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로 출생한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도 측정과 관련 특성
Adiposity Measurements and Related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Born Prematurely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220 - 228  

안영미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손민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상미 (동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adiposity and to investigate related factors in preschoolers born prematurely. Methods: A longitudinal follow-up study was conducted with 52 preschoolers at 5 years of corrected age among 343 preterm infants. Their adiposity status was evaluated based 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한 후 학령전기에 이른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비만도와 관련 특성을 탐색한 종적 코호트 조사연구이다.
  • 아동의 건강사정은 자극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함을 고려할 때, 과도한 접촉과 신체노출을 최소화하고 아동의 시야에서 이루어지는 쉽고 편리한 신체계측법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체중이나 BMI로는 미숙아로 출생한 학령전기 아동의 비만을 민감하게 측정하기 어렵고, SFT 측정이 중요하며, 특히 삼두박근 SFT가 견갑골보다는 더 높은 백분위 경향을 보임에 따라 학령전기 아동의 숨어있는 비만을 측정하는 데에 좋은 지표임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로 출생하여 학령전기에 이른 아동을 대상으로 BMI, SFT, WC, WHtR, MAC 측정을 통해 비만도를 측정하고, 비만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한 대상자를 종적 추적하여, 학령전기에 이른 시점에서 BMI, SFT, WC, WHtR, MAC 측정을 통해 비만도를 알아보고, 미숙아로 출생한 아동의 특성과 비만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가 만삭아보다 더 많은 지방축적을 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무엇인가? 미숙아는 만삭아보다 더 많은 지방축적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3,5], 이는 태내 영양 결핍의 경험이 태아의 에너지 비축을 강화시키고 프로그래밍되어 성장과정에 영향을 준다는 절약형질이론(thrifty phenotype hypothesis)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6]. 미숙아는 태아성장에 필요한 영양공급이 취약한 태내환경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고 출생 후에도 미성숙한 영양섭취 및 소화능력으로 인해 큰 폭의 체중감소와 성장지연을 경험할 위험이 높다.
미숙아의 생의 초기 가속화된 성장에 대한 Dulloo 등의 연구 내용은 무엇인가? 지방의 발달은 태내에서보다는 출생 후에 에너지 저장과 체온유지를 위해 더 왕성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미숙아의 생의 초기 가속화된 성장은 과도한 지방축적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7]. 특히 Dulloo 등[8]은 체중감소에 따른 가속화된 성장을 나타낸 아동은 제지방 조직(인체조직 중 체지방을 제외한 부분)보다 체지방의 회복이 더 높은 비율로 불균등하게 일어나면서 절약 ‘따라잡기 지방’ 형질(thrifty ‘catch-up fat’ phenotype)을 나타내게 되고, 이후 비만 관련 합병증을 경험할 위험이 높다고 하였다.
미숙아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숙아는 만삭아보다 더 많은 지방축적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3,5], 이는 태내 영양 결핍의 경험이 태아의 에너지 비축을 강화시키고 프로그래밍되어 성장과정에 영향을 준다는 절약형질이론(thrifty phenotype hypothesis)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6]. 미숙아는 태아성장에 필요한 영양공급이 취약한 태내환경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고 출생 후에도 미성숙한 영양섭취 및 소화능력으로 인해 큰 폭의 체중감소와 성장지연을 경험할 위험이 높다. 이러한 미숙아의 취약한 영양상태는 에너지 비축을 극대화시킴으로써 가속화된 성장을 유발하는데, 이를 ‘따라잡기 성장(catch-up growth)’이라 하며 미숙아의 높은 지방축적과 관련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Birth according to cities and provinces/pregnancy period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January 5].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1A15&conn_pathI2. 

  2. Bae CW. The history of neonatolog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6;59(7):490-497. https://doi.org/10.5124/jkma.2016.59.7.490 

  3. Mathai S, Derraik JG, Cutfield WS, Dalziel SR, Harding JE, Biggs J, et al. Increased adiposity in adults born preterm and their children. PLoS One. 2013;8(11):e8184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81840 

  4. Rolland-Cachera MF, Deheeger M, Maillot M, Bellisle F. Early adiposity rebound: Causes and consequences for obesity in children and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6;30:S11-S17. https://doi.org/10.1038/sj.ijo.0803514 

  5. Daly-Wolfe KM, Jordan KC, Slater H, Beachy JC, Moyer-Mileur LJ. Mid-arm circumference is a reliable method to estimate adiposity in preterm and term infants. Pediatric Research. 2015;78(3):336-341. https://doi.org/10.1038/pr.2015.103 

