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정위적 틀 고정을 위한 침윤 마취 시 통증 완화 중재의 효과
The Effect of Pain Relieving Intervention During Infiltration among Gamma Knife Surgery Patients for Stereotactic Frame Fix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2, 2018년, pp.221 - 231  

장영준 (전북대학교병원 간호부) ,  김현옥 (전북대학교 간호대학.전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interventions on pai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during infiltration anesthesia in patients about to undergo gamma knife surgeries. Methods: The three interventions employed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J City, South Korea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마나이프 수술을 받을 환자에게 연구보조자가 외래에서 연구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참여 동의서를 받았으며, 통증숫자평정척도에 응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대상자에게 10×7 cm 크기의 종이에 겉면:1, 안쪽 면: 1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 감마나이프 센터의 프로토콜에 따라 대상자들에게 정위적 틀 고정 1시간 전에 병동에서 양쪽 이마부위와 양쪽 후두부 피부에 5.0% EMLA 크림을 바른 군, 추가로 10.0% Lidocaine을 분무한 군과 냉각 분사군 간에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감마나이프의 뇌 정위적 틀 고정을 위한 침윤마취 시 두피통증 완화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신경외과 교수와 충분한 논의를 통하여 역할분담과 일관성 있는 측정에 대해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전문가에게 피부전도도의 생리적 측정법을 1회에 1시간씩 5회 교육을 받은 후 피부전도도를 직접 측정하였으며, 연구자는 연구보조자에게 연구진행과정에서 필요한 지식, 설문의 내용, 설문조사할 때의 태도 및 주의사항을 1회에 30분씩 3회 교육하였다.
  • 본 연구는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에게 정위적 틀 고정을 위한 침윤마취 시 통증 완화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실험설계(equivalent control group pre test - post test design)이다.
  • 연구 시작 전에 정위적 틀 고정 담당인 신경외과 교수와 신경외과 전담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신경외과 외래에 내원한 대상자가 감마나이프 수술 일정을 정하고 수술에 관한 설명을 듣는 시점에서 대상자에게 연구의 설명문을 제공하고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언제라도 자유의사에 따라 참여를 포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어떠한 불이익이나 치료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을 설명하였다.
  • 0% Lidocaine 분무가 대상자의 피부 감각을 둔하게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임상실무현장에서는 뇌 정위적 틀 고정 전 두피에 10.0% Lidocaine 분무를 시행하고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피부 통증 완화 간호중재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통증완화를 위한 또 다른 대안으로 냉각 분사를 고려할 수 있는데, 냉각 분사에서 사용되는 물질은 에틸클로라이드성분으로 Lidocaine 분무보다 더 빠른 국소마취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그 적용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가설 설정

  • 대상자의 수는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절대 수가 많지 않아서, 이론적으로 표본의 수가 30명 이상이면 모집단의 분포에 상관없이 표본분포는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중심극한정리[12]의 가정을 만족하는 수준으로 정하였다. 자료수집기간 동안 내원한 전체 107명의 환자 중 대상자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충족하는 94명을 연구에 포함시켰으나 1명이 연구 참여를 철회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한 통증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인간의 통증에 대한 반응은 호흡수 증가,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의 상승, 창백, 동공산대, 근육긴장, 신체 움직임 증가, 식은 땀 및 모근 반응 등으로 나타나며[4], 이러한 통증 관련 증상들은 수술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따라서 임상실무현장에서는 이러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2.
감마나이프 수술이란 무엇인가? 감마나이프 수술은 원발성 혹은 전이성 종양을 치료하는 분할 방사선요법으로, 환자를 기계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이온화된 방사선을 외부에서 조사하는 비침습적인 치료방법이다[1]. 수술의 특성상 절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의 수술요법과 비슷한 치료 성적을 내면서 합병증 발생률이 낮기 때문에 2012년에 3,888명, 2013년에 4,063명, 2014년에 4,174명으로 최근 적용사례가 급증하고 있다[2].
감마나이프 수술의 단점은 무엇인가? 수술의 특성상 절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기존의 수술요법과 비슷한 치료 성적을 내면서 합병증 발생률이 낮기 때문에 2012년에 3,888명, 2013년에 4,063명, 2014년에 4,174명으로 최근 적용사례가 급증하고 있다[2]. 이러한 감마나이프 수술은 전통적인 수술에 비해 비침습적이고 수술 위험성을 낮추면서도 높은 완치율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으나, 방사선을 정확한 위치에 조사해야 하므로 정위적 틀 고정이라는 시술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대상자는 심한 통증을 경험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erosa M, Nicolato A, Foroni R. The role of gamma knife radiosurgery in the treatment of primary and metastatic brain tumors. Current Opinion in Oncology. 2003;15(3):188-196. https://doi.org/10.1097/00001622-200305000-00002 

  2.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One out of every four was surgeried with Gamma Knife in 2016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s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c2016 [cited 2015 Nov 26]. Available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DiagBhvInfo.do. 

  3. Baek SY, Choi JY. Associated factors with pin-fixing & pin removal pain among patients undergoing gamma knife radiosurgery.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4):323-330. https://doi.org/10.5388/aon.2012.12.4.323 

  4. Choi EK, Ro Y, Park SS, Park KB. The use of EMLA cream reduces the pain of skin puncture associated with caudal block in children. Korean Journal Anesthesiology. 2016;69(2):149-154. https://doi.org/10.4097/kjae.2016.69.2.149 

  5. Sohn KS, Lee HW, Choi SU, Lim HJ, Yoon SM, Chang SH. The effect of remifentanil on pain during local anesthetic infiltration in moderately sedated plastic surgery patients.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7;53(3):318-324. https://doi.org/10.4097/kjae.2007.53.3.318 

  6. Lee YH, Kim NC. The Comparison of effects of 2% lidocaine intradermal injection and 10% lidocaine spray for pain and anxiety relief on arteriovenous fistula punctur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2):169-177. 

