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사고 장외영향평가 지원 프로그램(KORA)의 활용도 증대를 위한 제언
Suggestions for Increasing Utilization of KORA for Supporting the Off-site Risk Assessment System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2, 2018년, pp.124 - 132  

김정곤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류지성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류태권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곽솔림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임형준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최우수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정진희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이지은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임동연 ((주)세이프티아) ,  윤준헌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ll enterprises intending to install and operate hazardous chemical handling facilities should prepare an off-site risk assessment (ORA) report that evaluates the impact of potential chemical accident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opul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사업장에 요구되는 의무 또한, 증가하여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ORA의 개발과 기능에 대해 소개하였고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초기단계이긴 하지만, 장외영향평가의 개선을 위한 연구26,27)가 수행되고 있으므로 이와 보조를 맞추어 지속적으로 개선한다면 KORA의 개발과 보급은 국가 정책의 연착륙을 돕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 처음 시행되는 제도에 맞춰 개발된 KORA는 사업장의 많은 관심과 활용을 이끌어 냈으나 활용도와 편의성 등을 더 높이기 위한 고도화를 2년에 걸쳐 2회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KORA의 핵심기능인 화학사고 장외영향평가 즉, 취급시설의 화학사고 시 영향범위 산정 및 위험도 계산을 프로그램 상으로 구현하는 체계와 과정을 소개하고, 향후 KORA의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필요한 장외영향평가 제도 및 KORA의 개선점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25) 현재의 위험도 평가방식은 사람에 편중되어 있으며, 이는 환경가치를 높이려 하는 환경부의 비전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화학사고 관리체계가 발달한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화학사고로 인한 환경피해를 평가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ORA은 어떤 기반구축이 필수적인가? KORA는 사업장의 지리적 위치와 지형상의 피해거리 반경을 기초로 주요 기능이 구현되므로 지리정보서비스(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구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구축한 브이월드 지도 서비스19)를 활용하여 KORA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지도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브이월드가 제공해주는 공개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였다.
장외영향평가서의 구성과 핵심은 무엇인가? 장외영향평가서는 기본평가정보, 장외평가정보 그리고 다른 법률과의 관계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Table 1), 이 중 공정 위험성 분석, 사고시나리오의 가능성 및 위험도 분석, 사업장 주변지역 영향평가 및 안전성 확보 방안으로 구성된 장외평가정보가 장외영향평가서의 핵심이다.12) 이 정보를 통해 해당 취급설비의 화학사고에 대한 위험도가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acceptable level of risk)인지 평가되기 때문이다.
국내의 안전성 확보를 돕는 대표적 소프트웨어는 무엇인가? 하지만, 실물이 없는 상황에서 유사시 피해 규모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조치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왔다. 국내의 경우 석유화학, 정유, 가스, 전력 등의 분야에서 설비의 노후화로 인한 보수나 대체 시기 및 우선순위의 결정을 돕는 위험기반검사 프로그램이나15) 안전보건공단의 화학사고 위험경보제 지원시스템이16) 대표적인 사례이다. 국외의 경우, 미국의 해양대기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에서 개발하고 미국 환경보호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과 공동으로 활용하는 화학사고 피해예측 프로그램인 ALOHA (Areal Location of Hazardous Atmospheres)17,18)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D. Implication on the scope and standard of the public information through legal analysis on the Seveso Directive (III). Korean J Int Econ Law. 2016; 14(1): 59-99. 

  2. Ha J. Introduction of process safery management of chemical plant. Fire Sci Eng. 1995; 9(2): 65-70. 

  3. Han D, Park M. Survey of awareness about hazardous chemicals of residents living near chemical plants in South Korea. Industrial Health. 2018: In press. 

  4. Han D, Chang Y, Park M. Economic analysis of provid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residents near chemical plants. J Environ Health Sci. 2017; 43(5): 431-437. 

  5. Lee J, Choi D.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in view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Fire Sci Eng. 2015; 29(5): 73-78. 

  6. Lee D, Lee T, Shin C.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of chemical accident. Fire Sci Eng. 2016; 30(5): 137-143. 

