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모델링을 이용한 골조직 세포 네트워크에서 Osteal Macrophage와 골세포의 역할 예측
Predicting the Role of Osteal Macrophages and Osteocytes in Bone Tissue Network Using a Mathematical Modeling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8 no.2, 2018년, pp.130 - 135  

황수정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osteomac과 골세포골조직 개조과정에서 하는 역할을 조사하고자 수학적 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였다. 2013년에 발표된 Graham's model을 기반으로 하고 osteomac을 해당 네트워크에 추가하여 각 링크의 파라미터와 상미분방정식을 작성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osteomac과 골세포의 효율성이 일정 수치 이하인 경우 골조직 개조가 안정적이지 않고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골세포의 효율성은 일정 수치 이상이 되어야 골조직 개조에도 골량이 유지되었으며 osteomac의 효율성의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골량도 함께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Osteomac의 효율성이 골조직 개조와 골량 유지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osteal macrophages (osteomac) and osteocytes in bone remodeling using a mathematical model. We constructed the bone system with pre-osteoblasts, osteoclasts, osteocytes, and osteomac. Each link of the parameters and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steomac이 골조직의 생성과 개조에 잠재적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으며 외부 물질이 투여되었을 때 key player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되지만10) 아직 실험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고 그 역할은 아직 모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osteomac이 골조직 개조에서 하는 역할을 탐색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링을 사용하였으며 2013년 Graham 등11)의 골세포의 역할을 규명한 수학적 모델링에 osteomac을 추가하여 모델을 만들고 분석하여 osteomac의 역할을 예측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Osteomac은 질병을 일으키는 pathogen, 자가사멸된 세포, 괴사된 세포 등에 의해 추가적으로 생겨나고 자가사멸로 없어지기 때문에 그에 해당하는 링크도 추가하였다. Graham 등11)과 마찬가지로 각 세포들은 분화될 수 있는 충분한 줄기세포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였고 성숙한 세포 중 일부는 자가사멸한다고 가정하였다. 최종적으로 Fig.
  • 새롭게 진입한 osteomac의 경우, 실험 논문이 많지 않고 서로 상반되는 결과들도 보이고 있어서 osteomac에 대한 파라미터 수치를 연구자가 변화시키면서 최종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골조직량은 조골세포의 수만큼 증가하고 파골세포의 수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식을 구성하였다. 다음은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스템 생물학은 무엇인가? 시스템 생물학은 정보기술과 생명과학기술이 융합되어 특정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관계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 차원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통합하는 학문이다1). 시스템 생물학에서는 수학적 모델링 방식으로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고 생체동역학을 탐구할 수 있으며 기존의 경험적 실험에 의존하고 있는 생명과학 연구에서 소요되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2).
골조직 내 세포 중 Osteomac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추정하고 있는가? 근래 골조직 내 세포 중 osteal macrophage (osteomac)의 역할에 대해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Osteomac이 골조직의 생성과 개조에 잠재적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으며 외부 물질이 투여되었을 때 key player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되지만10) 아직 실험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고 그 역할은 아직 모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osteomac이 골조직 개조에서 하는 역할을 탐색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링을 사용하였으며 2013년 Graham 등11)의 골세포의 역할을 규명한 수학적 모델링에 osteomac을 추가하여 모델을 만들고 분석하여 osteomac의 역할을 예측하고자 한다.
골 조직량과 osteomac는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그 결과 골세포뿐 아니라 osteomac도 골조직 항상성 유지에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osteomac이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율성의 증가는 골세포의 효율성 정도에 관계없이 골 조직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Osteomac이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율성이 일정 수치 이상이 되면 골조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osteomac이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율성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골세포의 효율성을 증가시켜도 골조직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골세포의 효율성은 osteomac의 효율성이 어느 수준 이상 유지될 때 골조직 개조에 영향을 미치지만, osteomac은 효율성의 변화에 대해 독립적으로 관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생각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eitling R: What is systems biology? Front Physiol 1: 9, 2010. https://doi.org/10.3389/fphys.2010.00009 

  2. Kitano H: Systems biology: a brief overview. Science 295: 1662-1664, 2002. https://doi.org/10.1126/science.1069492 

  3. Hsu YH, Niu T, Terwedow HA, et al.: Variation in genes involved in the RANKL/RANK/OPG bone remodeling pathway are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at different skeletal sites in men. Hum Genet 118: 568-577, 2006. https://doi.org/10.1007/s00439-005-0062-4 

