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가구 성인의 대사증후군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 One-Person Household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1, 2018년, pp.30 - 43  

안보미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손지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M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We used secondary data of the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rom 2013 to 2015 and selected 4,939 adults 20 to 64 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64세 성인 1인가구 및 다인가구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영향요인의 차이를 비교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건강관리에 취약한 1인가구의 대사증후군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2차자료 분석연구로 변수가 제한적이었지만 성인 가구형태에 따른 대사증후군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는 것, 대부분의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가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나 매년 증가하고 있는 성인 1인가구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2013~2015년) 원시자료의 20~64세 성인 4,939명을 대상으로 1인가구 및 다인가구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영향요인의 차이를 비교하고,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성인 1인가구 및 다인가구의 대사증후군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2013~2015년)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64세 성인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비교하고,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 1인가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보다 실제적인 지역사회 보건 및 보건관련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64세 성인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비교하고,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 1인가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보다 실제적인 지역사회 보건 및 보건관련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3대 주요 사망원인과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그러나 현재까지 1인가구 관 련 선행연구는 주로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청· 중년층의 성인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성인의 3대 주요 사망원인은 암,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이며 이들이 10대 사망원인 중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27.9%, 10.3%, 8.9%이다(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b). 이 중 심장질 환과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2년 1월부터 ‘검진사후관리 대사증후군 대상자 상담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1 인가구의 비율이 늘어나며, 평균 연령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2%로 연령 대 별로 유사한 비율을 나타내며(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a), 20~30대 청년, 40~50대 중년남성 1인가구가 증가하여(Oh, 2017) 1 인가구의 평균 연령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뿐만 아니라 비혼 인구 및 이혼율의 증가로 인하여 이러한 가구 구조의 변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수준이 낮고(Kang & Lee, 2016; Kim & Park, 2016; Park, Kwon, Ha & Burm, 2016), 삶의 만족감이 낮고(Kang, Kang & Ma, 2016), 의료서비스 접근수준이 낮으며(Lim, 2013), 상대적으로 질병이환율이 높아(Kim & Park, 2016), 다인가구에 비하여 건강수준이 낮으며 건강행위 실천에 취약한 환경에 처해있다.
1인가구가 다인가구와 비교되는 특징은? 뿐만 아니라 비혼 인구 및 이혼율의 증가로 인하여 이러한 가구 구조의 변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수준이 낮고(Kang & Lee, 2016; Kim & Park, 2016; Park, Kwon, Ha & Burm, 2016), 삶의 만족감이 낮고(Kang, Kang & Ma, 2016), 의료서비스 접근수준이 낮으며(Lim, 2013), 상대적으로 질병이환율이 높아(Kim & Park, 2016), 다인가구에 비하여 건강수준이 낮으며 건강행위 실천에 취약한 환경에 처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lackford, K., Jancey, J., Lee, A. H., James, A., Howat, P., & Waddell, T. (2016). Effects of a home-based intervention on diet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urs for rural adults with or at risk of metabolic syndrom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3, 13. https://doi.org/10.1186/s12966-016-0337-2 

  2. Choi, K. M., Lee, J. S., Park, H. S., Baik, S. H., Choi, D. S., & Kim, S. M. (2008).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1.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2(7), 1091-1097. http://dx.doi.org/10.1038/ijo.2008.62 

  3. Eckel, R. H., Grundy, S. M., & Zimmet, P. Z. (2005). A metabolic syndrome. The Lancet, 365, 1415-1428. http://dx.doi.org/10.1016/S0140-6736(05)66378-7 

  4. Grundy, S. M., Cleeman, J. I., Daniels, S. R, Donato, K. A., Eckel, R. H., Franklin, B. A., et al. (2005).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112(17), 2735-2752.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05.169404 

  5. Hwang, I. C., Kim, K. K., Choi, C. H., Lee, K. S., & Suh, H. S. (2010).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sleep satisfaction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0(7), 71-77. 

