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섬유 복합재 및 두께 축소율을 이용한 풍력 블레이드 스파캡 경량화 설계
A Lightweight Design of the Spar cap of Wind Turbine Blades with Carbon Fiber Composite and Ply Reduction Ratio 원문보기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v.12 no.2, 2018년, pp.66 - 75  

김도원 (전북대학교 기계공학과) ,  정규 (전북대학교 기계공학과) ,  임재혁 (전북대학교 기계공학과) ,  임준우 (전북대학교 기계공학과) ,  유병민 (전북대학교 기계공학과) ,  이길성 (전북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2MW급 풍력 블레이드의 스파캡을 탄소복합재료, 두께축소율(PRR) 및 상쇄연구(Trade-off study)를 이용해서 경량화 설계를 수행했다. 블레이드 스파캡은 블레이드의 기계적 건전성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가벼우면서도 기계적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블레이드 스파캡의 형상을 도출하기 위해 주어진 설계하중으로 스파캡의 두께를 변화시키면서 반복적인 구조해석을 실시한다. 파손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Tsai-Wu 및 Puck 파손이론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GFRP 복합재료보다 CFRP 복합재료가 동일한 조건에서 약 30%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었다.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복합재료 적층두께의 최적값을 도출하여 구조적 성능 향상 및 경량화 된 설계 결과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 lightweight design of the spar cap of 2MW wind turbine blade was carried out using the ply reduction ratio (PRR) and CFRP with a trade-off study. The spar cap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the blade. Tsai-Wu and Puck fracture theo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적용과 스파캡 경량 구조 상쇄연구(Trade-off study)를 통하여 구조물 경량화 및 구조적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스파캡 경량화 논문[7]과 달리 초기 설계를 기준으로 스파캡 두께축소율(Ply Reduction Ratio, PRR)를 정의하고, 적층 수 감소에 따른 경량화를 시도하여 방법론을 매우 효율적이고 단순화 하였다.
  • 앞서 언급한 파손상태 판단기준에 의거하여 섬유파손 및 기지파손 상태에 따라 파손지수를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왜냐하면 Tsai-Wu와 마찬가지로 파손 기준이 되는 파손지수가 1을 초과하면 파손이 일어나는 것처럼 섬유 및 기지의 파손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즉, UD CFRP의 적층 수를 감소시키고 두께를 줄이는 상쇄연구를 수행하면서, 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동시에 블레이드 무게가 최소가 되는 UD CFRP층의 두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제한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sai-Wu 파괴기준의 단점은? Tsai-Wu 파괴기준은 각각 응력들의 상호관계를 고려할 수는 있지만, 파괴기준식이 하나의 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파괴모드를 직접적으로 예측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섬유(Fiber)파손과 기지(Matrix)파손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Puck 파손이론을 바탕으로 파손해석을 수행하였다.
국내 5MW급 대형 풍력발전기 개발하는데 있어서 한계점은? 국내에서 현재 5MW급 대형 풍력발전기 개발이 진행 중에 있지만 독자적인 국내 블레이드 설계/해석 기술개발은 부족한 단계이다. 따라서 블레이드 부분은 설계/해석을 전적으로 해외 업체에 위탁하여 인증을 받거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해외 의존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풍력블레이드 개발을 위한 독자적인 구조해석 및 인증기술을 보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최근 경제성을 이유로 풍력터빈 개발은 어떤 추세인가? 최근 경제성을 이유로 풍력터빈이 대형화됨에 따라 블레이드와 타워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강성증가를 위해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 이하 GFRP) 복합재료(Composit Material) 대신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 이하 CFRP) 복합재료(Composit Material) 사용이 확대되어지는 추세이다. 이를 위한 주된 설계 고려사항은 강성, 강도이며 자중에 의한 하중경감을 위해 경량 블레이드 설계 또한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un-Jung Jang, Ji-Won Jin, Ki-Weon Kang, "Structural Optimization considering Stress and Weight for Wind Turbine Composite Bla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19-20, April 2017 

  2. Ji-Hyun Lee, Sung-Young Moon, Yeon-Seung Lee, Young-Gyun Kim, "Weight Reduction Optimization for 5MW Offshore Wind Turbine Blade using Carbon Fiber", Journal of Wind Energy, Volume 3, Issue 1, pp.27-35, 2012 

  3. Chan-Woong Choi, Ji-Won Jin, Ki-Weon Kang, "Structural Optimization for Small Scale Vertical-Axis Wind Turbine Blad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22-27, August 2013 

  4. Chang-Duck Kong, Min-Woong Kim, Hyun-Bum Park, "Study on Aerodynamic and Structural Design of High Efficiency and Lightweight Composite Blades of 1MW Class HAW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pp.769-773, November 2011. 

  5. Hyung-il Kwon, Dong-Ok Ryu, Ju-Youl Yoo, Oh-Jun Kwon, "Aerodynamic Sectional Design Optimization of Wind Turbine Rotor Blade Considering Elastic Structural Deformation", Journal of T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pp.1276-1283, November 2011 

  6. Jun-Woo Choi, Hyeon-U Heo, Kwang-Won Kim, Doo-Man Kim, "Analysis of Wind Turbine Blade Deformation for Cross Section Sha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luid Machinery, pp.98-103, November 2012 

  7. Myung-Chan Cha, Sang-Woo Kim, Min-Soo Jeong, In Lee, Seung-Jae Yoo, Cheon-Jin Park, "FThickness Optimization for Spar Cap of Composite Tidal Current Turbine Blade using SQP Method", Journal of Composites Research, Volume 26, Issue 4, pp.207-212, 2013 

  8. Dong-hoon Kim, Yoo-jeong Noh, Eun-Ho Choi, O-Kang Lim, Jin-Rae Cho, "Fluid-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of 5-MW Wind Turbine Blad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pp.313-314, April 2014 

  9. http://blades.windnovation.com 

  10. ECSS, "Spacecraft mechanical loads analysis handbook", ECSS-E-HB-32-26A, 2013 

  11. Puck, A. & Schurmann, H., "Failure Analysis of FRP Laminates by Means of Physically based Phenomenological Model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58, pp.1045-1067. 1998 

  12. Puck, A. & Schurmann, H., "Failure Analysis of FRP Laminates by Means of Physically based Phenomenological Model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62, pp.1633-1662.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