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 시설물 주변에서의 방사성 오염물 거동 특성 연구
Study of Mobility for Radionuclides in Nuclear Facility Site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1 no.2, 2018년, pp.99 - 111  

장세은 (포항공과대학교 첨단원자력공학부) ,  박종걸 (포항공과대학교 첨단원자력공학부) ,  엄우용 (포항공과대학교 첨단원자력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시설물에 존재하는 핵종의 의도치 않은 유출사고를 대비하기 위해서 세 가지 대표 핵종 ($^{60}Co$, $^{137}Cs$, $^{125}Sb$)을 원자력 시설물 지역에서 채취한 시료와 반응하여 핵종들의 흡착 및 거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장 높은 흡착계수 값들은 ($^{60}Co=947mL/g$, $^{137}Cs=2105mL/g$, $^{125}Sb=81.3mL/g$) 지하수 환경일 때 상부토층 시료에서 나타났으며, 파쇄대 > 기반암 시료의 순으로 $K_d$ 값이 감소하였다. 상부토층과 파쇄대에서 $^{60}Co$의 높은 흡착계수는 상부토층 및 파쇄대에 존재하는 점토광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며, 해수 조건에서는 높은 이온강도로 인해서 $K_d$ 값은 약 58 - 69 % 감소하였다. $^{137}Cs$의 흡착은 주로 백운모의 Flayed edge site (FES)에서 $K^+$과의 이온교환 반응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137}Cs$의 흡착이 해수 조건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으며 (89 - 97 % 감소), $^{125}Sb$은 대표 핵종 중 해수에 의한 이온강도 변화에 가장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칼럼 및 배치 흡착 실험 결과 파쇄대 시료 (F-1, F-2)에서 $^{137}Cs$의 지연계수 (R) 값은 약 5400 - 7400, $^{60}Co$의 경우는 약 2000 - 2500, $^{125}Sb$의 경우는 약 250 - 415의 범위를 보여주므로 대표핵종들이 파쇄대에서도 매우 낮은 거동을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대표 핵종 $^{137}Cs$, $^{60}Co$, $^{125}Sb$들은 모두 상부토층 및 파쇄대에서 가장 높은 $K_d$ 값을 나타내므로, 원전 시설물에서 예상치 못한 중대사고가 발생하여 핵종이 환경으로 유출되더라도 상부토층 및 파쇄대 구간에서 대부분 흡착되어 이동이 상당히 지연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결과는 원자력 시설물의 안전성 및 환경영향 평가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ree target radionuclides ($^{60}Co$, $^{137}Cs$, and $^{125}Sb$) were reacted with solid samples collected from the nuclear facility sites to investigate their sorption and mobility behaviors for preparing unexpected nuclear accidents. The highest s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원자력 발전소 인근에서 채취된 상부토층 및 암석시료에 대하여 대표핵종으로 선정된 60Co, 137Cs, 125Sb에 대하여 흡착분배계수 (Distribution coefficient, Kd)를 도출하고, 실제 지하수와 해수 환경에서의 흡착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원전 및 원자력 시설물에 존재하는 액상의 방사성 폐기물이 의도치 않게 자연계로 유출되는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서 핵종의 거동을 파악하여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 가지의 대표 핵종 (60Co, 137Cs, 125Sb)을 선별하여 유출 가능한 지역의 수직범위에 따른 토양 및 암석 매질과의 흡착 반응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주변의 상부토층과 지하 암석매질 (파쇄대, 기반암)의 광물학적 조성 및 시료 형태에 따른 대표 핵종의 흡착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국내 원전 부지 인근의 두 지점에서 상부토층, 파쇄대, 기반암 시료 및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해안가에 위치한 원자력 발전소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수 침투 여부에 따른 핵종의 흡착 영향을 파악하고자 동일 부지와 인접한 해수 시료를 채취하여 흡착 실험에 사용한 후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티모니와 비소의 연구 현황은 ? 안티모니와 비소는 S2P3 오비탈의 특성으로 인하여 동일한 산화-환원상태를 가지며, 산화 환경 중에 존재하는 안티모니와 비소는 +5의 산화상태를 가지는 경우가 가장 많고, +3가 산화수의 안티모니와 비소는 산소가 거의 없는 환원 환경에서 쉽게 발견된다 (Park, 2010). 이 두 원소의 화학적 성질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비소에 대한 흡착 및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한데 반해 안티모니의 화학적 특성과 거동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화학적인 흡착 반응의 종류는 ? 원자력발전소 가동 중 시설의 노후화 및 예상치 못한 중대사고, 그리고 원전의 제염·해체 시 발생할 수 있는 액상의 방사성 폐기물은 주위의 자연으로 노출 될 가능성이 높으며, 혹시 모를 사고를 대비하여 원전 부지 및 관련 시설에서의 핵종의 거동을 평가할 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핵종의 거동 (이동성)은 일반적으로 화학적인 흡착 반응 (침전, 표면 흡착, 이온교환 등) 뿐만 아니라 각 핵종의 방사화학적 특성과 주변 지화학적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 핵종이 원전 시설물 주변 환경의 고체 매질과 흡착되는 정도 및 기작을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연구 주제이다.
지하수 및 해수 시료의 기본적인 수질인자에는 무엇이 있나? 지하수 및 해수 시료의 기본적인 수질인자인 수소이온농도 (pH), 전기전도도 (Electrical Conductivity, EC), 용존산소 (Dissolved Oxygen, DO) 및 산화환원전위(Oxidation-Reduction Potential, Eh)는 시료를 수령한직후 측정하였으며 (Thermo, Orion Star A211), 각각의 시료는 0.45 µ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OES, Thermo iCAP 7400 Duo)와 Ion Chromatography (IC, Dionex ICS-3000)를 이용하여 주요 양이온 성분과 음이온 성분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katsu, E., Tomizawa, T. and Aratono, Y. (1974) Separation of Antimony-125 in Fission Products, J. Nucl. Sci. Technol., v.11, p.571-574. 

