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해석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Examining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Focusing on Self-Construal원문보기논문타임라인
이 연구에서는 학부생과 대학원생 188명을 대상으로 기술수용모델 변인과 개인 특성 요인, 위험 지각 요인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문화차원 변수인 자기해석이 이러한 영향요인의 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유용성과 주관적 규범, 혁신성, 프라이버시 위험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반면, 이용 용이성과 자기효능감, 성능 위험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였던 자기해석은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 주관적 규범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TAM을 통해 기술수용을 과정을 이해하고자 할 때 자기해석과 같은 문화차원 변인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신과 타인을 구분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자기해석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여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생과 대학원생 188명을 대상으로 기술수용모델 변인과 개인 특성 요인, 위험 지각 요인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문화차원 변수인 자기해석이 이러한 영향요인의 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유용성과 주관적 규범, 혁신성, 프라이버시 위험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반면, 이용 용이성과 자기효능감, 성능 위험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였던 자기해석은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 주관적 규범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TAM을 통해 기술수용을 과정을 이해하고자 할 때 자기해석과 같은 문화차원 변인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신과 타인을 구분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자기해석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여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ables of TAM, user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perceived risk variables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Through the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mobile payment,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rious independ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ables of TAM, user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perceived risk variables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Through the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mobile payment,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strual. To verify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responses from 18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The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AM variables, user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perceived risk variables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Self-construal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subjective norm. This study may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both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ables of TAM, user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perceived risk variables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Through the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of mobile payment,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strual. To verify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responses from 188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The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AM variables, user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perceived risk variables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Self-construal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subjective norm. This study may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both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는 뉴미디어 수용자들의 이용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꾸준히 적용되어 온 기술수용모델의 주요 변인들과 혁신성이나 자기효능감과 같은 개인 특성 요인, 그리고 프라이버시 위험이나 성능 위험과 같은 지각된 위험요인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이 지닌 특성을 보다 이해하기 위해 연구되어 온 자기해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뉴미디어 수용자들의 이용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꾸준히 적용되어 온 기술수용모델의 주요 변인들과 혁신성이나 자기효능감과 같은 개인 특성 요인, 그리고 프라이버시 위험이나 성능 위험과 같은 지각된 위험요인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이 지닌 특성을 보다 이해하기 위해 연구되어 온 자기해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금융서비스와 기술 융합의 환경에서 새로운 기술 혹은 서비스로서의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이 지닌 특성을 보다 이해하기 위해 연구되어 온 자기해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금융서비스와 기술 융합의 환경에서 새로운 기술 혹은 서비스로서의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TAM과 UTAUT가 조직의 맥락에서 기술수용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임을 감안했을 때, 모델의 변인을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관련 기술이나 서비스의 특성, 수용자 특성, 사회적 맥락 등을 고려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17].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TAM2와 UTAUT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이용 용이성, 주관적 규범이 모바일 간편결제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바일 간편결제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은 이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하면 지각된 유용성을 매개로 이용의도[32]나 모바일결제 충성도[18]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지각된 위험과 이용의도 간 관계를 조절하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8]. 이처럼 여러 선행연구에서 혁신성이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나 조절효과가 검증된 바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개인 특성 요인의 직접 효과를 중심으로 논의 하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지각된 위험을 단일차원 개념으로 측정하기보다는 해당 주제와 영역에 적합한 위험 차원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37].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활성화를 위해 보안성 심의 제도를 폐지한 제도적 환경을 고려하여 프라이버시 위험과 성능 위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정 서비스나 기술을 수용하는 데 있어 성과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중요한 위험 차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상황에서 가장 특징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위험 차원이지만 그동안 많이 검증되지 못했던 프라이버시 위험과 성과 위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이 시장에 제대로 안착하기 위해서 기술의 확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개혁확산이론을 비롯한 많은 이론과 연구를 통해 밝혀져 왔다.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 특히 기술수용모델의 핵심 변인들과 자기해석이라는 문화차원 변인을 고려한 연구 모델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H1: 모바일 간편결제의 인지된 유용성은 모바일 간편 결제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모바일 간편결제의 인지된 이용 용이성은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이다.
