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Capacity and Weight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2, 2017년, pp.385 - 403  

권미선 (곡반초등학교) ,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내용을 단위, 단위 사이의 관계, 표준 단위의 필요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위와 관련하여 제5차 수학 교과서부터 2009 개정 수학 교과서까지 교과서에 제시된 단위의 표현, 단위의 표기, 단위의 종류, 단위의 기본량의 제시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의 내용은 국제단위계와 대체적으로 일치하지만 물의 무게를 통해 1kg을 정의하는 방식이 국제단위계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사이의 관계와 관련하여 교과서에서는 대체적으로 단위 사이의 관계를 글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에는 발문과 그림을 통해 그 이해를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표준 단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임의 단위의 불편함을 통해 표준 단위의 보편성, 편리성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이나 발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서 들이와 무게의 단위 제시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d the units of capacity and weight in the mathematics textbooks in terms of units,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s, and the need of standard un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units, the notation of units, the types of u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나라의 법정 도량형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미터법은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야드-파운드법은 주로 영국이나 미국에서 사용된다. 또한 척관법은 중국에서 시작되어 일본, 우리나라 등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 중국, 일본, 우리나라는 모두 미터법을 법정 도량형으로 사용하고 있다(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013).
척관법이나 야드-파운드법이 우리나라에서 거래상 또는 증명상의 계량에서 사용이 금지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1959년 미터협약에 가입하였으며 1961년 계량법을 제정하여 1964년 1월 1일부터 미터법에 따른 단위계만을 사용하였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 2014). 이에 따라 척관법이나 야드-파운드법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래상 또는 증명상의 계량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다.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량형 단위계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량형 단위계에는 미터법, 야드-파운드법, 척관법 등이 있다(Hoshida, 2014; Rorbert, 2011). 미터법은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야드-파운드법은 주로 영국이나 미국에서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서울: 경문사. 

  2. 교육과학기술부(2010). 수학 3-2. 서울: 두산동아.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4. 교육부(1992).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5. 교육부(1996). 수학 3-2. 국정교과서. 

  6. 교육부(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 [별책 8]. 

  7. 교육부(2014a).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 

  8. 교육부(2014b). 과학 3-2 교사용 지도서. 미래엔. 

  9. 교육부(2014c). 수학 교사용 지도서 3-2. 서울: 천재교육. 

  10. 교육부(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군 교과용도서 편찬기관 워크숍자료. 

  11. 교육부(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2. 교육인적자원부(2001a). 수학 3-나. 서울: 대한교과서. 

  13. 교육인적자원부(2001b). 수학 4-가. 서울: 대한교과서. 

  14. 교육인적자원부(2007).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 [별책 2]. 

  15. 김명옥, 권성룡(2009).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의사소통활동이 어림측정전략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8(3), 329-352. 

  16.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201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81381&cid48564&categoryId48564 

  17. 문교부(1987). 초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7-9호. 

  18. 문교부(1990). 산수 3-2. 국정교과서. 

  19. 방정숙, 권미선, 김민정, 최인영, 선우진(2016).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들이와 무게 지도 방안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4), 627-654. 

  20. 서정아, 정희경, 정용재(2000). 초?중학생의 눈금 읽기 능력 및 측정 도구와 단위에 관련된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11. 

  21. 이수진, 김민경(2017). 초등학생들의 다양한 어림 전략을 통한 길이 어림 분석. 초등수학교육, 20(1), 1-18. 

  22. 이유미(2010).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들의 측정 감각에 관한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조영미, 임선혜(2010). 시간 지도에 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연구: 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21-440. 

  24. 주영희, 김성준(2009). 측정 영역 수학학습부진아의 오류 유형 및 지도 방안 연구. 교과교육학 연구, 13(4), 717-736. 

  25. 한국표준과학연구원(2007). 국제단위계(제8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2014). 단위를 알면 세상이보인다: 단위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27. Hoshida, T. (2014). Zukai yoku wakaru tani no jiten. Tokyo: Kadokawa Corporation. 문무성 역(2014). 도해 단위 사전. 서울: 에이케이커뮤니케션즈. 

  28. Robert, P. C. (2011). World in the balance.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노승역 역 (2012). 측정의 역사: 절대 측정을 향한 인류의 꿈과 여정. 서울: 에이도스.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