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무접합 이중 게이트 MOSFET에서 문턱전압 추출
Extraction of Threshold Voltage for Junctionless Double Gate MOSFET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1 no.3, 2018년, pp.146 - 151  

정학기 (군산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hreshold-voltage extraction methods of accumulation-type JLDG (junctionless double-gate) MOSFETs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 Threshold voltage is the most basic element of transistor design; therefore, accurate threshold-voltage extraction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무접합 소자의 경우 채널과 소스/드레인 영역을 동일한 형태의 동일한 도핑농도로 제작함으로써 경계 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급격한 도핑분포의 변화를 피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축적형 무접합 이중 게이트(accumulation junctionless double gate, AJLDG) MOSFET에서 가장 합리적으로 문턱전압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이는 TCR (transconductance-to-current ratio) 방법 [6]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d2lnId/# 값의 최솟값을 구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AJLDG MOSFET에 대한 문턱전압을 채널 크기 및 산화막 두께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고 나노구조 MOSFET에 합당한 문턱전압 추출 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 Jiang 등은 무접합 이중 게이트 MOSFET에서 채널 내 전위의 최솟값이 Φmin = 0일 때, 게이트 전압을 문턱전압으로 정의하여 전송특성을 해석하였다 [4].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문턱전압 추출 방법을 AJLDG MOSFET에 대하여 적용하여 장단점을 비교하고자한다. 비교를 위하여 사용된 문턱전압 추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랜지스터에서 문턱전압이란? 트랜지스터에서 문턱전압은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트랜지스터 설계 시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하는 값이다. 기존의 MOSFET에서 문턱전압은 약반전에서 강반전으로 동작형태가 전환되는 게이트 전압으로 정의하며 정량적으로는 산화막과 채널 계면의 표면전위 Φs가 채널 내부의 페르미전위 ΦF의 2배가 될 때의 게이트 전압을 구하여 사용하였다.
NMOSFET와 PMOSFET의 문제점은? 이와 같은 정의는 공핍형(depletion mode)과 증식형(enhancement mode) MOSFET 또는 NMOSFET와 PMOSFET에 대하여 공히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트랜지스터의 채널 길이가 10 nm 이하로 감소하면서 문턱전압 이하 영역에서의 단채널 효과가 트랜지스터 동작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다중게이트 MOSFET의 경우, 채널 전체가 완전 결핍(fully depleted) 상태에서 동작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강반전에서의 문턱전압 정의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 기존의 접합형 이중 게이트 MOSFET는 채널 길이가 짧아지면서 채널과 소스/드레인 영역을 다른 형태로 도핑시키기 어려워지고 있으며 소스/드레인 영역과 채널 경계 면에서 급격한 도핑분포의 변화 때문에 공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존의 MOSFET에서 문턱전압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트랜지스터에서 문턱전압은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트랜지스터 설계 시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하는 값이다. 기존의 MOSFET에서 문턱전압은 약반전에서 강반전으로 동작형태가 전환되는 게이트 전압으로 정의하며 정량적으로는 산화막과 채널 계면의 표면전위 Φs가 채널 내부의 페르미전위 ΦF의 2배가 될 때의 게이트 전압을 구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정의는 공핍형(depletion mode)과 증식형(enhancement mode) MOSFET 또는 NMOSFET와 PMOSFET에 대하여 공히 사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R. D. Trevisoli, R. T. Doria, M. de Souza, and M. A. Pavanello, Solid-State Electron., 90, 12 (2013). [DOI: https://doi.org/10.1016/j.sse.2013.02.059] 

  2. A. Ortiz-Conde, F. J. Garcia-Sanchez, J. Muci, A. T. Barrios, J. J. Liou, and C. S. Ho, Microelectron. Reliab., 53, 90 (2013). [DOI: https://doi.org/10.1016/j.microrel.2012.09.015] 

  3. F. J. Garcia-Sanchez, A. Ortiz-Conde, and J. Muci, Microelectron. Reliab., 46, 731 (2006). [DOI: https://doi.org/10.1016/j.microrel.2005.07.116] 

  4. C. Jiang, R. Liang, J. Wang, and J. Xu, AIP Adv., 5, 057122 (2015). [DOI: https://doi.org/10.1063/1.4921086] 

  5. J. S. Wong, J. G. Ma, K. S. Yeo, and M. A. Do, Proc. Technical Proceedings of the 200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deling and Simulation of Microsystems (Nano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North Carolina, 2001) p. 534. 

  6. T. Rudenko, V. Kilchytska, M.K.M. Arshad, J. P. Raskin, A. Nazarov, and D. Flandre, IEEE Trans. Electron Dev., 58, 4180 (2011). [DOI: https://doi.org/10.1109/TED.011.2168227] 

  7. Z. Ding, G. Hu, J. Gu, R. Liu, L. Wang, and T. Tang, Microelectron. J., 42, 515 (2011). [DOI: https://doi.org/10.1016/j.mejo.2010.11.002] 

  8. D. Y. Jeon, S. J. Park, M. Mouis, M. Berthome, S. Barraud, G. T. Kim, and G. Ghibaudo, Solid-State Electron., 90, 86 (2013). [DOI: https://doi.org/10.1016/j.sse.2013.02.0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