  6. Hales CN, Barker DJ. The thrifty phenotype hyphothesis. British Medical Bulletin. 2001;60:5-20. 

  7. Griffin IJ, Cooke RJ. Development of whole body adiposity in preterm infants. Early Human Development. 2012;88(Suppl 1):S19-S24. https://doi.org/10.1016/j.earlhumdev.2011.12.023 

  8. Dulloo AG, Jacquet J, Seydoux J, Montani JP. The thrifty 'catch-up fat' phenotype: Its impact on insulin sensitivity during growth trajectories to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6;30(Suppl 4):S23-S35. https://doi.org/10.1038/sj.ijo.0803516 

  9. Johnson MJ, Wootton SA, Leaf AA, Jackson AA. Preterm birth and body composition at term equivalent ag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ediatrics. 2012;130(3):e640-e649. https://doi.org/10.1542/peds.2011-3379 

  10. Gianni ML, Roggero P, Piemontese P, Morlacchi L, Bracco B, Taroni F, et al. Boys who are born preterm show a relative lack of fatfree mass at 5 years of age compared to their peers. Acta Paediatrica. 2015;104(3):e119-e123. https://doi.org/10.1111/apa.12856 

  11. Hui LL, Lam HS, Leung GM, Schooling CM. Late prematurity and adiposity in adolescents: Evidence from "children of 1997" birth cohort. Obesity. 2015;23(11):2309-2314. https://doi.org/10.1002/oby.21267 

  12. Huke V, Rudloff S, Brugger M, Strauch K, Berthold LD, Landmann E. Prematurity is not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adiposity in 5- to 7-year-old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s. 2013;163(5):1301-1306. https://doi.org/10.1016/j.jpeds.2013.06.035 

  13. Ahn Y, Sohn M, Jun Y, Lee S. Growth patter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preterm infants in a culture of rapid modernization. Journal of Child Health Care. 2013;17(3):242-252. https://doi.org/10.1177/1367493512456114 

  14. Ahn Y, Sohn M, Lee S. Growth patterns of premature infants up to 40th term week of corrected 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613-622.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13 

  15. Cape Town Metropole Paediatric Interest Group. Anthropometry guideline: Paediatrics [Internet]. Cape Town: Association for Dietetics in South Africa; 2007 [cited 2018 January 11]. Available from: http://www.adsa.org.za/Portals/14/Documents/Clinical20Guideline20Anthropometry.pdf. 

  16. Choi DH, Hur YI, Kang JH, Kim K, Cho YG, Hong SM, et al. Usefulness of the waist circumference-to-height ratio in screening for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4. Nutrients. 2017;9(3):256. https://doi.org/10.3390/nu9030256 

  17. Lee S, Sohn M, Kim S, Choi S, Jun Y, Ahn Y. Health in optimal fitness and its related factors in young Korean children born prematurely.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22(4):336-345. https://doi.org/10.4094/chnr.2016.22.4.336 

  18. Kuczmarski RJ, Ogden CL, Guo SS, Grummer-Strawn LM, Flegal KM, Mei Z, et al. 2000 CDC growth charts for the United States: Methods and development. Vital and Health Statistics. 2002;11(246):1-190. 

  19. Ahn Y, Sohn M, Lee S. Growth of Korean preterm infants in a family-centered tradition during early infancy: The influence of health risks, maternal employment, and the sex of infants.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4;11(4):281-289. https://doi.org/10.1111/jjns.12033 

  20. Hales CN, Ozanne SE. The dangerous road of catch-up growth. The Journal of Physiology. 2003;547(Pt 1):5-10. https://doi.org/10.1113/jphysiol.2002.024406 

  21. Jain V, Singhal A. Catch up growth in low birth weight infants: Striking a healthy balance. Reviews in Endocrine and Metabolic Disorders. 2012;13(2):141-147. https://doi.org/10.1007/s11154-012-9216-6 

  22. Lobstein T, Jackson-Leach R, Moodie ML, Hall KD, Gortmaker SL, Swinburn BA, et al.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Part of a bigger picture. Lancet. 2015;385(9986):2510-2520. https://doi.org/10.1016/S0140-6736(14)61746-3 

  23. Vilchis-Gil J, Galvan-Portillo M, Klunder-Klunder M, Cruz M, Flores-Huerta S. Food habits, physical activities and sedentary lifestyles of eutrophic and obese school children: A case-control study. BMC Public Health. 2015;15:124. https://doi.org/10.1186/s12889-015-1491-1 

  24. Fuchs F, Monet B, Ducruet T, Chaillet N, Audibert F. Effect of maternal age on the risk of preterm birth: A large cohort study. PloS One. 2018;13(1):e0191002.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91002 

  25. Moon JS. Application of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Growth curves and tables. The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2009;12(Suppl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