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 인지 훈련 프로그램이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 우울, 생활만족도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on Cognitive,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4, 2019년, pp.311 - 319  

김세연 (우석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최유임 (원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도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경도치매노인 32명으로, 무작위 대조군 전후설계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16명씩 무작위 할당하고 실험군에는 8주 동안 주 1회, 총 8회 컴퓨터 인지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은 CoTras-G를 사용하였으며,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에 사전, 사후 동일하게 MMSE-K, SGDS-K, ELS, BI를 실시하였다.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전 후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변화량 차이 검증은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인지기능(t=-4.39, p=0.001), 우울(t=4.11, p=0.001), 생활만족도(t=-8.53, p=0.000)와 일상생활활동(t=-3.10, p=0.007)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후 비교결과 인지기능(U=54.00, p=0.005), 우울(U=76.50, p=0.045), 생활만족도(U=56.00, p=0.007)와 일상생활활동(U=59.50, p=0.008)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 가능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CCT) on cognitive,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The participants were 32 older adults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who reside in nursing hospit...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도 치매 노인에게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컴퓨터 인지훈련을 적용한 그룹에서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 및 일상생활 활동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 하지만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의 CCT 연구는 국외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며 임상적 연구도 대조군이 없거나 대상자 수가 적어 타당도가 확보되지 않아서[26]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인지기능은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인지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도치매 노인의 인지뿐만 아니라 우울, 생활만족도,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CCT 의 학문적, 임상적 효과에 대한 증거를 축적하고자 한다.
  • CCT의 효과를 측정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경도 치매 환자 14∼15명을 통제군 없이 단일대상군으로 실험 설계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23-24].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경도 치매노인 대상자를 임의할당으로 실험군 16명, 대조군 16명으로 선정하여 중재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동일한 사건검사를 시행한 후 실험군은 CCT를 8회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만족이란 무엇인가? 우울은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삶의 기대를 감소시키며,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1]. 생활만족이란 인간이 갖는 현재 상황 및 현재까지 살아온 생활에 대한 행복과 만족의 주관적 감정 또는 태도로써 정의 내릴 수 있다[12]. 생활만족도는 노인 자신의 일생에 관한 행복한 정도 및 생의 목표달성과도 직접 연결된 심리적,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삶의 질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운동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회상요법, 현실요법, 행동치료와 같은 비약물 치료방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 중 치매의 비약물 치료방법으로 운동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회상요법, 현실요법, 행동치료, 주의집중프로그램, 기능적인 기술훈련 등이 있다[13]. 하지만 이들 프로그램은 전문가가 진행해야 하며 대상자 스스로 지속적으로 진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컴퓨터 인지훈련(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CCT)은 인지기능 수준별로 대상자에게 훈련을 제공할 수 있고, 즉각적으로 과제수행의 결과를 알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결과가 기록되어 이전과 비교분석이 가능해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국내에 CCT 연구가 더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cipirani, E], 국내에서는 뇌졸중[22]과 치매환자[23-25]를 대상으로 CCT가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 기억력 등에서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연구들이 있다. 하지만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의 CCT 연구는 국외에 비해 미비한 실정이며 임상적 연구도 대조군이 없거나 대상자 수가 적어 타당도가 확보되지 않아서[26]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인지기능은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인지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도치매 노인의 인지뿐만 아니라 우울, 생활만족도,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CCT 의 학문적, 임상적 효과에 대한 증거를 축적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7 [Internet]. Seongnam: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c2018[cited 2018 Dec 15].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172 

  2. R. Bloom, M. Schnaider-Beeri, R. Ravona-Springer, A. Heymann, H. Dabush, L. Bar, S. Slater, Y. Rassovsky, A. Bahar-Fuchs,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for older diabetic adults at risk of dementia: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lzheimer's & Dementia: Translational Research & Clinical Interventions, Vol. 3, pp. 636-650, 2017. DOI: https://doi.org/10.1016/j.trci.2017.10.003 

  3. World Health Organization, mhGAP Intervention Guide for Mental, Neurological and Substance Use Disorders in Non-specialized Health setting: Mental Health Gap Action Programme (mhGAP).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4.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Plan to Address Alzheimer's Disease: 2016 Update. Washington, D. C.: Assistant Secretary for Planning and Evaluation (ASPE); 2016. 

  5.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for dementia [Internet]. Seongnam: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c2018 [cited 2018 Dec 15]. Available from: http://치매국가책임제.nid.or.kr/sub/nid00_1.html. 

  6. M. J. Graff, M. J. Vernooij-Dassen, M. Thijssen., J. Decker. W. H. Hoefnagels, M. G. OldeRikkert, "Effect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on quality of life, mood, and health status in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Gerontology, Vol. 62, pp. 1002-1009, 2007. DOI: https://doi.org/10.1093/gerona/62.9.1002 

  7. J. S. Kang, I. H. Jeong, J. H. Yang, "effects on senior fitness,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ctivity of female elderly with light dementia by continuous and intermittent exercise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11, pp. 4234-4243, 2010. DOI: https://doi.org/10.5762/KAIS.2010.11.11.4234 

  8. L. W. Lazarus, N. Newton, B. Cohler, J. Lesser, & C. Schweon, "Frequency and presentation of depression symptoms in patients with primary degenerative dementi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44, no. 1, pp. 41-45, 1987. 

