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인식 및 중요도 분석
Perception and importance for country-of-origin labeling at restaurants in college students in Jeju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2, 2018년, pp.177 - 185  

박영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고양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채인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전관련 식행동을 조사하고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이용실태 및 중요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고취시키고, 음식점 원산지표시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은 5점 만점에 평균 3.65점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남자 3.69점, 여자 3.63점으로 나타나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인지 여부에 있어서는 '알고 있다'의 비율이 67.5%로 나타났고 남자는 69.7%, 여자는 65.9%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 점수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알고 있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01).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신뢰도에 있어서는 '매우 신뢰'가 4.9%, '신뢰하는 편'이 45.4%로 나타났고 음식점 원산지표시 확인 여부에 있어서는 '확인한다'가 68.0%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여자 (70.5%)가 남자(64.7%)보다 음식점 원산지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식품 안전 관련 식행동 점수 상위집단(79.3%)이 하위집단 (57.1%)보다 '확인한다'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01). 조사대상의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대해 평균 4.08점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여자 (4.13)가 남자 (4.01)보다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해 전체적으로 더 중요하게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 항목별 중요도는 '음식점의 정직한 원산지표시 (4.27)'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위반업체 단속 체계 (4.26) '원산지표시 위반했을 시 처벌 (4.25)',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위반 업체 신고 시 포상제도 (4.09)',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정부 정책 (4.08)'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품 안전 관련 식행동 점수에 있어서 남자 대학생들의 평균점수가 여자 대학생들 보다 높았으나 항목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고 남자 대학생들이 여자 대학생들보다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인지비율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음식점에서 원산지표시를 확인하는 비율과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중요성 인식에 있어서는 여자 대학생들이 남자 대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기 보다는 전반적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보다 체계적인 교육 및 홍보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 점수가 높은 학생들이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가 높게 나타났고 중요도에 있어서도 모든 항목에 대해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 점수가 높은 그룹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에 대한 홍보 및 교육과 더불어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이 건강을 위해 음식점 원산지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음식점의 정직한 원산지표시'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식점 원산지표시제가 올바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음식점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부의 체계적인정책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and importance of country-of-origin labeling at restaurants in 500 college students in Jeju surveyed from April 15 to May 5, 2016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A total of 465 questionnaires out of 500 were used as base data for this study.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전 관련 식행동을 조사하고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인식도, 이용실태 및 중요도를 조사 · 분석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고취시키고, 음식점 원산지표시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식품 안전 관련 식행동을 조사하고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인식, 이용실태 및 중요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음식점 원산지표시제도는 어떤 법에 도입되었는가? 음식점 원산지표시제도는 식품위생법에 처음 도입되어 2007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의 음식점에 대해 원산지표시제를 시범 실시하였고, 2007년 12월에 식품위생법이 일부 개정되어 2008년부터 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배추김치에 대하여 원산지표시가 시행되었으며 법제화 되었다4.2010년 2월에는 농산물품질관리법, 식품위생법을 통합하여 ‘농수산물의 원산지표시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으며, 2013년에는 시행령, 시행규칙이 개정되어 배추김치 가운데 고춧가루의 원산지표시를 의무화 하고 음식점원산지표시 대상을 쇠고기· 돼지고기 등 12개 품목에서 양(염소 포함)고기, 고등어, 살아있는 물고기, 배달용 돼지고기(족발, 보쌈 등) 등을 추가하여 16개 품목으로 확대하여시행되었다4.
원산지표시와 같은 식품의 표시제도의 특징은? 원산지표시와 같은 식품의 표시제도는 소비자의 상품식별을 위한 정보제공 행위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소비자가 안전하고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영위하게 하며7, 식품의 원산지표시제는 소비자들이 식품의 품질과 안전을 예측하거나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3. 식품표시제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메뉴 정보표시에 대한 연구8, 패밀리레스토랑의 원산지 및 영양정보표시에 대한 연구9,10, 식품표시에 대한 연구11,12등으로 이러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나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나라가 원산지표시를 추진하게된 배경은?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증가는 생활양식과 의식구조를 크게 변화시켜 식품의 질적 향상 및 건강관리에 대한 욕구 증가를 가져왔고, 자신이 섭취하는 식품의 안전성 및 식품 위생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1. 이러한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는 생산자의 품질에 따른 정당한 가격 수취, 소비자의 알 권리 및 품질에 따른 정당한 선택권이라는 목적을 명분으로 원산지표시를 추진해 왔으며, 다이옥신 파동이나 해외 광우병 발생과 같은 국내외의 식품안전 사건 발생으로 그 실시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쟁점화 되어왔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HJ, Kim MR.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s towards food hygiene 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am Environ Res 2003; 41(1): 15-26. 

  2. Kim HK. A study on the country-of-origin labeling initiative for restaurants[dissertation]. Seoul: Konkuk University; 2006. 

  3. Nam JY, Hong WS. Study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garding country-of-origin labeling for restaura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5; 31(1): 53-61. 

  4.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KR). Country-of-origin labeling [Internet]. Gimcheon: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6 [cited 2017 Dec 8]. Available from: http://www.naqs.go.kr. 

  5. Choi JH, Yi NY. The study of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nutritional labeling. Korean J Food Nutr 2013; 26(3): 391-397. 

  6. Choi SH, Park OJ, Lee MJ.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mark of food origins in restaurants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Seoul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7; 33(6): 682-690. 

  7. Kim HJ, Kim MR. A study for the purchase status of the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nd consumers' recognition of the labelling for the country of origin in Youngnam region. Korean J Diet Cult 1997; 12(5): 477-493. 

  8. Lee D, Lee JC, Kim MH. Effect of menu calorie labels on menu sales and consumer's recognition at a Korean restaurant in a hotel.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5): 505-514. 

  9. Seo KS, Lee AJ. The effect of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on menu description of country-of-origin in family restaurant. J Foodserv Manage 2014; 17(6): 97-118. 

  10. Kim TH, Chang HJ. Family restaurant patrons' perception on nutrition information of restaurant menus. Korean J Food Cult 2003; 18(3): 270-278. 

  11. Choi MH, Youn SJ, Ahn YS, Seo KJ, Park KW, Kim GH. A survey on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10): 1555-1564. 

  12. Chung HK, Kang JH, Lee HY. Usefulness, attitude for using and purchase intention on food labeling of housewives and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1): 86-97. 

  13. Ahn HJ, Park S, Joo N. Consumer awareness and demand for country-of-origin labeling at restaurants: for adults who live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2010; 16(3): 255-269. 

  14. Kim SY, Park S, Joo N.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country-of-origin labeling at school foodservice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4): 507-512.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Dietary safety rules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cited 2016 Jan 29].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 korea.go.kr. 

  16. Kim KD, Lee JY. A survey on the housewives' purchasing behavior and needs for food safety inform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3): 392-398. 

  17. Kim EJ, Kim M, Kim H. Analysis of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safe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buk region.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009; 21(3): 111-122. 

  18. Han JH, Jeon S, Kim S. The analysis on consumers' perceptions about origin labeling in food service sector. J Agric Life Sci 2016; 50(2): 195-206. 

  19. Lee KI, Hwang YJ, Son YE. The status and tasks of country of origin labeling for restaurants. Seoul: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9. 

  20. Kim SR. The effect of attitudes toward the place-of-origin indication system on purchase intention[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