  7. Lee D, Kim S, Yun J, Shin G, Yoo B.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ransportation plan for safety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 vehicles.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7; 17(6): 151-157. 

  8. Suh Y, Park J, Gan S, Cho S, Han S. Improvement measures for chemical accident policies in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measures to support the industry (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7. 

  9. Park J, Suh Y, Gan S, Lee S. Improvement measures for chemical accident policies in the Chemicals Control Act and measures to support the industry (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6. 

  10. Ministry of Environment. Chemical Control Act. 2017. 

  11. Chungsik Y, Seunghon H, Jihoon P, Sunju K, Sangah L, Kwonseob L, et al. Comparison between the chemical management contents of laws pertain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the Employment and Labor. J Environ Health Sci. 2014; 40(5): 331-345. 

  12. Ministry of Environment. Regulation on preparation of off-site risk assessment report. Notification 2018-7 2018. 

  13.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Development of Korea off-site risk assessment supporting tool (I);2014. 

  14.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Technical guideline on selection of accident scenario. Notification 2018-5 2018. 

  15. Kwon H, Yim D. Development of program for KRBI. Trans Korean Soc Mech Eng A. 2006; 30(1): 90-96. 

  16.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ePSM. Available: http://miis.kosha.or.kr/epsm/ [Accessed 18 March 2018]. 

  17.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real Location of Hazardous Atmospheres. Available: https://www.epa.gov/cameo/aloha-software [Accessed 18 March 2018]. 

  18. Tseng JM, Su TS, Kuo CY. Consequence evaluation of toxic chemical releases by ALOHA. Procedia Eng. 2012; 45: 384-389. 

  19. SPACEN. VWORLD. Available: http://map.vworld.kr/map/maps.do [Accessed 18 March 2018]. 

  20.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2017. 

  21. Guidance for conducting risk management program inspections under clean air act section 112(r).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550-K-1-001 2011. 

  22. 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 Guidelines for initiating events and independent protection layers in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Agawam: WILEY;2014. 

  23. OGP. Risk assessment data directory. 2010. 

  24. Kim K, Chun Y, Hwang Y, Lee I, Kwak I. Establishment of the appropriate risk standard through the risk assessment of accident scenario. J Korean Soc Environ Eng. 2017; 39(2): 74-81. 

  25. Yeo M, Han T, Kim S, Lee J, Park H. Chemical management policies and a distribution model for chemical accidents. Mol Cell Toxicol. 2017; 13(4): 361-371. 

  26. Jung Y, Kim B, Heo H, Yoo B, Sin C, Yoon Y, et al. A study on the simplified estimating method of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by concentration of hydrochloric acid. J Korean Soc Saf. 2017; 32(2): 52-58. 

  27. Kim M, Kim J, Lee E, Yoon J, Park J. Effect of proof test of protective system on securing safety of off-site risk assessment. J Korean Soc Saf. 2017; 32(6): 46-53. 

  28. Japan Soda Industry Association. Safe handling of hydrochloric acid. 2006. 

  29. Green DW, Perry RH.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The McGraw-Hill Companies, Inc.;1997. 

  30. Grayson M.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New York: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1978. 

  31. Kapias T, Griffiths RF. Dispersion and thermodynamics of clouds generated from spills of $SO_3$ and Oleum. J Hazard Mater. 1999; 67(1): 9-40. 

  32. Office of Response and Restoration. CAMEO Chemicals. Available: https://cameochemicals.noaa.gov/chemical/769 [Accessed 18 March 2018]. 

  33. Raoult FM. Loi generale des tensions de vapeur des dissolvants (General law of vapor pressures of solvents). Comptes Rendus. 1887; 104: 1430-1433. 

  34. De Dietrich. Available: https://www.dedietrich.com/ en/solutions-and-products/mineral-acid-treatment/sulfuric-acid-treatment [Accessed 18 March 2018]. 

  35. EKA Chemical. Available: http://user.it.uu.se/-rist5661/rocketery/h2o2_.html [Accessed 18 March 2018]. 

  36.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Caustic soda handbook.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