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산업에서 활용되는 식품안전 분석기술의 현황
Food safety analytical techniques used in food industry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51 no.1, 2018년, pp.16 - 25  

김영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importance of analytical techniques related to food safety is emerging in the food industry due to changes in diet patterns, environmental changes, climate change and consumer's interest in food safety. In particular, food safety accidents in the food industry may cause economic los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식품안전정보에 근거한 식품안전사고의 사전예방적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 국가식품안전정보 및 EU RASFF 등에서 식품안전사고의 이슈가 되고 있는 잔류농약, 곰팡이독소, 중금속, 가공 중비의도적 생성물질, 포장재 유래 성분에 대해 식품 산업체에서 활용되는 분석기술과 식품분석의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인 비파괴분석을 이용한 친환경분석에 대해 정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식품과 접촉하는 포장재는 식품의 기구 및 용기 기준규격에 준하여 재질규격과 용출규격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최근 포장재로부터 발생 가능한 성분이 식품에 전이되는 문제에 대해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포장재 유래성분인 비스페놀A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에폭시 레진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에서 비스페놀A가 유리되어 인체에 흡수되었을 때 에스트로겐 호르몬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 비의도적의 생성되는 유해물질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헤테로사이클린아민류, 아크릴아마이드, 에틸카바메이트 등 다양한 성분들이 보고가 되고 있다. 이중 발효식품에서 자연적으로 발생가능한 에틸카바메이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최근의 분석기술은 전처리 시간 단축, 시약 사용 최소화, 다성분 동시분석, 비용 절감 등 다각도로 분석기술의 진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중 비파괴 분석법을 이용한 친환경 분석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진동 분광기술의 범위는 변환 근적외선, 근적외선, 라만 분광학,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징 (HIS, Hyperspectral imaging) 등의 기술로서 비파괴분석으로 상대적으로 분석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품질 및 식품안전분석을 위한 기술로서 식품의 정량 분석 및 시간 소모적인 기술에 대한 대안책으로 제시되고 있다(Lohumi 등, 20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산업체가 식품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기 위해 참고해야 할 기관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식품산업체에서는 식품안전 관련한 부정적 이슈를 예방하기 위해서 국내외 식품안전정보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사후관리가 아닌 사전예방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식품 산업체가 식품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기 위해 참고해야 할 기관에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및 국가식품안전정보원(NFSI), EURASFF(The Rapid Alert System for Food and Feed), 미국 FDA, 일본 MHLW, 중국 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 대만 식품약품소비자지식서비스넷, 캐나다 식품검사청 등이 있다. 특히, 국가식품안전정보원은 2008년 중국 분유의 멜라민 사건을 계기로 설립되었으며, 세계 52개국 276개 사이트의 주요한 정보를 영어, 일본어, 중국어, 불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을 번역하여 한국어로 제공하고 있다.
식품안전의 관리요소는 어떤 관점에서 중요시 여겨지는가?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식품안전 및 식품위생과 관련된 정부기관, 산업체, 학계 등 연관 분야 종사자들의 소비자의 식품안전 의식 개선을 위한 노력도 일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안전의 관리요소는 화학적, 생물학적, 물리적의 3가지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화학적 관리요소는 의도적 사용물질 또는 비의도적으로 생성되는 오염물질 등으로 구분되며, 생물학적으로는 크게 세균 및 바이러스, 물리적 관리요소는 유리, 금속 등의 이물로 여겨진다.
PLS 제도 도입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잔류농약 규제는 최근에 엄격해지고 있으며, 열대과일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이미 PLS(Positive List System) 제도가 적용되고 있다. PLS 제도의 도입 목적은 기준 미설정 농약에 대해 불검출 수준의 일률기준인 0.01 mg/kg 이하로 관리함으로써 국민들의 먹거리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각 농약들을 일일섭취허용량(ADI, Acceptable daily intake) 대비 80% 범위 내에서 관리하는데 있다. 특히, 과거에는 농약 잔류허용기준이 없을 때 적용했던 해당 농산물의 CODEX 기준, 유사농산물의 최저기준, 기타농산물 기준 등의 잠정기준을 모두 적용할 수 없으므로, 식품 원료를 수입하거나 국내 재배시 부적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에 대한 충분한 숙지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exandratos N, Bruinsma J. World Agriculture towards 2030/2050, ESA Working paper No. 12-03. Rome, FAO. (2012) 