H3: 주관적 규범은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혁신성은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5: 자기효능감은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6: 개인들이 느끼는 프라이버시 위험은 모바일 간편 결제 이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7: 개인들이 느끼는 성과 위험은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안 방법
인터넷이나 모바일 서비스 채택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도 혁신성이나 혁신 저항, 자기효능감, 사전지식 등과 같은 개인 특성 요인이 기술 채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27,28].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에 미치는 개인 특성 요인으로 혁신성과 자기효능감에 초점을 두었다.
설문에 앞서 참가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제시하였다. 설문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한 항목과 인구통계학적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총 203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188명의 설문 결과를 최종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관련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측정항목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인지된 유용성[13,17], 인지된 용이성[13,23], 주관적 규범[16,20], 혁신성[24,28], 자기효능감[8,31], 프라이버시 위험[16,48], 성과 위험[7,42], 자기해석[11], 이용의도[17].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2017년 9월 19일부터 9월 30일까지 서울과 경기도 소재한 대학교의 학부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약 2주간 편의 표집하였다. 이들이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 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나고 수용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집단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16].
설문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한 항목과 인구통계학적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총 203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188명의 설문 결과를 최종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여러 학술적, 실무적인 함의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닌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들 집단은 새로운 기술을 다루는 데 익숙하고, 모바일 간편결제라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수용할 가능성이 크다.
데이터처리
각 변인에 대한 신뢰도는 크론바흐알파(Cronbach’s alpha) 신뢰도 계수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2 참고). 가설 검증 결과, 인지된 유용성(가설1)과 주관적 규범(가설3), 자기효능감(가설5), 프라이버시 위험(가설6)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능/효과
선행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러한 차이는 주로 연구참여자들의 특성에 기인한 부분이 크다. 즉 연령이나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경험 유무, 사전지식 정도에 따라 이용 용이성의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aron & Kenny[22]의 주장처럼 연구결과가 일관적이지 못하거나 이론이 예측하는 수준보다 낮은 경우, 조절변인의 개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통제변수로 사용된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성별(남성=1, 여성=0)과 연령은 이용의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결제금액이 클수록 이용의도 역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2.726, p<.01).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2 참고). 가설 검증 결과, 인지된 유용성(가설1)과 주관적 규범(가설3), 자기효능감(가설5), 프라이버시 위험(가설6)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해석과의 상호작용효과 확인해 보았을 때, 인지된 유용성(t=4.253, p<.001)과 이용 용이성(t=-3.750, p<.001), 그리고 주관적 규범(t=-2.043, p<.05)에서 자기 해석의 조절효과(연구문제1-3)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된 이용 용이성(가설2)과 혁신성(가설4), 성능 위험(가설7)은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가설1과 가설3, 가설5, 가설6은 지지된 반면, 가설2, 가설4, 가설7은 기각되었다(Fig.
반면 인지된 이용 용이성(가설2)과 혁신성(가설4), 성능 위험(가설7)은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가설1과 가설3, 가설5, 가설6은 지지된 반면, 가설2, 가설4, 가설7은 기각되었다(Fig. 2 참고).
05)에서 자기 해석의 조절효과(연구문제1-3)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던 TAM 변인을 제외한 나머지 영향요인과 자기해석 간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특성 요인과 지각된 위험요인에서는 자기 효능감과 프라이버시 위험만이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던 반면, 혁신성과 성과 위험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새로운 기술이나 정보를 받아들이는 데 주저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이용하려는 경향이 강할수록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문화차원 변인으로 살펴보았던 자기해석은 지각된 유용성과는 정(+)적인 조절효과가 나타났지만, 이용 용이성과 주관적 규범과는 부(-)적인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는 독립적 자기해석 성향이 강할수록 인지된 유용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의미 하는 반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성향이 강할수록 이용 용이성과 주관적 규범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TAM 관련 변인 중 인지된 유용성과 주관적 규범은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지된 이용 용이성은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TAM의 예측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결과이다.
