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물질 소화약제 안전한 사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afe use of the Chemical Extinguishing Agent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2, 2018년, pp.118 - 129  

조중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업재해예방기관인 안전보건공단(KOSHA)에서 실시한 소화약제 중독 질식 재해사례분석을 통해 소화 약제를 포함한 화학물질의 안전한 취급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산업재해통계에 따르면 2011~2016년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화학물질 중독 질식재해는 해마다 증가 및 다 변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 사고성재해와 달리 화학물질 재해는 재해강도가 크고 화학물질 위험성 정보 확인이 어려운 특징이 있다. 화학물질 재해의 예방을 위해서는 화학물질 취급 전 위험성을 평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은 유해위험성인지와 위험성평가가 어려운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안전보건공단에서 개발한 화학물질 필수정보 확인 프로세스(CHEM-i)와 화학물질위험성평가기법(CHARM)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recent serious disaster cases of chemical extinguishing agent poisoning and suffocation investigated by KOSHA and proposed the safe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cluding the chemical extinguishing agent. An analysis of the statistical figures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var...

주제어

표/그림 (2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화학물질로 인한 중독 · 질식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취급 화학물질이 가진 유해위험성 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를 통해 현재 작업환경에서의 화학물질로 인한 위험성을 평가한 후 위험성평가결과에 따라 위험성이 허용수준 이상인 경우(화학물질의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등) 화학물질로 인한 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환기설비 설치 등 공학적 개선 · 보호구 착용 등을 통한 노출량 최소화 방안 등)을 수립 · 시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안전보건공단에서 화학물질 소화약제 취급과 관련하여 최근 재해조사를 실시한 사례를 보여 주고, 이 사례를 통해 화학물질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즉, HCFC 123은 간 독성이 있고 쉽게 증발해 호흡기로 노출되는 화학물질, 이산화탄소는 불활성 가스로 환기가 잘 되지 않는 공간에 누출 시 산소결핍으로 질식재해를 유발하는 화학물질로 평가되어 있다. 따라서 CHEM-i 정보의 확인을 통해 화학물질이 가진 유해위험성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안전보건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재 공단에서는 1,000개의 화학물질에 대한 CHEM-i정보를 구축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구축되지 않은 화학물질의 경우에도 취급 화학물질의 MSDS 자료 내용 중 CHEM-i프로세스에 따른 핵심정보 추출과정을 활용하면 화학물질 안전보건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발생했던 소화약제 중독 · 질식재해사례를 분석해보고 소화약제 등 화학물질 취급으로 인한 재해예방을 위해 화학물질 취급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 안전보건공단에서 최근 개발한 CHEM-i와 CHARM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에 다발하고 있는 화학물질 소화약제의 중독·질식 재해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안전한 화학물질 안전관리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화학물질소화 약제 중독 · 질식 재해사례분석과 안전보건공단에서 화학물질 재해예방을 위해 최근 개발한 화학물질정보인지·위험성 평가프로그램인 CHEM-i와 CHARM의 소개를 통해 화학물질 안전관리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최근 화학물질 재해사례를 통해 화학물질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화학물질 취급현장에서 현장 작동성이 높은 구체적인 화학물질 안전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해 안전보건공단에서 산업현장의 근로자 화학물질 재해예방을 위해 최근 개발한 CHEM-i (화학물질 정보인지 프로세스)와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프로그램(CHARM)을 간단히 소개하고 이를 통해 국내화학물질 안전보건관리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물질 중독 · 질식재해의 변화추이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화학물질 재해통계(중독, 질식)를 분석해보면 2011년부터 2016년까지(6년) 산업재해보상보험(산재보험)을 가입한 사업장 중 화학물질 중독 · 질식재해자는 총 2,514명이었고 이중 중독재해 2,445명 질식재해 69명 발생하였다. 재해의 특성을 보면 중독재해의 경우 산업현장에서의 화학물질 사용량 증가로 해마다 중독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2011년 1,092명 → 2016년 1,472명), 질식재해의 경우 과거에는 맨홀 등 단순 밀폐공간에서 산소결핍, 질식성가스(황화수소, 일산화탄소) 중독 등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산업화의 진행으로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가스(프레온, 이산화탄소, 질소, 아르곤 등) 누출에 의한 질식재해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안전보건공단의 화학물질 중대재해 원인조사 자료(1)를 분석해본 결과 화학물질재해는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정보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미흡한 작업환경관리(환기 미실시, 보호구 미착용등)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MSDS란 무엇인가? 또한 작업과 관련한 화학물질 사용 시에는 사전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 안전보건대책을 수립토록 하고 있다. MSDS란 화학물질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 화학물질의 제조업자가 사용 사업장에 제공하는 안전보건정보자료이다. 하지만 MSDS는 내용이 방대하고 전문적이어서 일반인이 활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운 점이 있어왔다.
화학물질 재해예방을 위해 화학물질 안전관리에 부합하는 기법은? 현재 국내의 화학물질 안전관리체계는 취급화학물질 MSDS게시, 교육 등이 전부이며 이러한 법 규제준수를 위한 화학물질관리는 미래 화학물질재해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화학물질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화학물질 취급현장에서 모든 국민이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을 쉽게 인지하고 평가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화학물질 안전관리에 부합되는 안전관리기법이 CHEM-i와 CHARM과 같은 종류의 기법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재해사례 물질을동 기법으로 평가해본 결과 화학물질 관리방향설정이 있어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SHA, "Industrial serious disaster investigation report", (2010-2017). 

