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스트레스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양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chool Stress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Adolesc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Styl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 2020년, pp.701 - 710  

임경빈 (청주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  이봉건 (경인심리건강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스트레스와 대인관계문제를 탐색하고, 그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노표현양식의 하위변인의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9월~10월 충북 소재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학교스트레스 척도와 분노표현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1개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 중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이 대인관계문제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서 학교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영역 중 통제지배를 분노표출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유발하는 요인에서 학교스트레스와 분노 감정을 다루는 방식이 중요함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예방 교재의 개발 및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tress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adolescent. A total 300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buk-do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o assess school s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청 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예방 교재의 개발 및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tress and interpersonal problem in adolescent. A total 300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buk-do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o assess school stress, anger expression styles, and interpersonal problem during September to October, 2015 and 261 data were used in this report.
  • 01 B=회귀계수, SE=회귀계수 값의 표준편차, 𝛽=표준화된 회귀계수 학교스트레스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양식의 조절효과 707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학교스트레스가 그 들의 대인관계문제와 어떠한 관계를 보이며, 그 관계에 서 분노표현 방식이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밝히고자 시 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 제의 주요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는 청소년의 관계문 제를 완화, 회복시키는데 필요한 개입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12]. 먼저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그로 인해 초래되는 대인 관계문제와 관련한 연구들을 살펴보겠다. 여러 연구들 에서 한국 청소년들은 일상생활 중 학업성취, 부모 및 친구 등 다양한 대인관계에서 여러 문제들을 겪으며 스 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15].
  • p>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스트레스와 대인관계문제를 탐색하고, 그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노표현양식의 하위변인의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9월~10월 충북 소재 청소년 300명을 대상으로 학교스트레스 척도와 분노표현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 였다.
  • 또한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 심과 함께 분노표현방식 중 분노표출이 타인을 통제하 거나 조정하려는 통제지배에 대해 높은 설명력이 있음 을 밝힌 이전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부분이다[47].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청소년들 의 대인관계문제를 학교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이 예 측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자 했으며, 다음과 같은 의의 를 지닌다. 첫째, 학교스트레스가 과도할수록 대인관계 문제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학교스트레스가 높은 청소년들이 대인관계문제를 많이 겪을 것이며, 분노표 현 방식에 따라 대인관계의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 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스트레스와 대인관계문제를 탐색하고, 그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노표현양식의 하위변인(분 노억압, 분노표출, 분노통제)의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 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을 위한 대인관 계문제 예방 교재 및 분노 조절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등 후속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학교스트레스 수준과 대인관계 문제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그 결과, 학교스트레스는 대인관계문제의 총 변량 중 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이환직, 중학생 집단폭행 추락사 10대 피고인들 "때렸지만 숨질지 몰랐다", 한국일보, 2019. 

  2. 오세진, 관악산 고교생 집단폭행 10대들 1심 최대 7년 징역형, 서울신문, 2018. 

  3. 이미영, 장은진, "학교폭력 가해자가 경험한 학교폭력 맥락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8권, 제3호, pp.115-140, 2015. 

  4. 임광훈, 금명자, 이미숙,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 구성개념 확인," 중등교육연구, 제61권, 제4호, pp.1111-1133, 2013. 

  5. 석지혜,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 B. Moon, H. Hwang, and J. D. McCluskey, "Causes of School Bullying: Empirical Test of a General Theory of Crime, 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and General Strain Theory," Crime & Delinquency, Vol.57, No.6, pp.849-877, 2008. 

  7. 유순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관한 학생들의 기대와 지각," 초등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355-375, 2007. 

  8. 박유정, 이지연, "학업스트레스와 여고생의 폭식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6권, 제2호, pp.171-187, 2009. 

  9.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1984. 

  10. 권석만,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 학지사, 1997. 

  11. 류진혜,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지도방안,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서울: 학지사, 2002. 

  12. 남순임, "청소년의 내변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억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8권, 제2호, pp.221-241, 2018. 

