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ORA를 활용한 정수장 염소 취급시설의 운영조건에 따른 피해범위 변화 평가
Evaluation of Damage Range Variation Based on Operation System of Chlorine Facility in Water Purification Plant using KORA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22 no.3, 2018년, pp.84 - 90  

곽솔림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임형준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류태권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최우수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정진희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이지은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김정곤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이연희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류지성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윤준헌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과) ,  윤이 (화학물질안전원 연구개발교육과) ,  이진선 (화학물질안전원 연구개발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수장에서 염소 누출 사고 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장외영향평가위험도는 영향범위내 주민수와 사고 발생 빈도의 조합으로, 취급시설 운전온도, 긴급차단밸브 설치 위치 및 시설의 밀폐정도에 따른 피해범위 변화를 분석하여 피해범위 내 주민 수를 줄일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시하였다. 피해범위 산정은 KORA(Korea Off-site Risk Assessment Supporting Too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운전온도가 낮아질수록, 용기의 브렌치 배관마다 긴급차단밸브가 설치될수록, 시설의 밀폐수준이 높을수록 피해범위가 감소하였다. 최악의 사고시나리오에서 감소율은 각각 17.6%, 71%, 34.5% 이며, 대안의 사고시나리오에는 각각 31.6%, 69.0%, 34.8% 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searched the way to minimize the damage when the chlorine-leak accident take place in a purification plant. Since the level of risk based on the Off-site Risk Assessment(ORA) is a combination of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residents in the damaged area and frequency of accidents, we sugges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염소를 취급하는 정수처리공정에서 누출사고의 피해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 중, 취급공정의 운전온도, 긴급차단밸브 설치 및 건물 내부 형태 등이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사고시나리오 조건과 기상조건 등은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기술지침에 따랐고 피해범위 산정은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의 KORA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 안전성 확보방안은 사고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과 사고의 발생 빈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염소 취급시설의 피해범위를 줄여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OR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운전온도, 긴급 차단밸브의 설치 위치 및 시설의 밀폐정도에 따른 피해범위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고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안전성 확보방안은 사고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과 사고의 발생 빈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염소 취급시설의 피해범위를 줄여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OR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운전온도, 긴급 차단밸브의 설치 위치 및 시설의 밀폐정도에 따른 피해범위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고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밀폐조건에 따른 영향범위 산정을 위해서는 사고시나리오는 용기 1개(1,000 kg)의 매니폴더 배관및 브렌치 배관에서 누출이 발생하여 건물 외부로 확산이 발생할 경우를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설의 위험도 계산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이러한 이유로 염소를 일일취급량 50 kg, 보관·저장량 750 kg 이상을 취급하는 사업장은 화학물질관리법 제23조에 따라 장외영향평가서를 작성하여 시설의 위험도를 계산하고 관리를 해야한다. 위험도 계산은 환경부에서 개발한 KORA(Korea Off-site Risk Assessment Supporting Tool)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KORA는 각 사고시나리오별 누출 확산에 대한 피해범위 및 사고빈도, 완화조치 등을 도출하고 여기에 영향 범위 내의 주민 수 등을 종합하여 위험도를 최종적으로 계산한다.
염소의 작업장 허용노출기준은 무엇인가? 특히나 염소 가스의 누출은 기체나 연기를 한 두 모금 흡입하면 사망할수 있다. 염소의 작업장 허용노출기준은 1일 작업 시간을 기준으로 0.5 ppm이며, 일반 인구집단 대상 급성노출기준은 60분 노출을 기준으로 불쾌감, 자극 또는 이에 준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AEGL-1값은 0.5 ppm, 심각한, 오래 지속되는 건강의 악영 향과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AEGL-2값은 2 ppm, 생명을 위협하는 건강영향 또는 사망이 발생할 수 있는 AEGL-3값은 20 ppm이다[2].
염소가 누출되어 사망이 일어나는 정도는 어떻게 되는가? 염소가 누출되어 사망이 일어나는 정도는 누출 속도가 클수록, 거리가 짧을수록, 대기가 안정할수록 증가하였다[6]. 또한, 염소는 독성과 부식성이 있는 황록색 기체로 눈과 호흡기관을 자극[5]하며, 누출 후에는 곧바로 기화되어 무거운 가스(증기밀도는 공기의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Zhang, N., Su, B. N., and Huang, H., "Personal Decision-Making Plan Under Hazardous Gas Leakage", Institute of Public Safety Research, Department of Engineering Physics, Tsinghua University, 2-3, (2017) 

  2. 화학물질안전원, "사고대비물질 키인포가이드", 48-49, (2017) 

  3. Robert, L. B., Charles, H. H., and David, W. W.,"A case study of chlorine transport and fate following a large accidental release", Atmospheric Environment, Volume 62, 184-185, (2012) 

  4. Yoon, Y, S., Ki, J. K., and Jin, S. L., "Development of 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heets for Chlorine",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1), 26-34, (2015) 

  5. Kim, J, K., Byun, H. S., "Hazard Assessment on Chlorine Distribution Use of Chemical Transportation Risk Index",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52(6), 756-757, (2014) 

  6. Kim, S, M., Jang, S. I., and Kim, T. O., "Analysis of Toxic Effect in the Small Scale Release of Chlorine Gas",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9(2), 3030-3033, (2003) 

  7.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 3-5, (2017) 

  8. Adnan, M. A., Samih, S. A., and Aya, T. H., "Chlorine gas poisoning", Journal of the Royal medical services, 11(2), 34-37, (2003) 

  9. KOSIS정수시설(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6&tblIdDT_106N_06_0100055) 

  10. 환경부, "정수처리기준 해설서", 174-179, (2013) 

  11. Finis Cavender,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s(ERPGs)", 129, (2008) 

  12. KOSHA, "긴급차단밸브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D-11-2012, (2012) 

  13. EPA, "Risk Management Program Guide for Consequence Analysis(appendix D)", (2009) 

  14. 한국가스안전공사, 액화염소 사용시설 안전관리 매뉴얼, 34-105, (2009) 

  15. Lee, J, Y., Chon, Y. W., and Hwang Y. W., "A Study on Risk Assessment According to Pool Vaporization of Liquefied Chlorine",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2), 68-71, (2018) 

  16. KOSHA, "소형 염소설비의 안전작업 기술지침", P-10-21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