  6. Kang, E. N., & Lee, M. H. (2016). Single -person households in South Korea and their policy implication. Health Welfare Policy Forum, 234, 47-56. 

  7. Kang, E. T., Kang, J. K., & Ma, K. R. (2016). Subjective well-being of one-person households: Focus on non-married and married one-person households. Journal of Social Science, 27(1), 3-23. https://doi.org/10.16881/jss. 2016.01.27.1.3 

  8. Kim, D. E., Hong, S. H., & Kim, J. M. (2015). The relations between diabetic dietary compliance, dietar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5), 351-361. https://doi.org/10.5720/kjcn.2015.20.5.351 

  9. Kim, D. I.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activity per week,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 population: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22(1), 58-65. http://dx.doi.org/10.21086/ksles.2015.02.22.1.58 

  10. Kim, E. G., & Park, S. K. (2016).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disease prevalence between one-person women and multiple households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3), 483-494.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3.483 

  11. Kim, M. J. (2016). The convergence correlational study on office workers'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prevalence rates of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3), 99-109. http://dx.doi.org/10.15207/JKCS.2016.7.3.099 

  12. Kim, N. H., Shin, D. H., Kim, H. T., Jeong, S. M., Kim, S. Y., & Son, K. Y. (2015). Associations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inadequate sleep duration and skipping breakfast.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6, 273-277. http://dx.doi.org/10.4082/kjfm.2015.36.6.273 

  13. Kim, S. H.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2), 92-100. http://dx.doi.org/10.15384/kjhp.2016.16.2.92 

  14. Kim, S. H., Kim, Y. L., Kim, K. W., & Kim, K. H. (2017). The health behavior of single adult households in Korean over 30: The 6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7(3), 330-336. https://doi.org/10.21215/kjfp.2017.7.3.330 

  15. Kim, Y. H. (2012). Risk fact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among preparation stage to smoking cessation in 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5), 2555-2568. 

  16. Kim, Y. J. (2009). Comparison of health practices between single-and multiple-member households by gender in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3(2), 219-231. 

  17.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05. Retrieved June 1, 2017, from http://kosis.kr/ 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ubCont 

  18.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Retrieved June 1, 2017, from http://kosis.kr/ 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ubCont 

  19.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b, September). Annual report on cause of death statistics(2015). Daejeon: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7). Future household projection 2045. Retrieved June 1, 2017,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 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 &parmTabIdM_01_01#SubCont 

  21.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4). Management of obesity.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2. Lee, G. A., Choi, H. Y., & Yang, S. J. (2015). Effects of dietary an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on metabolic syndrome - a meta-analysi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4), 483-494. https://doi.org/10.4040/jkan.2015.45.4.483 

  23. Lee, K. I., Hwang, Y. J., Ban H. J., & Lim S. J. (2015, October). Impact of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market and policy tasks. Naju: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4. Lee, M. H., Jeon, Y. H., Kim, Y. S., & Kang, E. N. (2015, December). Coping Strategies of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New Social Risk.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5. Lim, J. H. (2013). Analysis of unmet medical need status based on the Korean Health Panel.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4, 237-256. 

  26. National Sleep Foundation (2015). National sleep foundation recommends new sleep times. Retrieved July 12, 2017, from https://sleepfoundation.org/press-release/n ational-sleep-foundation-recommends-new-sleep-times 

  27. Oh, Y. J. (2017). Considering Single Households for New Health Vulnerable groups (No. 4).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8. Park, B. Y., Kwon, H. J., Ha, M. N., & Burm, E. A. (2016). A comparative study on mental health betwee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couples-focus on gender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195-205.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2.195 

  29. Park, E. O., Choi, S. J., & Lee, H. Y. (2013).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based on the KNHANES V 2010.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8(1), 1-13. http://dx.doi.org/10.5393/JAMCH.2013.38.1.001 

  30. Son, J. S., Cho, B. M., Kim, Y. W., Chae, C. H., Kim, C. W., & Kim, J. H. (2012). Sex differences in lifestyle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2(1), 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