  9. K. H. Ryu, Y. W. Kang, D. L. Na, C. S. Chung, K. H. Lee,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in dementia patien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9, no. 1, pp. 117-129, 2000. 

  10. Y. Forsell, A. F. Jorm, B. Winblad, "Outcome of depression in demented and non-demented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Geriatric Psychiatry, Vol. 9, pp. 5-10, 1994. DOI: https://doi.org/10.1002/gps.930090103 

  11. M. J. Moon, "Analysis on the structur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home resid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Vol. 6, pp. 202-215, 2004. 

  12. B. L. Neugarten, R. J. Havighurst,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 16, pp. 134-143, 1961. DOI: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13. J. S. Wang, "The effects of hand movement exercis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bility in the dementia old adul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Vol. 16, No. 1, 2009. 

  14. P. D. Harvey, S. R. McGurk, H. Mahncke, T. Wykes,"Controversies in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Biological Psychiatry: Cognitive Neuroscience and Neuroimaging, Vol. 3, pp. 907-915. 2018. DOI: https://doi.org/10.1016/j.bpsc.2018.06.008 

  15. M. J. Valenzuela, M. Breakspear, P. Sachdev, "Complex mental activity and the aging brain: molecular, cellular and cortical network mechanisms", Brain Research Reviews, Vol. 56, pp. 198-213, 2007. DOI: https://doi.org/10.1016/j.brainresrev.2007.07.007 

  16. S. B. Chapman, S. Aslan, J. S. Spence, J. J. Jr. Hart, E. K. Bartz, N. Didehbani et al., "Neural mechanisms of brain plasticity with complex cognitive training in healthy seniors", Cerebral Cortex, Vol. 25, no. 2, pp. 396-405, 2015. DOI: https://doi.org/10.1093/cercor/bht234 

  17. A. Bahar-Fuchs, A. Kudlicka, L. Clare,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ementia: What is it and does it work?", Australian Journal of Dementia Care, Vol. 5, pp. 37-40, 2016. 

  18. A. Bahar-Fuchs, L. Clare, B. Woods, "Cognitive training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mild to moderate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Cochrane Library, Vol. 6, pp. 1-103, 2013. 

  19. N. J. Gates, P. S. Sachdev, M. A. Fiatarone Singh, M. Valenzuela, "Cognitive and memory training in adults at risk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BMC Geriatrics, Vol. 11, pp. 55, 2011. DOI: https://doi.org/10.1186/1471-2318-11-55 

  20. N. T. M. Hill, L. Mowszowski, S. L. Naismith, V. L. Chadwick, M. Valenzuela, A. Lampit,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74, no. 4, pp.329-340, 2017. DOI: https://doi.org/10.1176/appi.ajp.2016.16030360 

  21. Max Planck Institute for Human Development and Stanford Center on Longevity (2014): A consensus on the brain training industry from the scientific community (full statement). Available at: http://longevity.stanford.edu/a-consensus-on-the-brain-training-industry-from-the-scientific-community-2. Accessed Dec 5, 2018. 

  22. Y. G. Kim, "The Effects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for the Cognition and ADL in Stro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9, no. 3, pp. 75-87, 2011. 

  23. B. H. Oh, Y. K. Kim, J. H. Kim, Y. S. Shin,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2, no. 4, pp. 514-519, 2003. 

  24. W. M. Jeong, Y. J. Hwang, J. C. Youn, "Effect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1, pp. 127-140, 2010. 

  25. J. H. Hwang, S. K. Kim,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memory in the dementia: case repor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Vol. 3, no. 1, pp. 53-63, 2011. 

  26. H. J. Kim, S. J. Lee, K. Y. Kam, "A review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CACR)",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Vol. 2, no. 2, pp. 35-46, 2008. 

  27. Y. C, Kwon, J. H. Park, "Standardization of Korea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28, no. 1, pp. 125-135, 1989. 

  28. M. F. Folstein, S. E. Folstein, P. R. Mchugh,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 12, No. 3, pp. 189-198, 1975. 

  29. J. A. Yesavage, T. Brink, T. L. O. Lum, V. Huang, M. Adey, V. O. Leir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 17, pp. 37-49, 1983. 

  30.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5. no. 2, pp. 298-307, 1996. 

  31. J. Yoon, "A Study on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Scal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Learning Presentation Competition Abstract",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26-30, 1982. 

  32. C. Collin, D. T. Wade, S. Davies, V. Horne, " The Bathel ADL index: a reliability study", International Disability Study, Vol. 10, no. 2, pp. 61-63, 1988. 

  33. C. V. Granger, G. L. Albercht, B. B. Hamilton,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 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60, No. 4, pp. 145-154, 1979. 

  34. E. Talassi, M. Guerreschi, M. Feriani, V. Fedi, A. Bianchetti, M. Trabucchi, "Effectiveness of a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in mild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 case control stud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44, pp. 391-399, 2007. DOI: https://doi.org/10.1016/j.archger.2007.01.055 

  35. M. S. Kim, K. C. Lim, "Effects of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8, no. 6, pp. 691-700, 2016. DOI: https://doi.org/10.7475/kjan.2016.28.6.691 

  36. H. S. Kim, S. J. You, K. R. Han, "The 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 physical health,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4, No. 2, pp. 163-175,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