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대처 및 정신건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lience, Coping, and Mental Health on Burnout of Student Nurse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199 - 207  

조헌하 (고신대학교 간호학과) ,  강정미 (고신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ilience, coping, and mental health in relation to burnout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student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241 student nurses from 2 universities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대처 및 정신건강을 주요 변수로 하여 제 변수들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 간호대학생의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학 생활 만족도와 대처, 정신건강 상태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대학생활 만족도 증진을 위한 대학 차원의 제도적 노력과 학과 차원의 대처 증진전략 및 정신건강 증진전략을 포함한 학년별 맞춤 소진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회복탄력성, 대처 및 정신건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 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대처 및 정신건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대처, 정신건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 대처 및 정신건강이 간호대학생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소진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소진이란 무엇인가? 소진은 주로 서비스 종사자들에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되었으나, 최근에는 인간의 모든 활동 영역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학생의 경우 학업수행의 의무와 책임이 학생의 업무로 간주되면서 학업소진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1]. 학업소진은 만성적인 학업 스트레스, 과도한 학업요구로 인하여 심리적 피로와 정서적 고갈 및 냉소를 보이고, 학업에 대한 자신감이나 개인적 성취감이 결여되는 상태를 말한다[2]. 최근 자신의 적성이 아닌 높은 취업률로 인해 부모나 주변사람의 권유 등으로 간호학과를 선택한 간호대학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간호대학생은 입학한 저학년부터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간호대학생 중 입학한 저학년부터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업소진은 만성적인 학업 스트레스, 과도한 학업요구로 인하여 심리적 피로와 정서적 고갈 및 냉소를 보이고, 학업에 대한 자신감이나 개인적 성취감이 결여되는 상태를 말한다[2]. 최근 자신의 적성이 아닌 높은 취업률로 인해 부모나 주변사람의 권유 등으로 간호학과를 선택한 간호대학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간호대학생은 입학한 저학년부터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입학 이후에 간호대학생은 국가고시 준비로 인한 강도 높은 이론교육과 임상실습으로 인해 타 학과 대학생들에 비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4], 임상실습을 경험하면서 임상실습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건강 문제가 많고 소진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5,6].
간호대학생의 대처방식과 정신건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과정에서 지식과 경험의 부족, 엄격한 행동규범, 취업 및 국가고시에 대한 압박감 등으로 정신건강 수준이 낮으며, 정신건강 수준이 낮을수록 소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무엇보다도 간호대학생은 졸업 후 임상현 장에서 간호사로서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자를 돌보고, 간호수 행에 대한 책임을 지며,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14]. 또한 대처방식이 우울, 불안, 대인 예민성, 강박, 적대감과 같은 다양한 정신건강 지표를 예측하는 변인임을 고려할 때[15], 간호대학생의 대처방식과 정신건강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unyamin A. Effect of solution focused group counseling for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struggle with school burnout. Journal of Education and Training Studies. 2016;4(4):27-34. 

  2. Schaufeli WB, Martinez IM, Pinto AM, Salanova M, Bakker A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002;33(5):464-481. https://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3. Park JA, Lee EK.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3):267-276.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3.267 

  4. Park HJ, Jang IS.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16(1):14-23. 

  5. Lim YJ.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emotional labor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burnout.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7;17(6):461-474.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6.461 

  6. Watson R, Deary I, Thomson D, Li G. A study of stress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ts in Hong kong: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8;45(10):1534-1542.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7.11.003 

  7. Rudamn A, Gustavsson JP. Burnout during nursing education predicts lower occupational preparedness and future clinical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8):988-1001.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2.03.010 

  8. Hong E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and instructional suggestion.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06;41(2):45-67. 

  9. Cho HH, Kang JM.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practice burnout in students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2):199-206. https://doi.org/10.4094/chnr.2017.23.2.199 

  10. Hong HS, Kim HY. Effect of academic stress, clinical practice stress,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2):221-234. https://doi.org/10.14257/AJMAHS.2016.39 

  11.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1st ed. New York: Springer; 1984. p. 1-456. 

  12. Hong Y, Kim Y, Son H. Effect of nurses' incivility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 coping on burnout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4):323-331.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4.323 

  13. Hong CM.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using MBI-SS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5;5(4):353-362. https://doi.org/10.14257/AJMAHS.2015.08.71 

  14. Park SH, Byun EK.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in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on Society. 2015;16(12):8284-8291.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284 

  15. Chang EC, Sanna LJ, Riley MM, Thomburg AM, Zumberg KM, Edwards MC. Relations between problem-solving style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young adults: Is stress a mediating variab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7;42(1):135-144. 

  16. Wagnild GM, Young H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3;1(2):165-178. 

  17. Song YS.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04. p. 1-53. 

  18. Oh K, Han JS. Stressful life events, health symptoms,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ear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0;20(3):414-429. 

  19. Derogatis LR, Rickels K, Rock AF. The SCL-90 and the MMPI: A step in the validation of a new self-report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76;128(3):280-289. https://doi.org/10.1192/bjp.128.3.280 

  20. Lee HK. Psychological maturation of high school graduates.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1986;56:145-166. 

  21. Park JS, Kwon Y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tress,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5;19(2):212-221. https://doi.org/10.21896/jksmch.2015.19.2.212 

  22. Kim JY, Kim MK, Cho J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in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1):669-678. https://doi.org/10.5762/KAIS.2017.18.1.669 

  23. Lee YE, Kim E, Park SY. Effect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3):385-393. https://doi.org/10.4094/chnr.2017.23.3.385 

  24. Kim JG, Yoo JH, Cheon EY. Relationship among incivility, burnout, coping and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1):316-324. https://doi.org/10.10.5762/KAIS.2017.18.1.316 

  25. Jung HY, Kwon JO. A study on the stress, self-esteem, and mental-health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3;7(4):191-204. https://doi.org/10.12811/kshsm.2013.7.4.191 

  26. Kim JS, Sun JJ, Kim HS.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Qualitative Research. 2009;10(1):63-76. 

  27. Yu YY. Relationships between stress-coping schemes and mental health for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09;9(12):718-729. 

  28. Jee Y, Lee YB, Lee AR, Jeon JW. Factors influencing mental health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8):3866-3875. https://doi.org/10.5762/KAIS.2013.14.8.38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