  13. 김신희, 김유나, 김민경 서울시 아동청소년 안전 및 건강실태 조사, 서울: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2010. 

  14. 박소영, 문혁준,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관련 변인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9호, pp.71-84, 2005. 

  15. 이정미, 이지연, 장진이, "초등학생의 일상적인 스트레스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5호, pp.93-113, 2012. 

  16. M. U. O'Brien, R. P. Weissberg, H. J., Walberg, and C. B. Kuster, Contributions and complexities of studying trends in the well-being of children and youth, In Weissberg, R. P., H. J., Walberg, H. J., O'Brien, M. U., & Kuster, C. B. (Eds), Longterm trends in the well-being of children and youth: issues in the children's and families' lives, Washington, DC: Child Welfare League of America, 2003. 

  17. K. L. Herts, K. A. McLaughlin, and M. L. Hatzenbuehler, "Emotion dysregulation as a mechanism linking stress exposure to adolescent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40, No.7, pp.1111-1122, 2012. 

  18. M. D. Glicken, Evidence-based practice with emotionally trou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Oxford: Elsevier Inc, 2009. 

  19. 우채영, 박아청, 정현희, "성별 및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1호, pp.19-38, 2010. 

  20. 변보기, 강석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적대감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9권, 제3호, pp.369-291, 2002. 

  21. C. D. Spielberger, G. A. Jacobs, S. Russell, and R. S. Crane, "Asse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N. J ; LEA, Vol.2, pp.159-187, 1983. 

  22. 안근석, 심리학 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1991. 

  23. G. A. Bonanno, K. Lalande, M. Westphal, and K. Coifman, The importance of being flexible; the ability to both enhance and suppress emotional expression predicts long-term adjustment, Psychological Science, 2004. 

  24. S. Marwan and Z. T. Larissa, "Get mad and get more than even: When and way anger expression is effective in negotia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42, pp.314-322, 2006. 

  25. R. F. Baumeister and J. J. Exline, "Self-control, morality, and human strengt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19, pp.29-42, 2000. 

  26. 고윤경, 분노표현태도와 대인관계문제: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7. 유선미, 김정민, 김찬권,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3권, 제3호, pp.63-82, 2017. 

  28. 김정향,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및 분노표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9. 서수균,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 치료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0. N. H. Thich, Anger: Wisdom for cooling the Flames, 서울: 명진출판사, 2002. 

  31. 서수균, "자존감과 자기애 수준에 따른 분노사고, 신념, 분노표현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4호, pp.719-734, 2007. 

  32. 정미리, 분노와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반추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3. J. W. Kalat and M. N. Shiota, Emotion, Australia: Thomson, 2007. 

  34. 장혜림, 남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5. 원호택, 청소년 범죄행동 유발 원인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36. 성순옥, 박미단, 김영희,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8호, pp.49-70, 2013. 

  37. C. D. Spielberger,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8. 

  38.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lberger, "한국판 STAXI척도 개발 :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권, 제1호, pp.60-78, 1997. 

  39. L. E. Alden, J. S. Wiggins, and A. L. Pincus,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loblem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5, pp.521-536, 1990. 

  40.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의 타당화: KIIP-C와 KIIP-PD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1권, pp.391-411, 2002. 

  41. 김유진, 신희천, "상위-기분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839-856, 2013. 

  42. 정승현, 심미영, "청소년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75-284, 2014. 

  43. 문수연, 강지현, "아동의 학업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친구관계질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323-3339, 2013. 

  44. 송지은, 황순택, 전미주, "분노수준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6권, 제2호, pp.213-227, 2009. 

  45. 김효정, "성인의 분노표현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323-334, 2018. 

  46. 장혜주, 임지영, "청소년의 스트레스, 부모와의 대화정도,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분노표현방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17-36, 2013. 

  47. 최임정, 심혜숙,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 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2호, pp.479-492, 2010. 

  48. 권진희,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제14권, 제1호, pp.37-49, 2011. 

  49. 박미정, 오두남,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423-434, 201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