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분노표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nger Expression of Adul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4, 2018년, pp.323 - 334  

김효정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의 삶의 만족도, 스트레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분노표현의 정도를 파악하고,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 3일부터 10월 10일까지 일반 성인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는 평균 $14.75{\pm}4.51$점, 스트레스는 $27.30{\pm}5.15$점,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은 $25.17{\pm}6.93$점, 분노표현은 $26.57{\pm}9.16$점이었다. 분노표현은 삶의 만족도(r=-.361, p<.001),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r=-.419, p<.001)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스트레스(r=.494, p<.001)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분노표현의 영향요인은 성별, 스트레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3.5%이었다. 본 연구는 현대인의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부적절한 분노표현을 줄이기 위하여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고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제도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성별에 따라 분노표현의 차이를 고려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stress, belief in a just world, anger expression and to find factors influencing anger expr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3 to October 10, 2017 using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were 272. Data were analyzed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 스트레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및 분노표현과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로 현대인의 분노를 이해하고 분노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었다.
  • 본 연구는 성인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현대인의 분노조절을 위한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성인의 삶의 만족도, 스트레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분노표현 정도와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분노표현을 결과변수로 두고 삶의 만족도와 스트레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추후 현대인의 분노조절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분노의 상관성을 연구한 논문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분노표현을 결과변수로 두고 삶의 만족도와 스트레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추후 현대인의 분노조절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노란 무엇인가? 하지만 적절하게 조절되지 못할 경우 신체 및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분노는 자신의 욕구 실현이 좌절되거나 사회적으로 부당하다고 생각되어 표출되는 불쾌한 감정으로[5] 개인의 가치 혹은 기본 신념을 보존하려는 의지가 좌절되었을 때 적대감을 포함하는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격정, 화냄, 위협, 비난, 괴롭힘 등이 포함된다[6]. 분노를 경험하게 되는 상황은 보통 무시, 부당한 취급, 강요당하는 경우 등 자신의 권리가 무시되고 자기가치가 부정당할 때 분노를 경험할 수 있는데[5] 이는 학교생활, 직장생활 등 어떠한 상황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분노를 적절하기 조절하지 못할 경우 초래되는 결과는 무엇인가? 분노는 일상생활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감정 중 하나이며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일반적이며 중요한 감정이다[3]. 하지만 적절하게 조절되지 못할 경우 신체 및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분노는 자신의 욕구 실현이 좌절되거나 사회적으로 부당하다고 생각되어 표출되는 불쾌한 감정으로[5] 개인의 가치 혹은 기본 신념을 보존하려는 의지가 좌절되었을 때 적대감을 포함하는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격정, 화냄, 위협, 비난, 괴롭힘 등이 포함된다[6].
분노를 경험하게 되는 상황은 무엇인가? 분노는 자신의 욕구 실현이 좌절되거나 사회적으로 부당하다고 생각되어 표출되는 불쾌한 감정으로[5] 개인의 가치 혹은 기본 신념을 보존하려는 의지가 좌절되었을 때 적대감을 포함하는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격정, 화냄, 위협, 비난, 괴롭힘 등이 포함된다[6]. 분노를 경험하게 되는 상황은 보통 무시, 부당한 취급, 강요당하는 경우 등 자신의 권리가 무시되고 자기가치가 부정당할 때 분노를 경험할 수 있는데[5] 이는 학교생활, 직장생활 등 어떠한 상황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분노에 대한 또 다른 정의를 살펴보면 인정과 의리의 정당함에 위배될 때 그리고 무시와 모욕으로부터 분노가 발생한다고 하였으며 특히 서양에서는 주로 무시나 경멸에 대한 반응이나 부당함과 연결된 감정이라 하였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조아미, "학교폭력에서 분노의 매개효과와 부모 애착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9호, pp.177-199, 2014 

  2. 강상경,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2호, pp.67-99, 2010. 

  3. 전현숙, 손정락, "역기능적 분노표현 및 비합리적 신념과 마음챙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0권, 제2호, pp.377-396, 2011. 

  4. 김혜란, 박경, "생활스트레스와 분노가 여성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제6권, 제1호, pp.47-63, 2006. 

  5. 김대군,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윤리상담 프로그램," 윤리교육연구, 제43권, pp.27-48, 2017. 

  6. 안정미, 안권순, "청소년의 분노정서경험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pp.267-292, 2012. 

  7. 김경호, "분노로부터 마음의 평정-분노의 동역학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제34권, pp.37-64, 2013. 

  8. 전겸구, 강수균, 고효민, "뇌졸중 환자와 정상인의 분노 비교," 미술치료연구, 제7권, 제1호, pp.69-85, 2000. 

