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2, 2018년, pp.169 - 177
황철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김인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김세광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오천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김태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정병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임주혁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문혜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김종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Objectives: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ldehydes were investigated in five industrie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aldehydes. Methods: Aldehydes and THC were measured from the stack and boundary of facilities. The relative concentrations and odor contribution of aldehydes were evaluated. R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알데하이드류의 발생과정은? | 알데하이드류는 자동차 운행, 화석연료와 바이오매스의 소각 및 생산 공정 등과 같은 1차 발생원과 대기 중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광화학 반응에 의한 2차 발생원을 통해서 대기로 배출된다. 3,4) 알데하이드류는 각종 질병유발의 원인 및 발암성으로 인한 환경보건학적으로 위해한 성분, 광화학 반응의 주요한 부산물, 환경부에서 규정하는 관리대상 악취성분, 휘발성유기화합물, 특정대기유해물질 등과 같이 여러 가지 특징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의 광분해 반응에 관여하여 오존, PAN, 유기산 등의 형성에 주요한 전구물질로서 연구의 주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 |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에 대한 업종별 실제 농도는? | 대기환경보전법의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은 알데하이드류 중 폼알데하이드만이 설정되어 있으며 모든 배출시설에서 10 ppm의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업종별 모든 배출시설에서 폼알데하이드의 농도는 배출허용기준인 10 ppm이내였지만, 아스팔트 제조업과 인쇄업, 섬유가공업의 일부시설의 배출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업종별 평균 폼알데하이드의 배출농도는 아스팔트 제조 > 인쇄 > 섬유가공 > 도장 및 도료 제조 > 종이제품 제조업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아세트알데하이드의 경우 아스팔트 제조 > 인쇄 > 섬유가공 > 종이제품 제조 > 도장 및 도료 제조업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
알데하이드류의 유해성 특징은? | 알데하이드류는 자동차 운행, 화석연료와 바이오매스의 소각 및 생산 공정 등과 같은 1차 발생원과 대기 중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광화학 반응에 의한 2차 발생원을 통해서 대기로 배출된다. 3,4) 알데하이드류는 각종 질병유발의 원인 및 발암성으로 인한 환경보건학적으로 위해한 성분, 광화학 반응의 주요한 부산물, 환경부에서 규정하는 관리대상 악취성분, 휘발성유기화합물, 특정대기유해물질 등과 같이 여러 가지 특징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의 광분해 반응에 관여하여 오존, PAN, 유기산 등의 형성에 주요한 전구물질로서 연구의 주요한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5-7) |
Ministry of Environment. White paper of environment;2016.
Han JS, Lee MD, Lim YJ, Lee SU, Kim YM, Kong BJ, et al. Study on the Distributions of VOCs, Aldehydes, PAHs Concent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6; 22(5): 574-589.
Kim YH. The concentration, temporal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to mal-odor pollution of atmospheric carbonyl gases at Sihwa industrial complex, Korea.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2005.
Hwang JH, Lee MH, Lee GW, Han JS. Distributions of formaldehyde in Seoul in Jun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6; 22(1): 63-71.
Hong YJ, Jeon EC, Kim KH, Emission Character-istics of Carbonyl Compounds from Major Industrial Sectors in the Ban-Wall Industrial Complex,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6; 22 (5): 679-692.
Kim MH, Park SG, Baek SO.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a heavy-traffic site in a large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2; 18(2): 113-126.
Baek SO, Kim MH, Seo YK, Evaluation of fugitiv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different source catego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3; 19(4): 363-37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Korea odor standard test method; 201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Korea air pollution standard test method; 2017.
Kim DG, Kim IG, Kim SK, Won JM, Kim TH, Heo JW, et al.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coating and painting facility. The report of Gyeonggi-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16; 29: 121-130.
Ministry of Environment. Odor management manual;2012.
Kim CG, Kim BL, Kim JG, Song HI, Jeong BH, Kwon GA, et al. A study on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from various facilities. The report of Gyeonggi-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09; 29: 165-172.
Lee CH, Jeon HS, Shin MC, Kim ED, Jang YJ, Kwon BY, et al.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fundamental environmental facilities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J Environ Health Sci. 2016; 42(4): 246-254.
Lee CH, Jeon HS, Kwon BY, Kim ED, Jang YJ, Lee MS, et al.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a dyeing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J Environ Health Sci. 2017; 43(4): 314-323.
Jeon JS, Kim ES, Yoo SS, Oh SR, Choi HY, et al. A study on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waste transfer station. J Environ Health Sci. 2017; 43(4): 314-323.
Korea Environment Institute. A study on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specific hazardous air pollutants emitting facilities; 2011.
Kim YD, Lee JY, Kim ES, Choi NG, Shin DY, Chun CW, et al. Contribution rate analysis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by industrial classifications in the Seoul area, South Korea, The report of Seoul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14; 50: 177-186.
Kim KH, Choi YJ, Hong YJ, Sa JH, Park JH, Jeon EC, et al. Source characteristics of odorous compounds in the Ban Wal industrial complex and a preliminary study of industry- specific odor ind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5; 21(2): 215-226.
Yeo HG, Cho KC, Lim CS, Choi MK, Sunwoo Y. Characteristics of seasonal source for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in metropolitan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2; 18(1): 11-23.
Jeong EH. Atmospheric concent- rations of carbonyl compounds during photochemical pollution episod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dissertation]. [Gyeongsan]: Yeungnam University; 2004.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