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 영양표시제도로 파악할 수 있는 한국인의 영양소 섭취 정보의 범위: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Study of the Coverage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on the Nutrient Intake of Koreans - using the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2, 2018년, pp.116 - 127  

박지은 ((주)농심 R&D) ,  이행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라이프케어산업단) ,  이윤나 (신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verage of the current mandatory nutrition labeling system on the nutrient intake of Koreans. Methods: KNHANES dietary intake data (2013) of 7,242 subjects were used in the analysis. KNHANES dietary intake data were collected by a 24-hour 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 국민이 섭취한 식품을 영양표시 규정에 따라 재분류하여 한국인의 전체 식생활에서 의무영양표시식품을 통해 영양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비율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 국민의 식생활 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도구라는 측면에서 현행 영양표시제도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향후 영양표시제도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 국민이 섭취한 식품을 영양표시 규정에 따라 재분류하여 한국인의 전체 식생활에서 의무영양표시식품을 통해 영양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비율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 국민의 식생활 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도구라는 측면에서 현행 영양표시제도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향후 영양표시제도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표시제도는 무엇인가?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식품 정보 중 영양표시 정보는 가공식품의 영양적 특성을 식품 포장에 표시함으로써 소비자 스스로가 자신에게 적합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우리나라의 영양표시제도는 1994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3,4], 2016년 현재 영양표시대상 식품은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6조 1항에 근거한 영양성분 표기 대상인 ‘장기보존식품(레토르트 식품만 해당), 과자류(과자, 캔디류 및 빙과류), 빵류 및 만두류, 초콜릿류, 잼류, 식용유 지류, 면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어육가공품(어육소시지), 즉석섭취식품(김밥, 햄버거, 샌드위치), 커피(볶은커피 및 인스턴트커피 제외), 장류(한식메주, 재래한식간장, 한식된 장 및 청국장 제외)’와 축산물의 표시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 2016-75호)에 따라 영양표시가 의무화 된 ‘유가공품(조제유류, 우유류, 발효유류, 가공유류, 아이스크림류, 분유류, 자연치즈, 가공치즈), 식육가공품(소시지류, 햄류)’ 이다.
해외의 소금섭취에 기여하는 음식엔 무엇이 있는가? 선행 연구에서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등 4개국의 소금섭취에 기여하는 음식을 분석한 연구결과, 미국과 영국은 가공식품이나 외식 중 패스트푸드 형태로 나트륨을 섭취하는 반면 중국과 일본은 조리 시 첨가하는 식염, 간장으로 인해 국과 반찬의 형태가 나트륨의 주요 급원으로 나타났다[18]. 본 연구에서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는 식염, 장류 등이 포함된 원 재료성 가공식품에서 섭취하는 비율이 49.
우리나라 의무영양표시제도로 파악되는 영양 섭취 정보의 범위에 한계가 있다는 근거는 어디에서 볼 수 있는가? 9%인 384 g이었다. 즉, 가공식품 섭취량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2] 가공식품 중 소비자가 실제로 영양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가공식품의 섭취 비율은 전체 식품 섭취량의 1/4 수준에 불과하였으며, 가공식품 섭취량 중에서도 절반 수준 밖에 되지 않았다. 1일 영양소 섭취량 중 의무영양표시 대상 가공식품으로부터 섭취한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 나트륨의 영양소 섭취 기여율 역시 18.1%~47.4% 수준이어서, 우리나라 국민이 영양표시 대상 식품으로부터 영양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비율은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양표시를 시행하는 대부분의 국가들에서는 일부 예외 품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포장식품에 영양표시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2016 Report of food industry information survey (4): Analysis of processed food consumer. Naju: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2016. 

  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food industry analysis report.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report on the nutrition labeling standardization.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999. 

  4. Korea Consumer Agency. A study on foods labelling standardization. Seoul: Korea Consumer Agency; 1998. 

  5. Neuhouser ML, Kristal AR, Patterson RE. Use of food nutrition labels is associated with lower fat intake. J Am Diet Assoc 1999; 99(1): 45-53. 

  6. Graham DJ, Laska MN. Nutrition label us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healthy eating and overall dietary quality among college students. J Acad Nutr Diet 2012; 112(3): 414-418. 

  7.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nutrition label utilization: Based on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4; 47(3): 193-205. 

  8. Park HJ, Lee JS, Kim EK. Assessment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10; 16(3): 226-238. 

  9. Chung EJ, Jeon JS, Ahn HS.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food & nutrition labels and dietary behaviors of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10; 16(3): 239-254. 

  10. Lee KA, Lee HJ, Park EJ. The effect of use of nutrition labelling o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with among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2): 253-266. 

  11. European Food Information Council. EUFIC's Global Update on Nutrition Labelling. Belgium: European Food Information Council; 2015.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The 4th Health Plan 2016-2020.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2nd National Nutrition Management Plan 2017-2021.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utrition labeling of restaurant menu [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cited 2018 Feb 3].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nutrition/index.do.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16. Na MO. Palm oil in food industry: Thermal stability and processing quality. Food J 2007; 120(1): 40. 

  17. Gapor AB, Ong ASH, Kato A, Watanabe H, Kawada T. Antioxidant activities of palm vitamin E with special reference to tocotrienols. Elaeis 1989; 1(1): 63-67. 

  18. Anderson CA, Appel LJ, Okuda N, Brown IJ, Chan Q, Zhao L et al. Dietary sources of sodium in China,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women and men aged 40 to 59 years: the INTERMAP study. J Am Diet Assoc 2010; 110(5): 736-745. 

  19.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20. Lee HS, Kwon SO, Yon MY, Kim DH, Lee JY, Nam JW et al.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2014; 47(4): 268-2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