  2. Anderson, K. (1983) Transport of Radionuclides in Water/ Mineral Systems,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3. Bunzl, K., Kracke, W., Schimmack, W. and Zelles, L. (1998) Forms of fallout $^{137}Cs$ and $^{239+240}Pu$ in successive horizons of a forest soil, J. Environ. Radioact., v.39, p.55-68. 

  4. Campbell, L.S. and Davies, B.E. (1995) Soil sorption of caesium modeled by the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 equations. Appl. Geochem., v.10, p.715-723. 

  5. Chang, S., Choung, S., Um, W. and Chon, C. (2013) Effects of weathering processes on radioactive cesium sorption with mineral characterization in Korean nuclear facility site. J. Miner. Soc. Korea, v.26, p.209-218. 

  6. Choi, S., Amistadi, M. and Chorover, J. (2005) Clay mineral weathering and contaminant dynamics in a caustic aqueous system, I. Wet chemistry and aging effects. Geochim. Cosmochim. Acta, v.69, 4425-4436. 

  7. Chorover, J., DiChiaro, M.J. and Chadwick, O.A. (1999) Structural charge and cesium retention in a chronosequence of tephritic soils. Soil Sci. Soc. Am. J, v.63, p.169-177. 

  8. Cornell, R.M. (1993) Adsorption of cesium on minerals: A review, J. Radioanal. Nucl. Chem., v.171, p.483-500. 

  9. Dyer, N.C. and Bechtold, T.E. (1994) Radionuclides in United States commercial nuclear power reactors, WINCO-1191. 

  10. EPA (1999) Understanding variation in partition coefficient, Kd, values, Volume II: Review of Geochemistry and Available $K_d$ values for Cadmium, Cesium, Chromium, Lead, Plutonium, Radon, Strontium, Thorium, Tritium ( $^3H$ ), and uraniu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402-R-99-004B, 5.1.8. 

  11. Flury, M., Czigany, S., Ghen, G. and Harsh, J.B. (2004) Cesium migration in saturated silica sand and Hanford sediments as impacted by ionic strength. J. Contam. Hydrol., v.71, p.111-126. 

  12. Fuller, A.J., Shaw, S., Peacock, C.L., Trivedi, D., Small, J.S., Abrahamsen, L.G. and Burke, I.T. (2014) Ionic strength and pH dependent multi-site sorption of Cs onto micaceous aquifer sediment. Appl. Geochem., v.40, p.32-42. 

  13. Hou, X.L., Fogh, C.L., Kucera, J., Andersson, K.G., Dahlgaard, H. and Nielsen, S.P. (2003) Iodine-129 and caesium-137 in Chernobyl contaminated soil and their chemical fractionation. Sci. Total Environ., v.308, p.97-109. 

  14. Huitti, T., Hakanen, M. and Lindberg, A. (1998) Sorption of Cesium on Olkiluoto Mica Gneiss, Granodiorite and Granite, POSIVA 98-11, POSIVA Oy, Helsinki. 

  15. Jackson, M.L., Hseung, Y., Corey, R.B., Evans, E.J. and Heuvel, R.C.V. (1952) Weathering sequence of claysize minerals in soils and sediments: II. Chemical weathering of layer silicates. Soil Sci. Soc. Am. Proc. v.16, p.3-6. 

