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들이와 무게 지도 방안에 대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apacity and Weight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Singapore, and the U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0 no.4, 2016년, pp.627 - 654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  권미선 (남양주양지초등학교) ,  김민정 (대구사월초등학교) ,  최인영 (진잠초등학교) ,  선우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록

측정은 초등 수학 교육에서 중요하지만, 초등학교에서 측정 영역을 의미 있게 지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들이와 무게의 지도 방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크게 전반적인 학습 내용 및 지도 시기와 주요 학습 내용별 지도 방안을 비교하였고, 이 중 주요 학습 내용별 지도 방안은 측정의 학습 내용에 특화된 교수 학습 요소에 따라 단위의 필요성, 용어의 의미, 적절한 단위 선택, 적절한 측정 도구 선택, 계산의 필요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 국가 모두 실생활 소재를 활용하고, 여러 가지 단위 사이의 관계를 중요하게 다루는 등 측정을 지도하는 일반적인 방향은 유사하였다. 반면 주요 학습 내용별 지도 방안 중 용어의 의미, 적절한 단위 선택, 적절한 측정 도구의 선택 등을 중심으로 주목할 만한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들이와 무게의 지도 방안 및 차기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 measurement strand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t is not easy to teach it meaningfully. This study analyzed instructional methods related to capacity and weight in a series of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Singapore, and the US. The overall analysi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측정 감각이란 무엇인가? 먼저 Shaw와 Cliatt(1989)의 연구는 초등학생의 측정 감각을 신장하기 위한 선행 연구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이론적 토대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측정 감각(measurement sense)’을 강조하였으며, 측정 감각은 “적절한 단위에 대한 지식, 측정 과정에 대한 지식, 측정할 때와 어림할 때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 어림 전략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고 주장하였다(pp. 149-150).
양에 대한 개념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측정은 양(quantity)을 다루는 활동이다. 양에 대한 개념은 초등학교 수학의 출발점이자, 수와 연산, 도형, 규칙성 및 자료와 가능성과 같은 여러 내용 영역을 학습하는 토대로써 중요하다(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 2013). 이에 초등학교에서 측정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으며, 특히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교육부, 2015a)은 측정을 실생활이나 다른 교과의 학습에 유용하게 활용되는 기능이며, 측정을 통해 길러지는 양감이 수학적 소양을 신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기술하였다.
측정 영역을 의미 있게 지도하는 것이 어려운 일임을 나타내는 연구의 내용은 무엇인가? 반면 초등 수학 교육에서 측정 지도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음에도, 초등학교에서 측정 영역을 의미 있게 지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일례로 변혜진과 신항균(2009)이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측정 영역의 지도 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당수의 현장 교사들은 측정의 주요 내용을 충실하게 지도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다. 뿐만 아니라 소위 좋은 수학 수업을 수행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준을 따른다고 하여도, 측정 영역에서 강조되는 핵심적인 교수·학습 요소는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방정숙, 김정원, 김혜정, 2012). 따라서 측정 영역을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고민은 필수적이며, 그에 대한 노력의 일환으로 현행 수학 교과서의 측정 영역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 (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서울: 경문사. 

  2. 교육부 (2013). 수학 1-2. 서울: 천재교육. 

  3. 교육부 (2014).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 

  4.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5. 교육부 (2015b). 수학 5-2. 서울: 천재교육. 

  6. 김명옥, 권성룡 (2009).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의사소통활동이 어림측정전략에 미치는 효과-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8(3), 329-352. 

  7. 김주현, 김애화 (2011). 초등학교 수학저성취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측정' 영역에서의 특성 비교.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2(4), 235-268. 

  8. 김지혜 (2013). 들이와 무게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교식 (2015).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267-287. 

  10. 방정숙, 권미선, 김민정, 최인영, 선우진 (2016). 길이와 시간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 측정의 교수.학습 요소 및 수학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8(2), 301-322. 

  11. 방정숙, 김정원, 김혜정 (2012). 측정 영역의 핵심 교수.학습 요소에 의한 좋은 수학 수업 분석. 초등수학교육, 15(2), 77-89. 

  12. 방정숙, 황현미 (2012). 수학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2006년부터 2011에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51(3), 247-263. 

  13. 변혜진, 신항균 (2009). 측정 영역에 대한 초등 교사의 실태 분석. 한국초등교육, 20(1), 55-77. 

  14. 서경혜 (2003).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규칙성과 함수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34(1), 163-180. 