후속연구
따라서 대학생처럼 젊은 연령층의 모바일 간편결제 수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이 쉽다’고 소구하는 것보다는 ‘간편결제를 통한 결제가 유용하다’는 점을 소구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자신의 가족이나 지인들이 모바일 간편결제를 활발히 이용하고 있으며, 본인도 이용해야할 것 같은 인식을 강화시킬 수 있는 캠페인을 진행한다면 모바일 간편결제 이용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개인의 혁신성이 신기술 도입 초기에는 이용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기술이 사회에 정착이 되는 시점 혹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는 혁신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질 수 있다고 예상해 볼 수 있다. 이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용의도 이외에 다른 변수를 통해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해석에도 불구하고 풀리지 않는 의문에 관해서는 추후 연구에서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야 하겠다.
이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용의도 이외에 다른 변수를 통해 모바일 간편결제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해석에도 불구하고 풀리지 않는 의문에 관해서는 추후 연구에서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야 하겠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를 모든 연령층에 일반화하여 해석하기에는 주의가 따른다. 또한 이 연구에서 사용한 TAM이 조직에서의 기술수용과 관련된 모델이라는 점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거나, 일반 기술에 적용될 경우, 척도 사용에 있어 이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모바일 간편결제라는 광범위한 접근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SNS를 기반으로 한 금융거래 애플리케이션은 그 유형이 매우 상이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19],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구분하여 이용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후속 및 확장 연구에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결과들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스마트폰 SNS를 기반으로 한 금융거래 애플리케이션은 그 유형이 매우 상이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19],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구분하여 이용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후속 및 확장 연구에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결과들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해석이란 무엇인가?
자기해석이란 자신과 타인이 분리되거나 혹은 연결되었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9]. 자기해석은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주로 개인주의 문화에서 나타나고 후자는 집단주의 문화에서 주로 나타난다고 보고된다.
모바일 간편결제 시장의 활성화 방안의 인환으로 보안성 심의 제도를 폐지한 이유는 무엇인가?
정부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2015년부터 금융 개혁을 4대 핵심 개혁 과제로 선정하였으며, 금융감독원은 모바일 간편결제 시장의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보안성 심의제도를 폐지하였다[5]. 이는 Active-X나 공인인증서와 같은 보안 프로그램의 의존도를 낮춤으로써 그동안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던 소비자들의 불편사항을 개선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6].
자기해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최근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문화의 영향을 검증하려는 노력이 늘어나면서 자기해석(self-construal)이 소비자 행동이나 마케팅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관심을 받아왔다. 자기해석은 개인주의 문화권에서 주로 발견되는 독립적 자기해석과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주로 발견되는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으로 구분된다[9]. 독립적 자기해석 성향의 개인들은 자신과 타인을 차별화시키려는 동기를 가지지만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성향의 개인들은 자신과 타인을 동화시키려는 동기를 가진다.
K. B. Kim & J. Y. Yun. (2015). Comparison and Analysis on Mobile Payment in terms of Security: Surve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5(3), 15-20.
J. S. Lee & J. H. Park. (2018).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User and System on the Perceived Cognition and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Fintech.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291-301.
Johnson, V. L., Kiser, A., Washington, R. & Torres, R. (2018). Limitations to the rapid adoption of M-payment services: Understanding the impact of privacy risk on M-Payment servic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9, 111-122.
K. Y. Sung. (2015). Convenience and Safety of FinTech Payments : Tokenization.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33(5), 13-16.
Y. M. Kang, Y. G. Lee, H. J. Kwon, K. S. Han & H. S. Chung. (2016).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curity System of Fin-Tech Busines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2), 19-24.
H. Choi & Y. J. Choi. (2016). The Impact Perceived Risk on User's Trust and Continuance Intention in Mobile Payment System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6), 1096-1102.
Aaker, J. L. & Lee, A. Y. (2001). "I" seek pleasures and "we" avoid pains: The role of self-regulatory goals in information processing and persuas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8(1), 33-49.
Ma, Z., Yang, Z. & Mourali, M. (2014). Consumer adoption of new products: Independent versus interdependent self-perspectives. Journal of Marketing, 78(2), 101-117.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319-340.
B. Park. (2011). Integrative Adoption Model of New Media (IAM-NM).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5), 448-479.
Shin, D. H. (2010). Modeling the interaction of users and mobile payment system: Conceptual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26(10), 917-940.
Koenig-Lewis, N., Marquet, M., Palmer, A. & Zhao, A. L. (2015). Enjoyment and social influence: predicting mobile payment adoption. The Service Industries Journal, 35(10), 537-554.