  2. KOSHA, "The result of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and working environment survey" (2010-2017). 

  3. KOSHA, "Customized chemical hazard information development" (2016). 

  4. Ministry of Labor,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report" (2016). 

  5. KOSHA chemical information homepage (http://msds.kosha.or.kr). 

  6. KOSHA, "Risk Assessment Manual" (2017). 

  7. KOSHA, "Suffocation Disaster Prevention Manual" (2017). 

  8. P. L. Williams and R. C. James, "Principles of Toxicology", Second Edition (2000). 

  9. J. S. You and Y. J. Chung, "Study on the Fire Analysis According to Explosion Hazard",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1, pp. 80-86 (2015). 

  10. N. S. Baik, J. D. Chung and C. H. Park, "Assessment of Priority Order Using the Chemical to Cause to Generate Occupational Diseases and Classification by GH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pp. 715-735 (2010). 

  11. D. J. Lee, T. H. Lee and C. H. Shin, "Study of the Improvement of Hazardous Chemical Management for Chemical Accident Prevention",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1, pp. 74-80 (2017). 

  12. K. T. Rim, H. O. Kim, Y. K. Kim, H. W. Cho, Y. S. Ma, K. S. Lee, C. H. Lim and H. Y. Kim et al, "Development and Use of Data for Chemical Risk Assessment", J. Environ. Toxicol., Vol. 22, No. 1, pp. 91-101 (2007). 

  13. J. W. Jung,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Risk Assessment System at Workpla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pp. 121-128 (2014). 

  14. K. J. Hyun, "A study on personal safety Improvement of the Gaseous fire Extinguishing System", J. Korean Soc. Hazard Mitig, pp. 193-199 (2014). 

  15. K. S. Jung and Y. S. Ahn, "Acute hepatitis case of Chloroform, HCFC-123", Proceedings of 2010 Fall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 Medicine, pp. 459-460 (2010). 

  16. S. D. Lee, "Regulations and Development Trends of HCFCs", Korean Industrial Chemistry News, Vol. 8, No. 2 (2005). 

  17. T. Takebayashi and I. Kabe, "Acute Liver Dysfunction Among Workers Exposed to HCFC-123", Applied Occupational & Environment Hygiene, Vol. 14, No. 2, pp. 72-74 (1999). 

  18. Y. M. Cho, H. J. Kim, J. W. Choi, "Perception of Workers and Managers for the Chemical Hazard",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Vol. 22, No. 4, pp. 293-30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