  16. Jackson, M.L. (1968) Weathering of primary and secondary minerals in soils. In: 9th International Congress of Soil Science.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Soil Science and Angus & Robertson Ltd., Adelaide, Australia, p.281-292. 

  17. Kim, Y., Kirkpatrick, R.J. and Cygan, R.T. (1996) Cs-133 NMR study of cesium on the surfaces of kaolinite and illite. Geochim. Cosmochim. Acta, v.60, p.4059-4074. 

  18. Kim, Y., Cho, S., Kang, H.D., Kim, W., Lee, H.R., Doh, S.H., Kim, K., Yun, S.G., Kim, D.S. and Jeong, G.Y. (2006) Radiocesium reaction with illite and organic matter in marine sediment, Mar. Pollut. Bull., v.52, p.659-665. 

  19. Kim, Y., Kim, K., Kand, H.D., Kim, W., Doh, S.H., Kim, D.S. and Kim, B.K. (2007) The accumulation of radiocesium in coarse marine sediment: Effects of mineralogy and organic matter, Mar. Pollut. Bull., v.54, p.1341-1350. 

  20.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6) Test method for density of soil particles, KS F 2508. 

  21.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4) Testing method for specific gravity and absorption of coarse aggregate, KS F 2503. 

  22. Lintschinger, J., Michalke, B., Schulte-Hostede, S. and Schrame, P. (1998) Studies on speciation of antimony in soil contaminated by industrial activity. Int. J. Environ. Anal. Chem., v.72, p.11-25. 

  23. Liu, C., Zachara, J.M. and Smith, S.C. (2004) A cation exchange model to describe $Cs^+$ sorption at high ionic strength in subsurface sediments at Hanford site, USA. J. Contam. Hydrol., v.68, p.217-238. 

  24. Oscarson, D.W., Watson, R.L. and Miller, H.G. (1987) The interaction of trace levels of cesium with montmorillonitic and illitic clays, Appl. Clay. Sci., v.2, p.29-39. 

  25. Park, J.Y. (2010) Chemical properties and behavior of antimony in soil through comparison with arsenic. KOSEN Expert Review, p.1-8. 

  26. Qin, H., Yokoyama, Y., Fan, Q., Iwatani, H., Tanaka, K., Sakaguchi, A., Kanai, Y., Zhu, J., Onda, Y. and Takahashi, Y. (2012) Investigation of cesium adsorption on soil and sediment samples from Fukushima prefecture by sequential extraction and EXAFS technique. Geochem. J., v.46, p.297-302. 

  27. Relyea, J.F., Serne, R.J. and Rai, D. (1980) Methods for determining radionuclide retardation factors.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PNL-3349. 

  28. Sawhney, B.L. (1965) Sorption of cesium from dilute solutions. Soil Sci. Soc. Am. Proc., v.29, p.25-28. 

  29. Steefel, C.I., Carroll, S., Zhao, P. and Roberts, S. (2003) Cesium migration in Hanford sediment: a multisite cation exchange model based on laboratory transport experiments. J. Contam. Hydrol., v.67, p.219-246. 

  30. Tadros, T.F. (2017) Basic principles of interface science and colloid stability, 1st edition book, De Gruyter. 

  31. Takeno. N. (2005) Atlas of Eh-pH diagrams. Geological survey of Japan open file report, v.419, p.102. 

  32. Toride, N., Leij, F.J. and Genuchten, M. Th. (1995) The CXTFIT code for estimating transport parameters from laboratory or field tracer experiments (version 2.0), US Salinity Laboratory, Research Report No. 137. 

  33. Um, W. and Papelis, C. (2004) Metal ion sorption and desorption on zeolitized tuffs from the Nevada Test Site. Environ. Sci. Technol., v.38, p.496-502. 

  34. Um, W. and Serne, R.J. (2005) Sorption and transport behavior of radionuclides in the proposed low-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at the Hanford Site, Washington. Radiochim. Acta, v.93, p.57-63. 

  35. Um, W., Serne, R.J., Brown, C.F. and Last, G.V. (2007) U(VI) adsorption on 200-UP-1 aquifer sediments at the Hanford Site, J. Contam. Hydrol., v.93, p.255-269. 

  36. Vejsada, J. (2006) Th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batch technique for distribution coefficients determination-A case study of cesium adsorption on four different bentonites. Appl. Radiat. Isot., v.64, p.1538-1548. 

  37. Zachara, J.M., Smith, S.C., Liu, C., McKinley, J.P., Serne, R.J. and Gassman, P.L. (2002) Sorption of $Cs^+$ to micaceous subsurface sediments from the Hanford Site, USA, Geochim. Cosmochim. Acta., v.66, p.193-2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