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C-Crash를 이용한 SUV의 전복사고 거동 및 충돌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lover Behavior of SUV and Collision Velocity Prediction using PC-Crash Program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8 no.2, 2018년, pp.227 - 235  

최용순 (가천.삼송자동차연구센터) ,  백세룡 (가천.삼송자동차연구센터) ,  정종길 (가천.삼송자동차연구센터) ,  조정권 (한국교통안전공단) ,  윤준규 (가천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자동차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차량 전복사고가 급증하여 이에 따른 인명피해가 증가해왔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차량충돌 실험장비 및 해석프로그램 개발 등의 다양한 기술이 진보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용한 차량모델은 미국 FORD사의 EXPLORER 차종이고, Rollover 해석은 차량충돌해석에 상용되고 있는 PC-Cras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UV의 전복사고 거동 및 충돌속도를 예측하였다. 그 해석결과로 FMVSS No. 208 법규를 통한 SUV차량의 실제 Rollover 거동과 비교할 때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충돌속도 및 롤각의 특성은 1000 msec 이후부터는 다소 오차율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NHTSA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고찰한 결과로 충돌속도 15~77 km/h, 충돌각도 $22{\sim}74^{\circ}$ 범위에서 전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함을 나타냈고, 실제 사고사례를 적용함으로써 차량 출발 위치, Roof 파손위치, 정지위치를 재현시켜 차량 Roof가 파손될 때 차량속도 및 충돌시간을 예측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ong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raffic volume of vehicles, accidents involving rollover of vehicle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resulting in an increase casualties. And to prevent this,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vehicle crash test equipment and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have been advanc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Jeong 등[8]은 ADAMS를 이용한 다물체 동역학 모델링을 통하여 정적 천정강도시험 및 동적 천정강 도시험을 실시하여 실험계획법(DOE : Design of Experiment)의 결과분석을 통하여 승객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부재의 특성을 고찰한 결과로 정적 천정강도에는 B-Pillar > Front roof bow > A-Pillar 순으로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차량충돌해석 프로그램인 PC-Crash를 이용하여 SUV의 전복사고를 재현하여 충돌속도 및 롤각 등을 산출하고, 실제 사고사례를 적용하여 충돌속도를 예측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PC-Crash의 Rollover 모델링을 위하여 바퀴와 서스펜션의 질량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고, z방향 타이어 힘은 서스펜션의 주행거리와 속도로부터 직접 계산하여 서스펜션 및 댐핑 값은 시뮬레이션 최적화를 위한 충돌 시험에서 알려진 차량운동과 가장 일치하도록 설정하였다[10].
  • 차량 모멘트를 형상하는 힘 위치의 차이로 차량이 선회반경의 바깥쪽으로 롤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차량은 롤 가속도 없이 정상상태로 선회한다고 가정하고, 타이어에 작용한 힘들은 전륜 및 후륜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다. 전복상황에서 횡방향 기울기, 횡경사를 고려하면 적절하게 반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PC-Crash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최종위치의 오차율을 확인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PC-Crash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최종위치의 오차율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Collision optimizer 기능을 사용하여 차량의 위치좌표, 차량방향 등으로 오차율을 확인하지만 Collision optimizer 기능은 차량 2대 이상의 충돌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그림 14는 차량 단독 Rollover 사례로 PC-Crash의 최적화 기능을 사용하여 오차율을 도출할 수 없어 그림 1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해석을 통하여 차량 출발위치, Roof 파손위치, 정지위치를 재현시킬 수 있었다.
SUV의 단점은 무엇인가? SUV((Sport Utility Vehicle)은 승용차에 비해 차량의 실내가 넓기 때문에 많은 양의 짐을 적재할 수 있어 여가생활에 필요한 장비를 적재하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여려 명이 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높은 차고로 인해 시야확보가 유리하여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높은 차고로 인해 차량 무게중심의 높이가 상승 하게 되어 차량이 급선회하는 경우 전복 또는 전도가 쉽게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대중화에 따른 자동차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차량 전복사고가 급증하여 이에 따른 인명피해가 증가해왔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기술이 진행되고 있다.
전복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차량 선회시 차체는 원심력에 의해 도로 곡선의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원심력으로 인한 롤각이 발생하여 차량이 견딜 수 없는 한계를 벗어나면 타이어가 노면을 이탈하게 되어 전복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차량전복에 관련된 역학은 차량을 강체로 가정하고 힘의 균형만 고려하므로 현가장치와 타이어의 변형은 무시한 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 H. Kim and J. H. Oh, "Study on the vehicle rollover criterion",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 pp. 1019-1024, 2004. 

  2. Y. S. Yoo, S. G. Kang, S. H. Shin, J. H. Jang and I. D. Kim, "A study on the parameter sensitivity of small vehicle trip rollover",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 pp. 684-689, 2010. 

  3. M. S. Lee and S. S.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ssessment index on the characteristics of vehicle rollover",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 pp. 2506-2510, 2011. 

  4. J. D. Kim and J. K. Yoon, "Reliable study on the collision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using PC-Crash Program",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2, No. 5, pp.115-121, 2012. https://doi.org/10.7236/jiwit.2012.12.5.115 

  5. G. S. Yoon, H. O. Liu and J. C. Lee, "Rollover stability analysis using energy diagram",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 pp. 919-927, 2014. 

  6. J. H. Bang and B. H. Lee, "A roll-behavior analaysis of SUV in turning motion on a slope", Transac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ol. 22, No. 4, pp. 131-137, 2014.. https://doi.org/10.7467/ksae.2014.22.4.131 

  7. S. J. Kwon, C. Y. Bae, C. J. Kim, B. H. Lee, T. Y. Koo and K. D. Sung, "A study on the sensitivity analysis of design variables by vehicle rollover analysis",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 pp. 1618-1623, 2010. 

  8. H. M. Jeong, B. K. Han and J. H. Jung, "A study of appropriateness for the roof strength evaluation method", KSA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 pp. 1340-1346, 2013. 

  9. 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FMVSS) No. 208, "Occupant Crash Protection.", 2016. https://stnw.nhtsa.gov/cars/rules/import/FMVSS/ 

  10. PC-Crash Inc, PC-Crash 11.0 Operating and Technical Manual, 2016. 

  11. Nathan A. Rose and Gray Beauchamp, "Analysis of a Dolly Rollover with PC-Crash", SAE No. 2009-01-0822, 2009. https://doi.org/10.4271/2009-01-0822 

  12. National Automotive Sampling System CDS XML Viewer, 2018. https://www-nass.nhtsa.dot.gov/nass/cds/ListForm.asp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