J. Hwang & H. S. Yu. (2016).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a Mobile Easy Payment Service: An Integrated Extension of TAM with Perceived Risk.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13(2), 291-306.
J. H. Han, S. H. Jae, B. H. Kim & J. S. Park. (2015). Effects of Consumer Trust and Perceived Usefulness on Mobile Payments and Online Shopping Website Loyal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2), 75-87.
J. K. Lee, M. E. Choi & D. Y. Oh. (2015).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of Smartphone SNS-based Financial Application.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32(4), 123-161.
B. J. Cho & J. S. Lee. (2015). Adoption Factors of Smart Watch : Focusing on Moderate Effects of Innovation Resistance.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93, 111-136.
Arvidsson, N. (2014). Consumer attitudes on mobile payment services-results from a proof of concept test. International Journal of Bank Marketing, 32(2), 150-17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Venkatesh, V. & Davis, F. D.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S. J. Choi & Y. S. Kang. (2016). Consumers' Intentions for the Usage of Mobile Payments: Extending UTAUT with Innovativeness, Trust and Network Effect. Korean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24(3), 29-52.
I. G. Park & D. H. Shin. (2010). Us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Understand the Usage and the Gratifications of Smartphone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0(4), 192-225.
Rogers, E. M. (2010). Diffusion of innovations. New York : Simon and Schuster.
Hirschman, E. C. (1980). Innovativeness, novelty seeking, and consumer crea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3), 283-295.
Kim, C., Mirusmonov, M. & Lee, I. (2010). An empirical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mobile pay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3), 310-322.
Slade, E. L., Dwivedi, Y. K., Piercy, N. C. & Williams, M. D. (2015). Modeling consumers' adoption intentions of remote mobile payments in the United Kingdom: extending UTAUT with innovativeness, risk, and trust. Psychology & Marketing, 32(8), 860-873.
B. C. Hwang, K. S. Chung & M. J. Noh. An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Mobile Payment Services and Continuance Intention. 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31(4), 591-615.
S. D. Kwon, D. Y. Chun & Y. Y. Kim. (2012) Reexamination of Effect of Perceived Risk on Purchasing Intent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9(2), 233-247.
Jarvenpaa, S. L. & Todd, P. A. (1997). Consumer reactions to electronic shopping on the World Wide Web.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2), 59-88.
C. K. Kim, J. G. Kim & S. J. Choi. (2017). A Study on the Acceptance Decision Factors for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in Digital Convergence Media Ara: Focusing Samsung Pa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213-221.
I. S. Jeon & I. H. Bae. (2001). An Exploratory Model to Explain the Chasm on Internet Shopping Adoption.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16(4), 47-70.
Yang, Y., Liu, Y., Li, H. & Yu, B. (2015). Understanding perceived risks in mobile payment acceptance.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15(2), 253-269.
S. H. Jang & K. D. Lee. (2014). Privacy risk of Social network service and User Resistance. The e-Business Studies, 15(3), 323-338.
Y. J. Lee & S. I. Kim (2017). Evaluation for User Experience about Service of Fintech - Mainly with Analysis on 'Kakaopay' and 'Naverpa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387-393.
S. H. Kim & H. S. Park. (2013). A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Privacy Protection Awareness and Protection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 of Privacy Invasion Experience.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3(4), 79-105.
Jacoby, J. & Kaplan, L. B. (1972). The components of perceived risk. ACR Special Volumes.
Featherman, M. S., & Pavlou, P. A. (2003). Predicting e-services adoption: a perceived risk face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9(4), 451-474.
Y. Yang & H. S. Lee. (2017). The influence of self-construal, thinking style, and temporal distance on price-quality judgment.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18(1), 67-92.
Zhang, Y. & Gelb, B. D. (1996). Matching advertising appeals to culture: The influence of products' use conditions. Journal of advertising, 25(3), 29-46.
Mandel, N. (2003). Shifting selves and decision making: The effects of self-construal priming on consumer risk-tak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1), 30-40.
D. J. Lee. (2016). Product and Channe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Risks in e-Commerce: Implications for Airline and Travel Industries.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4(1), 99-119.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