은 피부에 유해하지 않으며, 정상피부의 pH 의 유지에 효과가 있다고 본다. 또한 와송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은 정상적인 피부의 pH 를 유지시켜 피부 수분함량의 증가에 도움을 주어 피부 보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G. M. Ahn, T. W. Kang, J. H. Jeong, B. K. Jo, Clinical studies on the antiirritation effects of Mung Bean (Phaseolus aureus) extract in cosmetics. J Soc Cosmet Scientists Kor 30(1), 23-28 (2004). 

  2. M. H. Song, J. T. Bae, G. S. Lee, Y. H. Zhang, H. B. Pyo, A study on the Azolla imbricata using as a cosmetic active ingredient. J Soc Cosmet Scient 36(1), 71-77 (2010). 

  3. S. E. Kim, S. R. Kang, M. S. Park, Y. C. Kim, Alleviating effects of Cnidium officinale water extract on skin barrier and inflammation in hairless mouse. J Invest Cosmetol 7(2), 137-145 (2011). 

  4. I. S. Bae, M. J. Shim, J. Y. Lee, Y. C. Kim, Application tests of Phellodendrin cortex water extract as functional cosmetic raw materials. J Invest Cosmetol 8(1), 1-8 (2012). 

  5. S. E. Kim, Y. C. Kim, Inhibitory effect of Cnidium officinale water extract on the skin wrinkle formation in hairless mouse. J Invest Cosmetol 9(3), 203-211 (2013). 

  6. S. J. Yang, T. B. Choe,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Forsythiae Fructus Extracts. J Medicinal Crop Sci. 19(6), 472-477 (2011). 

  7. G. N. Lim, M. A. Park, S. N. Park,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Sorbus commixta Twig Extracts. J Medicinal Crop Sci. 28(4), 482-490 (2011). 

  8. M. H. Kim, T. B. Choe,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and the Effects of Skin. J Medicinal Crop Sci. 32(3), 439-450 (2015). 

  9. D. A. Kim,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herbal medicine for cosmetic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Chemistry and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pp. 1-83 (2010). 

  10. H. J. Park, S. C. Lim, M. S. Lee, H. S. Young, Triterpene and steroids from Orostachys japonicus. Kor J Pharmacogn 25(1), 20-23 (1994) 

  11. S. Y. Choi, J. G. Kim, N. J. Sung,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DMA formation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Food & Nutr 21(20, 148-156 (2008). 

  12. S. J. Lee, J. K. Seo, J. H. Shin, H. J. Lee, N. J. Sung, Antioxidant activity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 Soc Food Sci Nutr 37(5), 605-611 (2008). 

  13. S. Y. Yoon, S. Y. Lee, K. B. W. R. Kim, E. J. Song, S. J. Kim, S. J. Lee, C. H. Lee, D. H. Ahn,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J Kor Soc Food Sci Nutr 38(1), 14-18 (2009). 

  14. H. Kwon, K. S. Han,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on the immune system. Kor J Medicinal Corp Sci 12(4), 315-320 (2004). 

  15. H. S. Lee, D. S. Ryu, G. S. Lee, D. S. Le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chloromethane fraction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RAW 264.7 cells: suppression of NF-kB activation and MAPK signaling. J Ethnopharmacol 140(2), 271-276 (2012). 

  16. Y. S. Won, J. H. Lee, S. J. Kwon, D. U. Ahn, D. Y. Shin, K. I. Seo, Anticancer effects of cultivated Orostachys japonicus o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43(1), 67-73 (2014). 

  17. O. Folin, W. Denis, On phosphotungsticphosphomoiybdic compounds ascolorregents. J Biochem, 12(2), 239-249 (1912). 

  18. T. Gutfinger,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erican. Oil Chem Soc, 58(11), 966-968 (1981). 

  19. M. I. Moreno, M. I. Isla, A. R. Sampietro, M. A. Vattuone,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thnophamacol, 71(1), 109-114 (2000). 

  20.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4617), 1199-1200 (1958). 

