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전기재해 위험도 분석
Analysis and Risk Prediction of Electrical Accidents Due to Climate Chang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4, 2018년, pp.603 - 610  

김완석 (원광대학교 전기공학과) ,  김영훈 (원광대학교 전기공학과) ,  김재혁 (원광대학교 전기공학과) ,  오훈 (원광대학교 전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산업의 발달 및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인하여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가 가속화되어 기존보다 강도 높은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전기시설물은 옥외에 시설된 경우가 많아 자연재해에 큰 영향을 받아 전기설비 관련 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기후변화에 따른 전기화재, 감전사고 및 전기설비사고의 통계 현황을 분석하여 기후변화와 연계한 위험도를 제시한다. 또한, 다양한 지역 별(광역시) 기후조건(온도, 습도)과 연계한 전기재해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각 지역의 월별 전기화재 위험도 분석 모델을 제시하고, 저압, 고압 설비의 자연재해에 대한 사고 위험도를 분석한다. 이러한 지역별, 설비별 위험도 분석 모델을 통하여 기초적인 전기재해 예측 모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제시한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향후 각 지역 및 전기설비를 대상으로 전기재해 위험도 예측 맵을 웹사이트나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전기안전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으며, 기후변화의 따른 자연재해에 대한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내성기준이나 전기설비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e increase in the use of fossil fuels have accelerated the process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resulting in more frequent and intense natural disasters than ever before. Since electricity facilities are often installed outdoors, they are heavily influenc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 제시한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향후 각 지역 및 전기설비를 대상으로 시기 별(월 단위, 분기 단위) 전기재해 위험도 예측 맵을 웹사이트나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지역 별(광역시) 기후조건(온도, 습도)과 연계한 전기재해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각 지역의 원별 전기화재 위험도 분석 모델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전기설비 전기재해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각 설비의 원별 전기화재 위험도 분석 모델 제시하였다.
  • 전기재해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전기설비의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분석을 통해 위험을 확인하고 평가 및 분석함으로써 환경 변화에 대응 가능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구온난화가 고온, 국지성 폭우 등 이상 기후 환경으로 나타나 전기재해 및 고장(화재, 고장 등) 자연재해가 전기설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 내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기설비의 위험도를 제시하여 예측하고자 한다[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이상기후에 의한 전기설비의 피해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의 이상기후에 의한 전기설비의 피해는 폭우, 홍수, 태풍, 지진, 벼락, 빙설, 염해 등으로 인해 설비가 파손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피해가 점차 증가 추세이며, 폭염이나 강추위로 인한 냉·난방기의 사용이 증가하여 전력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다양한 기후 환경 변화는 전기설비에 영향을 미치며 피해 감소를 위해 자연재해에 대한 전기설비의 내성이 매우 중요하다[7].
전기재해에 대해 예측 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전기재해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전기설비의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분석을 통해 위험을 확인하고 평가 및 분석함으로써 환경 변화에 대응 가능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구온난화가 고온, 국지성 폭우 등 이상 기후 환경으로 나타나 전기재해 및 고장(화재, 고장 등) 자연재해가 전기설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 내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기설비의 위험도를 제시하여 예측하고자 한다[6.
2010년 이후 자연재해에 의한 설비사고의 추세는 어떠한가? 자연재해에 의한 설비사고는 2010년까지 다소 감소추세이다. 2010년 이후부터 다시 급증하고 있다. 2015년까지 다시 감소 하고 있으나 2015년 이후 최근에 이르러 다시 증가하고 있다. 이상기후에 의한 자연재해는 점차 늘어나거나 그 강도가 강해지고 있으므로 향후 전기설비의 피해는 더욱 확대될 것이다. 자연재해에 취약한 개별 설비의 내성 강화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Sangjin Jeong, Yoon-Young An,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Method for Electrical Facility," Proc.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vergence(ICTC), pp. 184-188, October, 2016. 

  2. ITU, "Resilient pathways: the adaptation of the ICT sector to climate change," pp. 13-19, April, 2014. 

  3. David Yates, Byron Quan Luna, "Stormy Weather: Assessing Climate Change Hazards to Electric Power Infrastructure: A Sandy Case Study," IEEE Power and Energy Magazine, pp. 66-75, August 2014. DOI: https://doi.org/10.1109/MPE.2014.2331901 

  4. DeTao Mao, Jose R. Marti, K. D. Srivastava, "Mitigating Blackout along the Cascading Pathways," IEEE Conferences, pp. 159-164, May 2009. 

  5. P. Hoeppe, G. Berz, "Risk of climate change - the perspective of the (re) insurance industry," IEEE Power Engineering Society General Meeting 2005, pp. 1367-1370, August 2005. DOI: https://doi.org/10.1109/PES.2005.1489359 

  6. Judith Cardell, "The Electric Power Industry and Climate Change: U.S. Research Needs," 2008 IEEE Power and Energy Society General Meeting, pp. 1-3, August 2008. DOI: https://doi.org/10.1109/PES.2008.4596411 

  7. Ching-Lai Hor, "Analyzing the Impact of Weather Variables on Monthly Electricity Demand,"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 pp. 2078-2085, November 2005. DOI: https://doi.org/10.1109/TPWRS.2005.857397 

  8. Tom Overbye, Judith Cardell, "The Electric Power Industry and Climate Change: Power Systems Research Possibilities," PSERC Publication, June 2007. 

  9.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Statistical analysis of electric disaster," 2006-2016. 

  10. Northern Powergrid, Adapting to Climate Change, Executive Summary, pp. 3-12, June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