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학관측위성의 영상품질열화 최소화를 위한 반작용휠 최적위치 선정
Optimal positioning of reaction wheel assemblies of optical observation satellite for minimizing image quality degradation 원문보기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v.12 no.6, 2018년, pp.9 - 16  

임정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임재혁 (전북대학교) ,  김경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윤형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김성훈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반작용휠 미소진동시험 결과 및 유한요소모델 기반 광기계해석 통합모델을 이용해 영상품질저하 예측을 실시하고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준 회전수에서 영상품질관점에서 최적의 반작용휠 배치조합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성은 적절한 기동성능을 위하여 여러 개의 반작용휠을 장착하는데 반작용휠에서 발생하는 미소진동은 위성영상품질 열화에 원인이 된다. 같은 반작용휠이라도 제조과정상 발생하는 제품의 진동특성차이가 있으며 이를 반영한 반작용휠의 배치설계는 최종 위성영상 성능품질 열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든 반작용휠의 배치상태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영상품질 열화해석을 실시하여 최소의 열화가 일어나는 반작용휠 배치조합을 찾아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how to find out the optimum position of the reaction wheel assembly (RWA) to minimize image quality degradation through the integrated system jitter prediction combining the micro-vibration test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considering optical coefficients. Micro-vibration gener...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smail은 중경사각 궤도와 고경사각 궤도의 차이에 대하여 반작용휠 배치형상이 토크와 자세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6].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반작용휠의 개별 특성차이에 대한 영향을 확인할 수가 없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개별 미소진동특성이 상이한 반작용휠의 실측 진동입력이 영상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최적의 반작용 휠 장착위치를 찾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해외 제작업체에서 개발되어 납품된 반작용휠의 개별적인 진동특성 차이를 고려하여 광학위성의 영상품질 관점에서 최적의 반작용 휠 배치조합을 찾기 위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반작용휠의 기준 동작 RPM에 따라 휠에서 발생하는 진동특성의 차이가 존재하며, 예상 구동 RPM에서 최적의 휠 배치 조합을 확인하였다.
  • 차세대중형위성에 사용되는 4개의 반작용휠(RWA1, RWA2, RWA3, RWA4)은 동일한 제조업체에서 제작 및 시험을 거쳐 성능 및 환경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납품되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각 휠의 특성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반작용휠의 장착 위치 조합에 따라 최종 영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중형위성 1호의 구동장치로 납품된 반작용휠 비행모델에 대하여 영상성능 측면에서 최적의 배치 조합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학위성 영상품질을 평가하는 성능지표는 무엇이 있는가? 광학위성 영상품질을 평가하는 성능지표로는 지상해상도, 관측폭, 변조전달함수(MTF; modulated transfer function), 측위정밀도(geolocation accuracy),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등이 있으며, 이중 전통적으로 MTF가 영상품질 평가방식의 단일지표로 유용하다. 광학위성영상의 MTF는 크게 광학탑재체에 의한 성능저하, 위성움직임에 의한 성능저하로 구성되며, 대기효과 및 신호처리 등에 의해서도 영상품질이 저하된다.
위성영상 획득방식은 무엇이 있는가? 전자광학카메라를 탑재한 지구관측위성에 대한 상업적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상용지구관측 광학영상 요구 해상도는 서브미터급 이하로 낮아지고 있다[1]. 위성영상 획득방식으로는 위스키브룸방식, 푸쉬브룸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고해상도 광학위성의 경우 푸쉬브룸방식을 이용한 전자광학카메라 영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1-2].
차세대중형위성의 영상획득 모드에서 반작용휠의 특성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차세대중형위성의 영상획득 모드는 스트립모드, 다중관측모드 그리고 다중패스 스테레오 모드로 이루어져 있다. 어떤 모드에서든 영상획득 시간 사이에서의 위성기동은 없으나, 반작용휠의 특성상 휠은 기준 회전속도(RPM; Revolution per Minute)로 구동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진동은 광학계 구성요소인 카메라의 각 거울과 CCD(Charge-Coupled Device) 촬영소자의 변위를 발생시켜 영상품질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차세대중형위성에 사용되는 4개의 반작용휠(RWA1, RWA2, RWA3, RWA4)은 동일한 제조업체에서 제작 및 시험을 거쳐 성능 및 환경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납품되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각 휠의 특성차이가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Satellite-based Earth Observation Market Prospects to 2026", Euroconsult, 2017 

  2. Kramer. H. J "Observation of the Earth and Its Environment", Springer, 2001 

  3. Youngmok Hyun, Nakwan Kim, Domyung Kim, Jeongho Lee, Jinyoung Suk, Hee-Seob Kim, and Gyu-Sun Kim, "MTF Analysis for the Image Performance Prediction of Observation Satellites", SICE-ICASE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2006, 2006 

  4. Do-Soon Hwang, Jae Hyuk Lim, and Hyoung-Yoll Jun,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Satellite Technolog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44(1), pp. 80-87, 2016. 

  5. Abollfazl Shirazi and Mehran Mirshams, Pyramidal reaction wheel arrangement optimization of satellite attitude control subsystem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Journal of Aeronautical & Space Science, Vol.15(2), pp. 190-198, 2014. 

  6. Zuliana Ismail and Renuganth Varasharajoo, Reaction Wheel Configurations for high and middle inclination orbits, ARPN Journa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Vol.10, No.21, pp. 10034-10042, 2015 

  7. Da Hyun Lee, Jae Hyuk, and Dae Gi Hong, Online Refocusing Algorithm Considering the Tilting Effect for a Small Satellite Camera,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Vol.12, No.4, pp. 64-74, 2018 

  8. Jae Hyuk Lim, Hee-Kownag Eun, Dae-Kwan Kim, Hong-Bae Kim, and Sung-Hoon Kim, Satellite finite element model updating for the prediction of the effect of micro-vib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42(8), pp. 692-700, 2014. 

  9. Jae Hyuk Lim, A correlation study of satellite finite element model for coupled load analysis using transmissibility with modified correlation measures,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Vol.33, Issue 1, pp. 82-91,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