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납(Pb) 계열 안료의 변색에 관한 대기환경인자의 영향 연구
Effect to the Discoloration of Lead Based Pigments by the Factors of Air Environment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2, 2018년, pp.69 - 76  

이유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김지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강대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납 계열 안료(연백, 밀타승, 연단)는 대기환경에서 변색이 쉽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산소($O_2$)와 이산화탄소($CO_2$)가 납 계열 안료인 연백, 밀타승 및 연단의 변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O_2$(99%, RH 99%)와 $CO_2$(36,000 ppm, RH 99%) 환경 하의 대부분의 안료 시편에서 ${\Delta}E=5.0$ 이상의 변색이 관찰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안료입자의 모서리가 마모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XRD 분석에서 열화 후 각 안료의 특징적 회절피크가 약해졌으며, $CO_2$(36,000 ppm, RH 99%)에 노출시킨 연백, 밀타승, 연단 시편은 탄산납의 주요 회절피크가 확인되었다. 특히 밀타승 시편은 Plattnerite($PbO_2$) 결정이 확인되었으며, 연백 시편은 기존의 XRD 피크들이 사라지고 Cerussite($PbCO_3$)가 동정되는 특징도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고습의 $CO_2$ 환경에 납 계열 안료가 노출될 경우, 변색을 동반한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ad-based pigments (Lead White, Massicot, and Red Lead) are known to cause discoloration easily in indoor air environ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resentative indoor air environment factors ($O_2$, $CO_2$) on lead-based pigments. As a resul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 대기환경 하에서 변색이 일어난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오염물에서 기인한 변색이 아닌, 대기환경인자(O2, CO2)에 의한 변색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열화 과정에서 새로운 물질의 생성 여부와 이 물질이 변색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채색 문화재에서 많이 사용된 납 계열 안료가 실내 대기환경 인자인 산소(O2)와 이산화탄소(O2)에 의해 변색, 성분 및 화합물의 변화를 일으키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고, 이것들이 안료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지 시편제작 시 아교수를 도포하여 공극의 크기를 줄여준 이유는? 시편제작 시 한지는 섬유질로 이루어져 비교적 큰 공극들이 분포하기 때문에 아교수를 도포하여 공극의 크기를 줄여주었다. 아교 포수액은 교의 농도가 2%가 되도록 제조하고, 교수 전체에 대하여 0.
대기환경인자에 의한 변색 여부를 확인 하고자 하는 이유는? 위와 같은 사실을 통해 이산화탄소에 의한 납 계열 안료의 변색 가능성도 제시해 볼 수 있다.
납 계열 안료의 특징은? 납 계열 안료(연백, 밀타승, 연단)는 대기환경에서 변색이 쉽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산소($O_2$)와 이산화탄소($CO_2$)가 납 계열 안료인 연백, 밀타승 및 연단의 변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ze, S., Vallet, J., Pomey, M., Baronnet, A. and Grauby, O., 2007, Red lead darkening in wall paintings: natural ageing of experimental wall paintings versus artificial ageing test. European Journal of Mineralogy, 19, 883-890. 

  2. Guo, D., Robinson, C. and Herrera, J.E., 2016, Mechanism of dissolution of minium ( $Pb_3O_4$ ) in water under depleting chlorine conditions. Corrosion Science, 103, 42-49. 

  3. Han, G.S., 2001, Pigments of mural paintings in Dunhuang Mogao Caves. Korean Bulletin of Art History, 232, 177-199. (in Korean) 

  4. Hwang, I.S., 2004, Discoloration of lead containing pigments in paintings(II). The 2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Seoul, October 4-5, 7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gawa, R., Miyazawa, Y., Kuchitsu. N., Sano, C., Yamano, K. and Miura, S., 1998, Anoxia treatment by various kinds of oxygen scavenger : Evaluation of effects on pigments. Science for Conservation, 37, 23-33.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6. Kim, M.J., 2013, Discoloration of lead red by the environmental influence.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S.D., 1994, A brief study on the corrosion of bronze roofing tile. Conservation Studies, 15, 63-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tulanova, E., Bezdicka, P., Hradil, D., Hradilova J., Svarcova, S. and Grygar, T., 2009, Degradation of lead-based pigments by salt solutions.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0, 367-378. 

  9. Kuchitsu, N., 1996, Mineralogical consideration on discoloration of red lead. Conservation Science, 36, 58-66.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