  21. E. N. Frankel, J. B. German, J. E. Kinsella, E. Parks, J. Kanner, Inhibition of oxida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by phenolic substances in red wine, J Lancet, 341(8843), 454-457 (1993). 

  22. C. A. Rice-Evans, N. J. Miller, G. Paganga,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 med, 20(7), 933-956 (1996). 

  23. J. B. Harborne, C. A. Williams, Advances in flavonoid research since 1992, Phytochemistry. 55(6), 481-504 (2000). 

  24. R. J. Gryglewski, R. Korbut, J. Robak, J. Swies, On the mechanism of antithrombotic action of flavonoids. Biochem pharmacol, 36(3), 317-322 (1987). 

  25. S. J. Lee, E. J. Song, S. Y. Lee, K. B. W. R. Kim, S. J. Kim, S. Y. Yoon, C. J. Lee, D. H. Ahn,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1), 1571-1579 (2009). 

  26. E. Y. Kim, I. H. Baik, J. H. Kim, S. R. Kim, M. R. Rhyu,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6(2), 333-338 (2004). 

  27. I. H. Baek,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improvement effect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extracts. Major of Esthetics, Department of Beauty Art,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2012). 

  28. S. K. Kim, Study on the antiatherosclerosis functional materization of natural antioxidant from the aerial par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 

  29. H. Y. Ahn, D. J. Choe, Y. S. Cho, Antioxidant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Orostachys malacophyllus and Fermented. J Life Science, 25(5), 577-584 (2015). 

  30. S. Y. Choi, Effect of Orostachys japonicus extracts on antioxidative activity and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Colleg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31. Y. H. Jeon, M. H. Kim, M. R. Kim,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ornus officiana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 1-7 (2008). 

  32. H. S. Kang, J. S. Kang, W. S. Jeong,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s of Saponins from Akebia quinata on HepG2 Hepatocarcinoma Cells. Kor J. Food Preserv. 17(3), 311-319 (2010). 

  33. S. K. Park, Studies on the proteome profiling for anti-aging efficacy of polypeptide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Aju University, D. Thesis (2015). 

  34. Y. A. Choi, Signaling pathway of MMP-2 in fibroblast migration and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Department of Biology, major in Zoology, The Graduate School (2007). 

  35. Farwick M, Watson RE, Rawlings AV, Wollenweber U, Lersch P, Bowden JJ, Salicyloyl-phytosphingosine: a novel agent for the repair of photoaged skin. Int J. Cosmet Sci, 29(4): 319-329, 2007. 

  36. Maity N, Nema NK, Abedy MK, Sarkar BK, Mukherjee pK. Exploring Tagetes erecta Linn flower for the elastase, hyaluronidase and MMP-1 inhibitory activity. J. Ethnopharmacol., 137(3): 1300-1305, 2011. 

  37. Y. K. Muramatsu, K. Shita, Water and skin and NMF. Frag J, 13, 518 (1993). 

  38. R. Ghadially, B. E. Brown, S. M. Sequeira-Martin, K. R. Feingold, P. M. Elias, The aged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Structural, functional, and lipid biochemical abnormalities in humans and a senescent murine model. J Clinical Investigation, 95(5), 2281-2290 (1995). 

  39. R. Blanken, M. I. van Vilsteren, R. A. Tupker, P. J. Coenraads, Effect of mineral oil and linoleic-acid-containing emulsions on the skin vapour loss of sodium-laurylsulphate-induced irritant skin reactions. Contact dermatitis, 20(2), 93-97 (1989). 

  40. J. W. Fluhr, M. J. Behne, B. E. Brown, D. G. Moskowitz, C. Selden, M. Mao-Qiang, T. M. Mauro, P. M. Elias, K. R. Feingold, Stratum corneum acidification in neonatal skin: Secretory phospholipase A2 and the sodium/ hydrogen antiporter-1 acidify neonatal rat stratum corneum. J Invesitigative dermatology, 122(2), 320-329 (2004). 

  41. A. K. Han, J. S. Won, O. S. Kim, Skin Hydration Status and Skin Surface pH According to the Body Parts of the Aged with Immobilization. J Kor Acad Fundam Nurs, 17(3), 314-32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