  9. 박영주, 백순임, 신현정, 윤지원, 천숙희, 문소현, " 중년남성의 분노, 심혈관 건강과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6권, 제5호, pp.863-871, 2006. 

  10. 박자경, 엄명용, "사회적 지지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관계 분석: 장애수용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3권, 제4호, pp.1-23, 2009. 

  11. 이시연, "청소년의 정서조절증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역량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8호, pp.445-454, 2017. 

  12. 태양실,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시각장애아 어머니의 공격성, 분노, 양육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3. 박경선, "문혁준 중학생의 완벽주의, 가족건강성, 학교생활만족도가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20권, 제3호, pp.57-80, 2013. 

  14. 김혜숙, 최은영, 김성민, "호남 지역 일부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제19권, 제2호, pp.147-154. 2011. 

  15. 박영숙, Kanzaki Mitsuko, 박연환, 김윤미, "3세 미만 유아를 둔 도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기능," 스트레스연구, 제17권, 제4호, pp.349-357, 2009. 

  16. 김용희, "스트레스와 역기능적 신념 및 방어기제가 분노반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48권, 제2호, pp.59-74, 2009. 

  17. 안가연, 김종운, 김미희, "이공계 대학생의 대인 관계 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 및 대처 전략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7호, pp.481-498, 2016. 

  18. 김은하, 김혜림,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화병간의 관계: 내외통제성을 통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매개된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6 권, 제5호, pp.39-53, 2015. 

  19. I. Correia and C. Dalbert, "Belief in a just world, justice concerns, and well-being at Portuguese school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Vol.22, No.4, pp.421-437, 2007. 

  20. C. Dalbert, "The world is more just for me than generally: About the personal belief in a just world scale's validity," Social Justice Research, Vol.12, No.2, pp.79-98, 1999. 

  21. 정은교, 안도희, "고등학생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학교 참여 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 정당성 경험과 교사-학생 관계의 매개 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31권, 제2호, pp.215-237, 2017. 

  22. 이정숙, 이현, 안윤영, 유정선, 권선주, "분노관리 프로그램이 대학생의분노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05-126, 2011. 

  23. 김혜민, 손정락, "분노 조절 프로그램이 사회복귀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의 분노, 대인관계기술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연구, 제21 권, 제2호, pp.109-119, 2013. 

  24. 강지숙, 신미경, "질병의 수,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양식이 노인의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제19권, 제4호, pp.343-350, 2011. 

  25. 최성일, 김중술, 신민섭, 조맹제, "분노표현방식과 우울 및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제40권, 제3호, pp.425-433, 2001. 

  26. 박동영,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분노, 분노표현 유형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1170-1177, 2012. 

  27. 안가연, 김종운, 김미희, "이공계 대학생의 대인 관계 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 및 대처전략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7호, pp.481-498, 2016. 

  28. 장혜주, 임지영, "청소년의 스트레스, 부모와의 대화정도,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분노표현방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 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17-35, 2013. 

  29. 김은경, 고진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분노,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제24권, 제3호, pp.151-160, 2016. 

  30. 김혜란, 박경, "생활스트레와 분노가 여성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심리치료:다학제적 접근, 제 6권, 제1호, pp.47-63, 2006. 

  31. 장혜주, 임지영, "청소년의 스트레스, 부모와의 대화정도,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분노표현방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 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17-35, 2013. 

  32.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33. 차경호,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1권, 제 3호, pp.321-337, 2004. 

  34. S. Cohen, T. Ka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4, pp.386-396, 1983. 

  35. 이정은, 자기복잡성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6. S. Cohen and G. M. Williamson, Perceived stress in a probability sample of the United States, In S. Spacapan and S. Oskamp(Eds), Newbury Park, CA: Sage, 1988. 

  37. 이호진, 스트레스 및 부당함 평가, 분노대처행동이 중년기혼여성의 화병증상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8. C. D. Spielberger, CProfessional manual fo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Tamp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8. 

  39.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Korean adapta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 ventory (STAXI-K):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제3권, pp.18-32, 1998. 

  40. 소영, 분노반추와 분노의 관계에서 사고통제감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1. C. D. Spielberger, E. C. Kransner, and E. Solomon,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Ed.), New York: Springer, 1988. 

  42. 이학식, 임지훈, SPSS 24 매뉴얼, 집현재, 2017. 

  43. 김진영, 고영건, "청소년의 분노표현 양식과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이 학교분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17권, 제1호, pp.63-79, 2011. 

  44. 천숙희, "청소년기 여성의 섭식행동과 우울, 분노, 분노표현 및 개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310-319, 2007. 

  45. 구연익, 남녀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분노표현양식의 관계: 애착차원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6. 김은하, 김혜림, "상담일반: 기혼여성의 생활스트 레스와 화병간의 관계: 내외통제성을 통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매개된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6권, 제5호, pp.33-4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