  4. Lamora A, Talbot J, Mullard M, Brounais-Le Royer B, Renidi F, Verrecchia F: TGF- ${\beta}$ signaling in bone remodeling and osteosarcoma progression. J Clin Med 5: E96, 2016. https://doi.org/10.3390/jcm5110096 

  5. Poon B, Kha T, Tran S, Dass CR: Bone morphogenetic protein-2 and bone therapy: successes and pitfalls. J Pharm Pharmacol 68: 139-147, 2016. https://doi.org/10.1111/jphp.12506 

  6. Karner CM, Long F: Wnt signaling and cellular metabolism in osteoblasts. Cell Mol Life Sci 74: 1649-1657, 2017. https://doi.org/10.1007/s00018-016-2425-5 

  7. Zhao B: TNF and bone remodeling. Curr Osteoporos Rep 15: 126-134, 2017. https://doi.org/10.1007/s11914-017-0358-z 

  8. Ruscitti P, Cipriani P, Carubbi F, et al.: The role of IL-1 ${\beta}$ in the bone loss during rheumatic diseases. Mediators Inflamm 2015: 782382, 2015. https://doi.org/10.1155/2015/782382 

  9. Prideaux M, Findlay DM, Atkins GJ: Osteocytes: the master cells in bone remodelling. Curr Opin Pharmacol 28: 24-30, 2016. https://doi.org/10.1016/j.coph.2016.02.003 

  10. Miron RJ, Bosshardt DD: OsteoMacs: key players around bone biomaterials. Biomaterials 82: 1-19, 2016. https://doi.org/10.1016/j.biomaterials.2015.12.017. 

  11. Graham JM, Ayati BP, Holstein SA, Martin JA: The role of osteocytes in targeted bone remodeling: a mathematical model. PLoS One 8: e63884, 201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63884 

  12. Raggatt LJ, Partridge NC: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of bone remodeling. J Biol Chem 285: 25103-25108, 2010. https://doi.org/10.1074/jbc.R109.041087 

  13. Teitelbaum SL, Tondravi MM, Ross FP: Osteoclasts, macrophage, and the molecular mechanisms of bone resorption. J Leukoc Biol 61: 381-388, 1997. 

  14. Komarova SV, Smith RJ, Dixon SJ, Sims SM, Wahl LM: Mathematical model predicts a critical role for osteoclast autocrine regulation in the control of bone remodeling. Bone 33: 206-215, 2003. https://doi.org/10.1016/S8756-3282(03)00157-1 

  15. Ayati BP, Edwards CM, Webb GF, Wikswo JP: A mathematical model of bone remodeling dynamics for normal bone cell populations and myeloma bone disease. Biol Direct 5: 28, 2010. https://doi.org/10.1186/1745-6150-5-28 

  16. Lemaire V, Tobin FL, Greller LD, Cho CR, Suva LJ: Modeling the interactions between osteoblast and osteoclast activities in bone remodeling. J Theor Biol 229: 293-309, 2004. https://doi.org/10.1016/j.jtbi.2004.03.023 

  17. Pivonka P, Zimak J, Smith DW, et al.: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the RANK-RANKL-OPG system in bone remodeling. J Theor Biol 262: 306-316, 2010. https://doi.org/10.1016/j.jtbi.2009.09.021 

  18. Sun X, Su J, Bao J, et al.: Cytokine combination therapy prediction for bone remodeling in tissue engineering based on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 Biomaterials 33: 8265-8276, 2012. https://doi.org/10.1016/j.biomaterials.2012.07.041 

  19. Sabokbar A, Fujikawa Y, Neale S, Murray DW, Athanasou NA: Human arthroplasty derived macrophage differentiate into osteoclast bone resorbing cells. Ann Rheum Dis 56: 414-420, 1997. http://dx.doi.org/10.1136/ard.56.7.414 

  20. Fujikawa Y, Sabokbar A, Neale S, Athanasou NA: Human osteoclast formation and bone resorption by monocytes and synovial macrophages in rheumatoid arthritis. Ann Rheum Dis 55: 816-822, 1996. http://dx.doi.org/10.1136/ard.55.11.816 

  21. Chang MK, Raggatt LJ, Alexander KA, et al.: Osteal tissue macrophages are intercalated throughout human and mouse bone lining tissues and regulate osteoblast function in vitro and in vivo. J Immunol 181: 1232-1244, 2008. https://doi.org/10.4049/jimmunol.181.2.12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