  7. Hosseini Jahromi SA, Hosseini Valami SM, Hatamian S. Comparison between effect of lidocaine, morphine and ketamine spray on post-tonsillectomy pain in children.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2012;2(1):17-21. https://doi.org/10.5812/aapm.4092 

  8. Farion KJ, Splinter KL, Newhook K, Gaboury I, Splinter WM. The effect of vapocoolant spray on pain due to intravenous cannulation in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08;179(1):31-36. https://doi.org/10.1503/cmaj.070874 

  9. Collado-Mesa F, Net JM, Arheart K, Klevos GA, Yepes MM. Application of a topical vapocoolant spray decreases pain at the site of initial intradermal anaesthetic injection during ultrasound-guided breast needle biopsy. Clinical Radiology. 2015; 70(9):938-942. https://doi.org/10.1016/j.crad.2015.04.013 

  10. Rusch D, Koch T, Seel F, Eberhart L. Vapocoolant spray versus lidocaine infiltration for radial artery cannula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Journal of Cardiothoracic and Vascular Anesthesia. 2017;31(1):77-83. https://doi.org/10.1053/j.jvca.2016.06.008 

  11. BIT Druginfo. Main homepage [Internet]. Seoul: BIT Druginfo; [cited 2018 Jan 25] Available from: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aspx?pid50355. 

  12. Han SS, Lee SC. Nursing and health statistical analysis. 2nd ed. Seoul: Fornurse; 2011. p. 43. 

  13. Jensen MP, Karoly P, O'Riordan EF, Bland F Jr, Burns RS.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acute pain. An assessment of the utility of 10 indices.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1989;5(2):153-160. https://doi.org/10.1097/00002508-198906000-00005 

  14. Shaver BA Jr, Brusilow SW, Cooke RE. Origin of the galvanic skin response.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1962;110(3):559-564. https://doi.org/10.3181/00379727-110-27579 

  15. Kim JT, Shin DK.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1978;21(11):69-75. 

  16. Vitasari P, Wahab MNA, Herawan T, Othman A. Re-test of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mong engineering students in Malaysia: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1;15(2011):3843-3848. https://doi.org/10.1016/j.sbspro.2011.04.383 

  17. Hahn DW, Lee CH, Chon KK. Korean adaption of Spielberger's STAI (K-STAI).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96;1(1):1-14. 

  18. Soriano D, Ajaj S, Chuong T, Deval B, Fauconnier A, Darai E. Lidocaine spray and outpatient hysteroscopy: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trial. Obstetrics & Gynecology. 2000;96(5):661-664. https://doi.org/10.1097/00006250-200011000-00004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Cancer pain relief: With a guide to opioid availability. 2nd ed. Geneva: WHO; 1996. p. 16-17. 

  20. Kim YS, Park HR. Effects of topical anesthetic cream on pain at venipuncture in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3):142-148. https://doi.org/10.4094/chnr.2014.20.3.142 

  21. Baba M, Watahiki Y, Matsunaga M, Takebe K. Sympathetic skin response in healthy man. Electromyography Clinical Neurophysiology. 1988;28(5):277-283. 

  22. Maxwell C. Sensitivity and accuracy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A psycho-physical classroom experiment.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1978;6(1):15-24. https://doi.org/10.1111/j.1365-2125.1978.tb01676.x 

  23. Chesterton LS, Foster NE, Ross L. Skin temperature response to cryotherap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2002;83(4):543-549. https://doi.org/10.1053/apmr.2002.30926 

  24. Kose O, Saylan S, Ediz N, Yigit S. Effects of topical alkane vapocoolant spray on pain intensity prior to digital nerve block for ingrown nail surgery. Foot & Ankle Specialist. 2010;3(2):73-75. https://doi.org/10.1177/1938640010363172 

  25. Moon YE, Kim SH, Choi WH.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vapocoolant spray and topical anesthetic cream on pain during needle electromyography in the medial gastrocnemiu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13;94(5):919-924. https://doi.org/10.1016/j.apmr.2012.12.008 

  26. Waterhouse MR, Liu DR, Wang VJ. Cryotherapeutic topical analgesics for pediatric intravenous catheter placement: Ice versus vapocoolant spray. Pediatric Emergency Care. 2013;29(1):8-12. https://doi.org/10.1097/PEC.0b013e31827b214b 

  27. Choi SH, Baek KH, Lee JY, Lim HB, Kim HJ, Kim YS, et al. The effect of warm and ice application for pain control caused by arteriovenous fistula needling under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1):179-189. 

  28. Choi EK, Jung JM, Sin JB. Pain reducing effect of vapocoolant spray during injection and heel stick procedure in neonate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5):481-486. https://doi.org/10.3345/kjp.2008.51.5.481 

  29. Mace SE.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comparing vapocoolant spray vs spray in adults undergoing venipuncture.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16;34(5):798-804. https://doi.org/10.1016/j.ajem.2016.01.002 

  30. Kunesch E, Schmidt R, Nordin M, Wallin U, Hagbarth KE. Peripheral neural correlates of cutaneous anaesthesia induced by skin cooling in man. Acta Physiologica. 1987;129(2):247-257. https://doi.org/10.1111/j.1748-1716.1987.tb08065.x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