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유문화의 장으로서의 도서관 공간의 설계요소 및 인프라 체계 연구
A Study on Design Elements and Infrastructure System of Library Space as a Place of Shared Culture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7 no.2 = no.127, 2018년, pp.86 - 97  

황미영 (동양대학교 건축실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odern times, pluralistic social phenomena in which various values are pursed and recognized appear. The modern society called hyper-connected, intelligence information and zero marginal cost society in which shared value is commonly emphasized faces a paradigm shift to shared society system.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도서관이 본래의 기능 이상의 통합적 지식공유의 장소임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기능과 프로그램의 다원성이라는 측면에서 레스토랑, 카페, 쇼핑, 육아, 종교, 교육 등 확장되는 다른 목적성 기능과의 연계성 검토와 함께 다양한 문화, 연령대와 계층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공유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공간에 관한 기초적 연구로서, 우선 현대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볼 수 있는 공유문화와 정보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는 사회 문화적 트렌드를 정보공간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에 대해 파악하며 나아가 공유문화를 내포하고 있는 정보시설의 의미와 역할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 따라 현대의 도서관 공간에 공유문화가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기술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정보공간에서 공유문화의 속성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그 설계요소들을 파악하며, 도서관 내 이용자공간에서 공유공간의 인프라 체계가 어떻게 구축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보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트렌드와 정보공간에 대한 상관관계를 예측할 수 있으며, 향후 정보공간의 계획 시 지침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
  • 본 연구는 현대사회가 공유사회로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전제하에 그 중심에 정보시설이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현대도서관의 이용자 공간 구성에 있어 작금(昨今)의 사회문화적 경향인 공유문화에 대한 속성이 어떠한 공간적 요소와 인프라 체계로서 구축되고 표현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현대도서관의 레이아웃을 규정하는 것은 방문객들이 처음으로 조우하게 되는 출입영역(Entrance), 서적 및 미디어 형태의 다양한 정보 컬렉션(Collection) 및 열람좌석영역, 이용자들의 공유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공적 영역(Public Space), 그리고 모든 지식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서 및 직원영역(Staff) 등의 핵심적인 프로그램 기능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핵심적 기능 중 지식정보의 공유 활동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이용자 중심의 영역(공간)들을 중심으로 진행할 것이다. 도서관이 사회적 공유시스템 중 하나로서 지식 공유를 위해 이용자들에게 어떠한 공평한 접근과 사용을 유도하고 있는지 그 공간의 구조와 구성을 분석하며, 이를 통해 시대적 요구(Needs)와 사회적 변화에 따른 물리적 환경의 적응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유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공간에 관한 기초적 연구로서, 우선 현대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볼 수 있는 공유문화와 정보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는 사회 문화적 트렌드를 정보공간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에 대해 파악하며 나아가 공유문화를 내포하고 있는 정보시설의 의미와 역할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 과정을 통해 공유문화 기반의 공간 설계요소를 추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도서관 사례를 대상으로 공유문화기반 정보공간의 구성 및 정보공유를 위한 공간구축방식 등 공간의 인프라 체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 따라 현대의 도서관 공간에 공유문화가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기술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정보공간에서 공유문화의 속성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그 설계요소들을 파악하며, 도서관 내 이용자공간에서 공유공간의 인프라 체계가 어떻게 구축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보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트렌드와 정보공간에 대한 상관관계를 예측할 수 있으며, 향후 정보공간의 계획 시 지침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

가설 설정

  • 이러한 건물의 형태는 과거 농장을 연상시키는 전통적인 지역에서 농업의 중요성을 상징하기도 한다.15) 지식정보로의 접근을 위한 플랫폼은 비교적 넓은 계단을 통해 상층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도시의 조망을 허용하는 다양한 휴식 공간을 지나도록 구성된다. 또한 건물의 다양한 기능-상업 공간, 사무실, 체스클럽 등-의 공적 공간프로그램들은 서가 안쪽에 쌓아올려진 형태로 숨겨져 있어,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방/폐쇄가 선택적으로 운영되는 공간 구조적 특성을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은 어떠한 이미지를 갖는가? 도서관은 지식을 전달하고 저장하는 것은 물론 논쟁과 연구를 위한 장소이며 지식과 관련한 모든 범위를 포함하는 공간이라는 원형적 이미지를 갖는다. 그리고 수세기에 걸쳐 개인의 아카이브(archives)에서 도시의 기념물로, 나아가 도시의 휴게공간으로 도서관의 역할은 끊임없이 진화해왔다.
공공도서관은 어떤 대표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는가? 특히 공공도서관은 이미 오래전부터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원하는 지식정보를 쉽게 대여해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공유플랫폼의 역할을 해왔다. 도시 내 공유지로서 지식을 소유가 아닌 사용에 초점을 둔 대표적인 공유의 공간인 것이다. 도서관이 이러한 공유공간으로서 접근성과 공공적 성격을 갖게 되기 시작한 것은 계몽주의 및 산업혁명 시기의 18세기부터로 볼 수 있다.
현대사회는 어떻게 일컬어지는가? 이러한 현상을 반영한 현대의 사회구조와 가치관은 소셜 네트워크의 발달과 사회구성요소들 간의 다원적 관계로 인해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현대사회는 공통적으로 공유의 가치를 중시하는 초연결사회, 지능정보사회, 한계비용제로사회 등으로 일컬어지며, 공유사회체제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 지식정보 분야와 관련한 공유기반 활동은 가속되고 있는 첨단 정보화 과정 속에서 더욱 급부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박흥수 외, 공유가치창출전략, 박영사, 2016 

  2. 신승수 외, 슈퍼라이브러리, 사람의 무늬, 2017 

  3. 데이비드 볼리어,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도서출판갈무리, 2015 

  4. 제러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주)민음사, 2017 

  5. 제러비 리프킨, 한계비용 제로사회, (주)민음사, 2014 

  6. 제이 월재스퍼, 우리가 공유하는 모든 것, (주)우리교육 검둥소, 2015 

  7. Jo Conen & Co, Public Library Amsteldam, Amsterdam/ Maastricht, 2011 

  8. MVRDV, El croquis 173, 2014 

  9. Nolan Lushington et al, A Design Manual Libraries, Birkhauser Basel, 2016 

  10. OMA/Rem Koolhaas, El croquis, 2007 

  11. Stadt Stuttgart, Stuttgart Public Library, Avedition Gmbh, 2011 

  12. 新建築, 株式會社新建築社, 2011.7 

  13. 임선정 외, 대학도서관 공유공간(Commons)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No.54, 2016.5 

  14. www.cnn.com/travel/article/coolest-libraries-world/index.html 

  15. https://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slen&u 

  16. http://www.bestcollegesonline.com/blog/the-25-most-modernlibraries- in-the-world/&prevsearch 

  17. https://www.bibliotheekdeboekenberg.nl/ 

  18. https://www.german-architects.com/fa/projects/view/jin-ze-ha imirai-tu-shu-guan 

  19. https://www.ideastore.co.uk/about-us 

  20.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0719&efYd20160804#0000 

  21. https://www.lib.kanazawa.ishikawa.jp/ 

  22. https://www.oba.nl/oba/english/central-library.html 

  23. https://www.spl.org/ 

  24. http://www1.stuttgart.de/stadtbibliothek/bvs/actions/profile/view. php?id5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