  15. 서정아, 정희경, 정용재 (2000). 초.중학생의 눈금 읽기 능력 및 측정 도구와 단위에 관련된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11. 

  16. 유은진 (2013). 측정 경험을 활용한 들이와 무게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측정 감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이유미 (2010).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들의 측정 감각에 관한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임현수, 강홍재 (2010). 한.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37-353. 

  19.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15). 초등 수학교과서의 이상과 현실을 말하다. 수학교육 정책토론회 자료집. 

  20. 최병훈, 방정숙, 송근영, 황현미, 구미진, 이성미 (2006).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8(1), 45-68. 

  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007). 국제단위계 (제8판-2006년도). Retrieved from http://www.kriss.re.kr/standard/view.do?pgexplanation_tab_01. 

  22. 황현미 (2013).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과서 사용 실태 분석 및 수준 모델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3.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권성룡 외 11인 공역(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24. Bell, J., Bell, M., Bretzlauf, J., Dillard, A., Hartfield, R., Isaacs, A., et al. (2007a). Everyday mathematics 1-1 (3rd ed). Chicago: Wright Group. 

  25. Bell, J., Bell, M., Bretzlauf, J., Dillard, A., Hartfield, R., Isaacs, A., et al. (2007b). Everyday mathematics 1-2 (3rd ed). Chicago: Wright Group. 

  26. Bell, M., Bell, J., Bretzlauf, J., Dillard, A., Hartfield, R., Isaacs, A., et al. (2007c). Everyday mathematics 2-1 (3rd ed). Chicago: Wright Group. 

  27. Bell, M., Bell, J., Bretzlauf, J., Dillard, A., Hartfield, R., Isaacs, A., et al. (2007d). Everyday mathematics 3-2 (3rd ed). Chicago: Wright Group. 

  28. Bell, M., Bretzlauf, J., Dillard, A., Hartfield, R., Isaacs, A., MeBride, J., et al. (2007e). Everyday mathematics 4-2 (3rd ed). Chicago: Wright Group. 

  29. Bell, M., Bretzlauf, J., Dillard, A., Hartfield, R., Isaacs, A., MeBride, J., et al. (2007f). Everyday mathematics 5-2 (3rd ed). Chicago: Wright Group. 

  30. Bright, G. W. (1976). Estimation as part of learning to measure. In D. Nelson & R. E. Reys (Eds.), Measurement in school mathematics (1976 Yearbook), (pp. 87-194).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1. Hitotsumatsu, S., Masaki, K., Akai, T., Okada, Y., Machida, S., Moriya, Y., et al. (2011a). Study with your friends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1-1. Takeshi, Nara: GAKKOHTOSHO. 

  32. Hitotsumatsu, S., Masaki, K., Akai, T., Okada, Y., Machida, S., Moriya, Y., et al. (2011b). Study with your friends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2-1. Takeshi, Nara: GAKKOHTOSHO. 

  33. Hitotsumatsu, S., Masaki, K., Akai, T., Okada, Y., Machida, S., Moriya, Y., et al. (2011c). Study with your friends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3-2. Takeshi, Nara: GAKKOHTOSHO. 

  34. Hitotsumatsu, S., Masaki, K., Akai, T., Okada, Y., Machida, S., Moriya, Y., et al. (2011d). Study with your friends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5-1. Takeshi, Nara: GAKKOHTOSHO. 

  35. Hitotsumatsu, S., Masaki, K., Akai, T., Okada, Y., Machida, S., Moriya, Y., et al. (2011e). Study with your friends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6-2. Takeshi, Nara: GAKKOHTOSHO. 

  36. Kheong, F. H., Ramakrishnan, C., & Choo, M. (2014). My pals are here Maths 2B (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37. Kheong, F. H., Ramakrishnan, C., & Choo, M. (2015). My pals are here Maths 3B (3r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38.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08). My pals are here Maths 5B (2n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39.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09). My pals are here Maths 6B (2n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40. Lindquist, M. M. (1987).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Arithmetic Teacher, 34(5), 16-17. 

  4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42. Reys, R. E., Lindquist, M. M., Lambdin, D. V., & Smith, N. L. (2009).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New York: John Wiley & Sons. 

  43. Shaw, J. M., & Cliatt, M. J. P. (1989). Developing measurement sense. In R. T. Paul, & P. S. Albert (Eds.), New direction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1989 yearbook, pp. 149-15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