  2. Spink J. Moyer DC. Defining the Public Health Threat of Food Fraud. J. Food Sci. 76: R157-R163 (2011) 

  3. 2017년도 식품산업 주요통계,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 (2017) 

  4. Anastassiades M, Lehotay SJ. Fast and easy multiresidue method employing acetonitrilie extraction/partitioning and "Dispersive solid-phase extrac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esticides residues in produce, J. AOAC International, 86: 412-431 (2003) 

  5. Krauss M, Singer H, Hollender J. LC-high resolution MS in environmental analysis: from target screening to the identification of unknowns. Anal Bioanal Chem. 397: 943-951 (2010) 

  6. Gallo M, Ferranti P. The evolution of analytical chemistry methods in foodomic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1428: 3-15 (2016) 

  7. Kang KJ, Kim HJ, Lee YG, Jung KH, Han SB, Park SH, Oh HY, Administration of mycotoxins in Food in Korea. J. FD Hyg. Safety. 25: 281-288 (2010) 

  8. Paterson RRM, Lima N. How will climate change affect mycotoxins in food. Food research international. 43: 1902-1914 (2010) 

  9. Cha HA, Kang SHm Choe SB, Jun GJm Kang ST., Hazardous Heavy Metal Contents of Mushrooms from Retail Markets in Seoul,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283-287 (2014) 

  10. Nerin C, Aznar M, Carrizo D. Food contamination during food process. Trends in Food Science& Technology. 48: 63-68 (2016) 

  11. Wu P, Pan X, Wang L, Shen X, Yang D. A survey of ethyl carbamate in fermented foods and beverages from Zhejiang, China. Food Control, 23(1): 286-288 (2012) 

  12. Ryu, D., Choi, B., Kim, N., & Koh, E.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ethyl carbamate in nine food matrices. Food Chem, 211: 770-775 (2016) 

  13. Alabi A, Caballero-Casero N, Rubio S, Quick and simple sample treatment for multiresidue analysis of bisphenols, bisphenol diglycidyl ethers and their derivatives in canned food prior to liquid chromatography and fluorescence detection, J. Chromatogr. A 1336: 23-33 (2014) 

  14. Cinelli G, Avino P, Notardonato I, Centola A, Russo MV, Russo, Study of XAD-2adsorbent for the enrichment of trace levels of phthalate esters in hydro alcoholic food beverages and analisis by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flame ionization and ion-trap mass spectrometry detectors, Food Chem. 146 (2014) 181-187. 

  15. Aznar M, Rodriguez-Lafuente A, Alfaro P, Nerin C, UPLC-Q-TOF-MSanalysis of non-volatile migrants from new active packaging materials, Anal.Bioanal. Chem. 404 (2012) 1945-1957. 

  16. Cinelli G, Avino P, Notardonato I, Centola A, Russo MV, Rapid analysis of six phthalate esters in wine by ultrasound-vortex-assisted dispersive liquid-liquid micro-extraction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or gas chromatography-ion trap mass spectrometry, Anal. Chim. Acta 769 (2013) 72-78. 

  17. Yan H, Cheng X, Liu B,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ix phthalate esters in bottled milks using ultrasound-assisted dispersive liquid-liquid micro extraction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 J. Chromatogr. B 879: 2507-2512 (2011) 

  18. Sanchis Y, Yusa V, Coscolla C. Analytical strategies for organic food packaging contaminants. J. Chromatogr. A 1490: 22-46 (2017) 

  19. Lohumi S, Lee SD, Lee HS, Cho BK. A review of vibrational spectroscopic techniques for the detection of food authenticity and adulteration. Trends Food Sci Technol. 46: 85-98 (2015) 

  20. Siripatrawan U, Makino T, Kawagoe Y, Oshita S.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contamination in packaged fresh spinach using hyperspectral imaging. Talanta. 85: 276-281 (2011) 

  21. Gaston E, Frias JM, Cullen PJ, O'Connell CP, Gowen AA. In Dublin Institute of technology. Conference paper (2011) 

  22. Barbin FD, ElMasry, G, Sun, D.-W., Allen, P., & Morsy, N. Non-destructive assessment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porcine meat using NIR hyperspectral imaging. Innov Food Sci Emerg, 17: 180-191 (2013) 

  23. Kim G, Moon JH, Moh CY, Lim JG. A microfluidic nano-biosensor for the detection of pathogenic Salmonella. Biosens Bioelectro, 67: 243-247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