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나무 부산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박테리아 활성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Byproducts of Abies holophylla Extract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6 no.2, 2018년, pp.134 - 140  

성은수 (수원여자대학교 약용식물과) ,  김수경 (수원여자대학교 약용식물과) ,  이진원 (수원여자대학교 약용식물과) ,  최승혁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과) ,  유지혜 (강원대학교 한방바이오연구소) ,  임정대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라종국 (강원대학교 평생학습중심학부) ,  유창연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extract of Abies holophylla is used as an ingredient in cosmetics. This study assessed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material remaining after the extract is used. Methods and Results: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 benzothiaz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화장품 원료로 1 차 정유 성분을 추출한 전나무 부산물을 이용한 다양한 항산화 활성 정도와 항박테리아 활성을 검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수치 확인 결과, 부산물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
  • 본 연구에서는 1 차적으로 화장품 원료로 사용된 전나무 부산물로부터 잔존하여 남아 있는 항산화 및 항미생물 활성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항산화 측정을 위해서는 DPPH 소거능 측정, ABTS 활성, total phenol 함량, total flavonoid 함량을 측정 하였으며, 항미생물 활성에 사용된 미생물 균주는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상나무의 특징은 무엇인가? 구상나무는 우리나라 한라산, 덕유산, 지리산 등에 자생하는 특산종으로, 구과 색이 푸른색을 띄는 푸른구상 (A. koreana for. chlorocarpa T. Lee), 검은색을 띄는 것은 검은구상 (A.koreana for. nigrocarpa Hatus.), 붉은색을 띄는 것은 붉은구상 (A. koreana for. rubrocarpa T. Lee) 3 종류로 분류된다(Lee et al., 2006).
전나무의 정유 성분의 장점은 무엇인가? 2 가지 전나무인 Abies holophylla와 Abies koreana의 정유 성분은 15 개 박테리아와 8 개 곰팡이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효과를 검증하였다 (Lee and Hong, 2009). 일반적인 정유 성분의 주된 물질은 테르펜 화합물로서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며 항염증, 항산화, 항박테리아 기작에 관여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Kim et al., 2016a).
전나무의 특성은 무엇인가? holophylla MAX.)는 음지식물로서 초기 생장이 느리고 천이의 극상을 이루는 생태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재질이 우수한 유전자원 선발과 유전다양성 유지를 위해 유전자원보존전략 및 육종계획에 대한 선행이 연구되어져 왔다(National Research Council, 1991). 전나무 종류 중 Abies koreana 종은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남쪽지역에 해발 1,000 - 1,900 m 되는 산지에서 자라고 있다 (Farjon and Rushforth,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Y and Bae JH. (2005).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extractives of Pinaceae.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31:121-125. 

  2. Bakkali F, Averbeck S, Averbeck D and Idaomar M. (2008). Biological effects of essential oils-a review.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6:446-475.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4. Bolormaa Z, Kim MK, Seo GS, Lee YW and Lee JS. (2011). Screening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Hypsizygus marmoreus(white cultivar) fruiting body. Korean Journal of Mycology. 39:185-188. 

  5. Farjon A and Rushforth KD. (1989). A classification of Abies Miller(Pinaceae). Notes from the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46:59-79. 

  6. Huang MT, Ho CT, Wang ZY, Ferraro T, Finnegan-Olive T, Lou YR, Mitchell JM, Laskin JD and Newmark H. (1992). Inhibitory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of a green tea polyphenol fraction on tumor initiation and promotion on mouse skin. Carcinogenesis. 13:947-954. 

  7. Jang TW, Nam SH and Park JH. (2016).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of ethyl acetate fractions extracted from cone of red pine(Pinus densiflor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9:163-170. 

  8. Jeon GI, Yoon MY, Park HR, Lee SC and Park E. (2009). Neuroprotective activity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DNA damage and cell death in PC12 cell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171:576-582. 

  9. Jeon MR, Yoo JH, Kim CH, Choi JH, Kang BJ, Seong ES and Yu CY. (2016). Selection of superior sorghum accession by assessing agronomic characters and biological activit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4:386-392. 

  10. Jeong SI, Lim JP and Jeon H. (2007).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from Abies koreana. Phytotherapy Research. 21:1246-1250. 

  11. Kim CJ, Seong ES, Yoo JH, Lee JG, Kim NJ, Choi SK, Lim JD and Yu CY. (2016a). Biological activity of Panax ginseng C. A. Meyer culture roots fermented with microorganism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4:191-197. 

  12. Kim SH, Lee SY, Cho SM, Hong CY, Park MJ and Choi IG. (2016b). Evaluation on anti-fungal activity and synergy effects of essential oil and their constituents from Abies holophylla. Journal of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4:113-123. 

  13. Kobayashi A, Koguchi Y, Takahashi S, Kanzaki H and Kawazu K. (1993). ST-1, a novel radical scavenger from fungus F-124.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57:1034-1046. 

  14. Ku CS, Jang JP and Mun SP. (2007). Exploitation of polyphenolrich pine barks for potent antioxidant activity. Journal of Wood Science. 53:524-528. 

  15. Lee JH and Hong SK.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Abies holophylla and Abies koreana.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9:372-377. 

  16. Lee SK, Choi DH and Bae YS. (2006). A study on the extractives of domestic major softwood needles(I). Mokchae Konghak. 34:73-83. 

  17. Lee SY, Hwang EJ, Kim GH, Choi YB, Lim CY and Kim SM. (2005).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3:93-100. 

  18. Lee SY, Kim SH, Park MJ, Lee SS and Choi IG. (2014).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Abies holophylla against respiratory tract bacteria. Journal of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533-542. 

  19. Lee TB. (1987). Dendrology. Hyangmoon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p.331. 

  20. Lee YJ, Han OT, Choi HS, Lee BY, Chung HY and Lee OH. (2013).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PineXol^{(R)}$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5:97-103. 

  21.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and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1:109-114.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1). Managing global genetic resources.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USA. p.228. 

  23. Patra JK, Kim SH, Hwang H, Choi JW and Baek KH. (2015). Volatile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the bio-oil obtained by pyrolysis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old and zucc). Molecules. 20:3986-4006. 

  2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Evans CR.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6:1231-1237. 

  25. Richardson MD, Peterson JR and Clark AM. (1992). Bioactivity screenings of plants selected on the basis of folkloric use or presence of lignans in a family. Phytotherapy Research. 6:274-278. 

  26. Seo GE, Kim SM, Pyo BS and Yang SA. (2016).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effect for foodborne pathogens from extract and fraction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4:303-308. 

  27. Singh R, Nath G, Goel R and Bhattacharya S. (1998). Pharmacological actions of pharmacological actions of Abies pindrow royle leaf. India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36:187-191. 

  28. Taga MS, Miller EE and Pratt DE. (1984). Chia seeds as a source of natural lipid antioxidant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61:928-931. 

  29. Yesilada E, Honda G, Sezik E, Tabata M, Fujita T, Tanaka T, Takeda Y and Takaishi Y. (1995). Traditional medicine in Turkey. V. folk medicine in the inner taurus mountain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46:133-152. 

  30. Yoo JH, Choi JH, Kang BJ, Jeon MR, Lee CO, Kim CH, Seong ES, Heo K, Yu CY and Choi SK. (2017).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promoting effects of perilla by the light emitting plasma.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5:37-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